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지능형나노반도체학과

HIGHHANBAT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홍보자료

게시물 검색
국립한밭대학교, 채널A "행복한 아침" 통한 혁신적 교육과정 홍보
  • 작성자지능형나노반도체학과
  • 조회수19
  • 행복한 아침 1684회#취업 걱정 끝! 미래를 보장하는 과- 취업을 100% 보장하는 학과의 정체는?- 취업 걱정 끝! 미래를 보장하는 조기취업형 계약학과국립한밭대학교(소장 구치완)는 최근 종합편성채널 MBN의 아침 프로그램 「행복한 아침」에 소개되며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혁신대학의 면모를 널리 알렸다.이번 방송에서는 한밭대학교가 실천해온 학생 성공 중심 대학의 비전이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전파를 탔다.특히 석,박사생들이 직접 참여하는 연구 프로젝트, 창업 지원 프로그램, 현장실습 중심의 교육과정 등이 집중적으로 다뤄지며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성장하는 모습이 주목을 받았으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춰 인공지능, 반도체, 미래 모빌리티 등 첨단 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모습이 조명되었다.또한 방송을 통해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공공성 강화 노력, 현장 맞춤형 인재 양성을 위한 실습 중심 교육, 졸업생들의 다양한 성공 사례가 소개되어 지역을 품고 세계로 나아가는 대학이라는 비전을 다시금 부각시켰다.국립한밭대학교 관계자들은 이번 방송은 우리 대학이 추구하는 교육 철학과 성과를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며 앞으로도 학생이 중심이 되는 교육과 지역사회 기여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인재 양성에 매진하겠다고 전했다.채널A "행복한 아침" 1684화 다시보기: https://ichannela.com/program/detail/program_video_renew.do?publishId=000000488700채널A "행복한 아침"유튜브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fzjkf9onWLE
  • 등록일2025-09-04 09:33:44
한밭대, ‘국방반도체 포럼 및 제3차 국방우주세미나’ 개최 (충청뉴스, 2025.08.21)
  • 작성자지능형나노반도체학과
  • 조회수7
  • [충청뉴스 이성현 기자] 한밭대학교는 국방기술과 우주산업분야 선도와 인재양성을 위한 국방우주AI반도체 포럼과 제3차 국방우주세미나를 개최했다고 21일 밝혔다.한밭대는 이번 행사에서 국방우주와 AI반도체 기술의 융합을 위한 국방우주AI반도체 정책발전 Meet-up Day를 개최하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강동민 실장의 전문가 주제 발표와 질의응답 등을 진행했다.제3차 국방우주세미나에서는 한밭대 오용준 총장의 환영사에 이어 더불어민주당 조승래 국회의원(대전 유성갑)과 황정아 국회의원(대전 유성을)이 영상축사를 통해 대전충청지역의 우주산업 육성과 인재양성을 위해 애쓰는 국립한밭대학교의 노력과 열정에 국회 차원에서 같이 힘을 모으겠다고 전했다.세미나 1부에서는 먼저 우주국방전문융합연구원 개원을 알렸다. 국방우주공학과 김건희 교수가 경과보고를 통해 연구원 설립 배경과 역할, 운영계획 등에 대해 설명했다.앞서 한밭대는 지난 2022년방위사업청 지원으로 국방우주공학과를 개설한 데 이어 올해는 대학 내 우주국방융합학과 일반대학원을 신설했으며 내년 3월에는 학부 과정인 우주국방첨단융합학과를 신설할 예정이다.또 이번 우주국방전문융합연구원과 연계해 국내외 우주국방 분야 인력 수요 증가와 기술 고도화에 대응할 수 있는 학사-석사-박사로 이어지는 전주기 인력 양성 지원 체계를 더욱 공고히 한다는 계획이다.아울러 연구원은 국방우주 기술의 첨단 융합 연구를 위해 국내외 대학, 연구기관, 방산기업과의 공동연구 및 기술 이전 등을 적극 추진한다.연구원은 산학연 협력 기반의 실습연구 인프라 강화를 위해 약 100억 원 규모의 스마트광학혁신사업단 장비시설을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향후 우주반도체와 위성 광부품의 신뢰성 평가 및 인증을 위한 첨단 시험검증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구축하여 기업의 기술개발과 실증시험을 지원할 계획이다.김건희 교수는 우주와 국방기술은 미래 국가 안보와 경제를 동시에 책임질 전략 자산이며 한밭대는 국방반도체 분야를 대학 특화분야로 키울 계획이라며 이번 연구원 설립은 학계, 산업계, 지자체가 긴밀히 협력하는 새로운 모델로, 향후 대전시가 우주국방 분야에서 독자적 기술력과 인재풀을 확보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미나 2부에서는 △미국 샌디에이고대 Patrick Kwon 교수의 소재부품의 우주국방 활용 기술 △이정웅 예비역 중장(현 Elara Nova Asia Director)의 국방과 상업우주의 생태계 구축 △Elara Nova 국제협력부 Brad Head 국장의 The National Space Strategy발표가 이어졌다.○ 전문가 토론에서는 양민수 국립한밭대 우주국방연구소 연구교수(예비역 준장)의 사회로 KAIST 한재흥 우주연구원장과 세미나 발표자들이 패널로 참여해 골든 돔(Golden Dome) 등 국제 우주국방 분야의 발전 방향을 모색했다.○ 한재흥 원장은 KAIST 우주연구원과 국립한밭대학교 간 인재육성 등 향후 협력의 필요성을 제언했고, 플로어에서는 미국의 골든 돔 아키텍처 설계 등 향후 구축 방향에 대해서 많은 질문이 있었다.○ Brad 국장은 기존의 미사일 방어계획에 추가하여 이스라엘과 우크라이나에서의 교훈, 그리고 우주영역 활용과 AI 등 신기술 적용, 각 국가 간 향후 파트너십 강화 필요성 등을 강조하며 골든 돔 사업의 아키텍처 설계를 미국 정부에서 구체화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출처 : 충청뉴스(http://www.ccnnews.co.kr)
  • 등록일2025-09-01 14:34:31
국립한밭대, 국방반도체 포럼 및 제3차 국방우주세미나 개최 (충청타임즈, 2025.08.21)
  • 작성자지능형나노반도체학과
  • 조회수4
  • 우주국방 전문인력 양성연구 거점 우주국방전문융합연구원 개원[충청타임즈] 국립한밭대학교가 국방우주분야 민관군 전문가 등 17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방우주AI반도체 포럼 및 제3차 국방우주세미나를 개최했다.국방우주세미나에서는 우주국방전문융합연구원 개원을 알렸다.국립한밭대는 2022년 국방우주공학과를 개설한 데 이어 지난 3월 대학 내 우주국방융합학과 일반대학원을 신설했으며, 2026년 3월에는 학부 과정인 우주국방첨단융합학과를 신설할 예정이다.우주국방전문융합연구원과 연계해 학사-석사-박사로 이어지는 전주기 인력 양성 지원 체계를 더욱 공고히 할 계획이다.연구원은 국방우주 기술의 첨단 융합 연구를 위해 국내외 대학, 연구기관, 방산기업과의 공동연구 및 기술 이전 등을 적극 추진한다.연구원은 향후 우주반도체와 위성 광부품의 신뢰성 평가 및 인증을 위한 첨단 시험검증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구축해 기업의 기술개발과 실증시험을 지원할 계획이다.국립한밭대 김건희 교수는 국방반도체 분야를 대학 특화분야로 키울 계획이라며 연구원 설립은 향후 대전시가 우주국방 분야에서 기술력과 인재풀을 확보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대전 한권수기자출처 : 충청타임즈(http://www.cctimes.kr)
  • 등록일2025-09-01 14:29:23
국립한밭대, ‘국방반도체 포럼 및 제3차 국방우주세미나’ 성료 (데일리한국, 2025.08.21)
  • 작성자지능형나노반도체학과
  • 조회수5
  • 국립한밭대, 우주국방 전문인력 양성연구 거점 우주국방전문융합연구원 개원국내외 국방우주 분야 전문가 초청 세미나 통해 국방우주산업 생태계 조성[대전=데일리한국 이영호 기자] 국립한밭대학교(총장 오용준)는 20일 교내에서 국방우주분야의 민관군/산학연 전문가와 관계자 약 170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방기술과 우주산업분야 선도와 인재양성을 위한 국방우주AI반도체 포럼과 제3차 국방우주세미나를 개최했다.이번 행사에는 국립한밭대 오용준 총장, 대전광역시 손철웅 미래전략산업실장, 최영준 한국천문연구원 부원장, 김정수 전 해군참모총장, 이종호 전 해군참모총장, 엄동환 전 방위사업청장, 박영득 전 한국천문연구원장, 김재수 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 등 국방우주 관련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참석했다.국립한밭대는 이날 오전 국방우주와 AI반도체 기술의 융합을 위한 국방우주AI반도체 정책발전 Meet-up Day를 개최하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강동민 실장의 전문가 주제 발표와 질의응답 등을 진행했다.행사를 주관한 지능형나노반도체연구소 구치완 소장은 이번 행사는 반도체 유관 기업들과 대전시, 출연(연) 전문가가 모여 국방 반도체, 우주 반도체, AI 반도체 개발을 위한 기술 및 지원 정책 수립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자 마련됐다며 앞으로도 국립한밭대는 반도체 분야 기업들과 상생할 수 있도록 인력 양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업 지원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오후에 이어진 제3차 국방우주세미나에서는 국립한밭대 오용준 총장의 환영사에 이어 대전유성 지역의 국회의원인 조승래, 황정아 의원이 영상축사를 통해 대전충청지역의 우주산업 육성과 인재양성을 위해 애쓰는 국립한밭대의 노력과 열정에 국회 차원에서 같이 힘을 모으겠다고 전했다.세미나 1부에서는 먼저 우주국방전문융합연구원 개원을 알렸다. 국방우주공학과 김건희 교수가 경과보고를 통해 연구원 설립 배경과 역할, 운영계획 등에 대해 설명했다.국립한밭대는 지난 2022년 9월 방위사업청 지원으로 국방우주공학과를 개설한 데 이어 2025년 3월에는 대학 내 우주국방융합학과 일반대학원을 신설했으며 2026년 3월에는 학부 과정인 우주국방첨단융합학과를 신설할 예정이다.그리고 이번 우주국방전문융합연구원과 연계해 국내외 우주국방 분야 인력 수요 증가와 기술 고도화에 대응할 수 있는 학사-석사-박사로 이어지는 전주기 인력 양성 지원 체계를 더욱 공고히 한다는 계획이다.또한 연구원은 국방우주 기술의 첨단 융합 연구를 위해 국내외 대학, 연구기관, 방산기업과의 공동연구 및 기술 이전 등을 적극 추진한다.연구원은 산학연 협력 기반의 실습연구 인프라 강화를 위해 약 100억 원 규모의 스마트광학혁신사업단 장비시설을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향후 우주반도체와 위성 광부품의 신뢰성 평가 및 인증을 위한 첨단 시험검증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구축해 기업의 기술개발과 실증시험을 지원할 계획이다.국립한밭대 김건희 교수는 우주와 국방기술은 미래 국가 안보와 경제를 동시에 책임질 전략 자산이며 국립한밭대는 국방반도체 분야를 대학 특화분야로 키울 계획이다라며 이번 연구원 설립은 학계, 산업계, 지자체가 긴밀히 협력하는 새로운 모델로 향후 대전시가 우주국방 분야에서 독자적 기술력과 인재풀을 확보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세미나 2부에서는 △미국 샌디에이고대 Patrick Kwon 교수의 소재부품의 우주국방 활용 기술 △이정웅 예비역 중장(현 Elara Nova Asia Director)의 국방과 상업우주의 생태계 구축 △Elara Nova 국제협력부 Brad Head 국장의 The National Space Strategy발표가 이어졌다.전문가 토론에서는 양민수 국립한밭대 우주국방연구소 연구교수(예비역 준장)의 사회로 KAIST 한재흥 우주연구원장과 세미나 발표자들이 패널로 참여해 골든 돔(Golden Dome) 등 국제 우주국방 분야의 발전 방향을 모색했다.한재흥 원장은 KAIST 우주연구원과 국립한밭대학교 간 인재육성 등 향후 협력의 필요성을 제언했고 플로어에서는 미국의 골든 돔 아키텍처 설계 등 향후 구축 방향에 대해서 많은 질문이 있었다.Brad 국장은 기존의 미사일 방어계획에 추가해 이스라엘과 우크라이나에서의 교훈, 그리고 우주영역 활용과 AI 등 신기술 적용, 각 국가 간 향후 파트너십 강화 필요성 등을 강조하며 골든 돔 사업의 아키텍처 설계를 미국 정부에서 구체화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이영호 기자출처 : 데일리한국(https://daily.hankooki.com)
  • 등록일2025-09-01 14:27:56
한밭대 국방반도체 포럼·국방우주세미나 성료 (충청투데이, 2025.08.21)
  • 작성자지능형나노반도체학과
  • 조회수5
  • 전문가 주제 발표질의응답 등 진행[충청투데이 서유빈 기자] 국립한밭대학교는 국방우주분야의 민관군, 산학연 전문가와 관계자 약 170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방기술과 우주산업분야 선도와 인재양성을 위한 국방우주AI반도체 포럼과 제3차 국방우주세미나를 개최했다고 21일 밝혔다.이번 행사에는 오용준 국립한밭대 총장, 손철웅 대전시 미래전략산업실장, 최영준 한국천문연구원 부원장, 김정수 전 해군참모총장, 이종호 전 해군참모총장, 엄동환 전 방위사업청장, 박영득 전 한국천문연구원장, 김재수 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 등 국방우주 관련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참석했다.국립한밭대는 이날 오전 국방우주와 AI반도체 기술의 융합을 위한 국방우주AI반도체 정책발전 Meet-up Day를 개최하고 강동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장의 전문가 주제 발표와 질의응답 등을 진행했다.행사를 주관한 지능형나노반도체연구소 구치완 소장은 이번 행사는 국방 반도체, 우주 반도체, AI 반도체 개발을 위한 기술 및 지원 정책 수립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자 마련됐다며 앞으로도 국립한밭대는 반도체 분야 기업들과 상생할 수 있도록 인력 양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업 지원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출처 : 충청투데이(https://www.cc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17565)
  • 등록일2025-09-01 14:26:28
국립한밭대, ‘국방반도체 포럼 및 제3차 국방·우주세미나’ 성료 (더팩트, 2025.08.21)
  • 작성자지능형나노반도체학과
  • 조회수6
  • 국내외 국방우주 분야 전문가 초청국방우주산업 생태계 조성 논의[더팩트ㅣ대전=이병수 기자] 국립한밭대학교는 지난 20일 교내에서 국방우주분야의 민관군 및 산학연 전문가와 관계자 약 170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방기술과 우주산업분야 선도와 인재양성을 위한 국방우주 AI반도체 포럼과 제3차 국방우주세미나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21일 밝혔다.이번 세미나는 오용준 국립한밭대 총장, 손철웅 대전시 미래전략산업실장, 최영준 한국천문연구원 부원장, 김정수 전 해군참모총장, 이종호 전 해군참모총장, 엄동환 전 방위사업청장, 박영득 전 한국천문연구원장, 김재수 전 한국과학기술정보원장 등 국방우주 관련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참석했다.국립한밭대는 이날 오전 국방우주와 AI반도체 기술의 융합을 위한 국방우주 AI반도체 정책발전 Meet-up Day를 개최하고 강동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장의 전문가 주제 발표와 질의응답 등을 진행했다.행사를 주관한 구치완 지능형나노반도체연구소장은 "이번 행사는 반도체 유관 기업들과 대전시, 출연(연) 전문가가 모여 국방 반도체, 우주 반도체, AI 반도체 개발을 위한 기술 및 지원 정책 수립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자 마련됐다"며 "앞으로도 국립한밭대는 반도체 분야 기업들과 상생할 수 있도록 인력 양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업 지원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오후에 이어진 제3차 국방우주세미나에서는 오용준 국립한밭대 총장의 환영사에 이어 대전유성 지역의 국회의원인 조승래황정아 의원이 영상축사를 통해 대전충청지역의 우주산업 육성과 인재양성을 위해 애쓰는 국립한밭대의 노력과 열정에 국회 차원에서 같이 힘을 모으겠다고 밝혔다.이어 세미나 1부에서는 우선 우주국방전문융합연구원 개원을 알리고 김건희 국방우주공학과 교수가 경과보고를 통해 연구원 설립 배경과 역할, 운영계획 등에 대해 설명했다.김건희 국립한밭대 교수는 "우주와 국방기술은 미래 국가 안보와 경제를 동시에 책임질 전략 자산이며, 국립한밭대는 국방반도체 분야를 대학 특화분야로 키울 계획이다"라며 "이번 연구원 설립은 학계, 산업계, 지자체가 긴밀히 협력하는 새로운 모델로, 향후 대전시가 우주국방 분야에서 독자적 기술력과 인재풀을 확보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세미나 2부에서는 Patrick Kwon 미국 샌디에이고대 교수의 소재부품의 우주국방 활용 기술 이정웅 예비역 중장(현 Elara Nova Asia Director)의 국방과 상업우주의 생태계 구축 Elara Nova 국제협력부 Brad Head 국장의 The National Space Strategy발표가 이어졌다.Brad 국장은 "기존의 미사일 방어계획에 추가해 이스라엘과 우크라이나에서의 교훈, 그리고 우주영역 활용과 AI 등 신기술 적용, 각 국가 간 향후 파트너십 강화 필요성 등을 강조"하며 "골든 돔 사업의 아키텍처 설계를 미국 정부에서 구체화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한편 국립한밭대는 지난 2022년 9월 방위사업청 지원으로 국방우주공학과를 개설한 데 이어, 2025년 3월에는 대학 내 우주국방융합학과 일반대학원을 신설했으며, 2026년 3월에는 학부 과정인 우주국방첨단융합학과를 신설할 예정이다.이어 이번 우주국방전문융합연구원과 연계해 국내외 우주국방 분야 인력 수요 증가와 기술 고도화에 대응할 수 있는 학사-석사-박사로 이어지는 전 주기 인력 양성 지원 체계를 더욱 공고히 한다는 계획이다.또한 연구원은 산학연 협력 기반의 실습연구 인프라 강화를 위해 약 100억 원 규모의 스마트광학혁신사업단 장비시설을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향후 우주반도체와 위성 광부품의 신뢰성 평가 및 인증을 위한 첨단 시험검증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구축해 기업의 기술개발과 실증시험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출처: 더팩트(https://news.tf.co.kr/read/national/2236122.htm)
  • 등록일2025-09-01 14:23:37
대전서 열린 국방우주세미나, 한밭대 연구원 개원으로 첨단산업 허브 선언 (굿모닝충청, 2025.08.21)
  • 작성자지능형나노반도체학과
  • 조회수7
  • [굿모닝충청 신성재 기자] 국립한밭대학교(총장 오용준)가 대전충청을 넘어 국가적 국방우주산업 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한밭대는 20일 유성덕명캠퍼스에서 국내외 국방우주 분야 전문가와 관계자 17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방우주AI반도체 포럼과 제3차 국방우주세미나를 열고, 대학 내 우주국방전문융합연구원 개원을 공식화했다.행사는 오전 포럼과 오후 세미나로 나뉘어 진행됐다. 오전에는 국방우주와 AI반도체 융합 전략을 주제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강동민 실장이 발표했으며, 오후에는 오용준 총장의 환영사와 국회의원 조승래황정아의 영상 축사가 이어졌다. 최영준 한국천문연구원 부원장, 김정수이종호 전 해군참모총장, 엄동환 전 방위사업청장 등도 참석해 힘을 보탰다.핵심 순서였던 우주국방전문융합연구원 경과보고에서 김건희 국방우주공학과 주임교수는 연구원 설립 배경과 비전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그는 우주와 국방기술은 국가 안보와 경제를 동시에 책임질 전략 자산이라며, 한밭대는 2020년 우주 전문인재 양성 사업을 시작으로 2022년 국방우주공학과 개설, 2025년 대학원 우주국방융합학과 신설, 2026년 학부 우주국방첨단융합학과 개설 예정까지 이어지는 학사-석사-박사 전주기 교육체계를 갖췄다고 밝혔다.김 교수는 또 연구원은 광역감시 정찰위성, 저궤도 통신체계, 국방용 반도체 신뢰성 검증 등 국가 전략과제를 수행하며, 대전지역 기업과 협력해 중소기업 전문 인력 양성에도 힘쓸 것이라며 약 100억 원 규모의 스마트광학혁신사업단 장비와 인프라를 적극 활용해 우주반도체 및 위성 광부품 검증체계를 단계적으로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세미나 2부에서는 국제적 시각에서 국방우주 산업의 미래가 논의됐다. ▲미국 샌디에이고대 패트릭 권 교수는 소재부품의 우주국방 활용 기술을, ▲이정웅 예비역 중장(Elara Nova Asia Director)은 국방과 상업우주의 생태계 구축을, ▲Brad Head Elara Nova 국제협력부 국장은 미국의 Golden Dome 전략을 발표했다.이어진 전문가 토론에서 한재흥 KAIST 우주연구원장은 국방우주 분야에서 한밭대와 KAIST의 인재양성 협력이 절실하다고 제언했고, 참석자들은 국제 파트너십과 신기술 적용의 필요성을 공유했다.김 교수는 발표를 마무리하며 이번 연구원 설립은 학계산업계지자체가 긴밀히 협력하는 새로운 모델이라며 대전이 국방우주 분야에서 독자적 기술력과 인재풀을 확보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출처 : 굿모닝충청(https://www.goodmorningcc.com)
  • 등록일2025-09-01 14:20:13
국립한밭대학교, 국방우주AI반도체 포럼 및 제3차 국방우주세미나 개최 (금강일보, 2025.08.21)
  • 작성자지능형나노반도체학과
  • 조회수6
  • 국립한밭대학교가 지난 20일 국방우주AI반도체 포럼과 제3차 국방우주세미나를 개최했다.이번 행사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강동민 실장의 주제 발표와 참석자들과 질의응답 시간으로 진행됐으며 반도체 관련 기업들과 대전시, 연구기관 전문가들이 모여 국방 반도체, 우주 반도체, AI 반도체 개발을 위한 기술 및 지원 정책 수립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또 세미나에서는 우주국방전문융합연구원의 개원을 알렸다. 국방우주공학과 김건희 교수가 연구원 설립의 필요성과 역할을 설명하며 운영 계획을 밝혔다.국립한밭대는 2022년 방위사업청 지원으로 국방우주공학과를 개설한 데 이어 올해는 우주국방융합학과 일반대학원을 신설하고 내년에는 학부 과정인 우주국방첨단융합학과를 신설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학사-석사-박사로 이어지는 전주기 인력 양성 지원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아울러 세미나 1부에서는 Patrick Kwon 교수(샌디에이고대)가 소재부품의 우주국방 활용 기술에 대해 발표하고 이정웅 예비역 중장(현 Elara Nova Asia Director)이 국방과 상업우주의 생태계 구축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서 Brad Head(Elara Nova 국제협력부 국장)가 The National Space Strategy 에 대해 발표했다. 전문가 토론에서는 양민수 국립한밭대 우주국방연구소 연구교수가 사회를 맡아 KAIST 한재흥 우주연구원장과 패널들이 국제 우주국방 분야의 발전 방향을 모색했다. 한재흥 원장은 KAIST와 국립한밭대학교 간의 인재 육성 협력의 필요성을 제안했다.오용준 총장은 이번 연구원 설립은 학계와 산업계, 지자체 간의 협력 모델로 대전시가 우주국방 분야에서 독자적 기술력과 인재풀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조길상 기자출처 : 금강일보(https://www.ggilbo.com)
  • 등록일2025-09-01 14:18:49
국립한밭대 '국방반도체 포럼 및 제3차 국방우주세미나' 성료 (베리타스알파, 2025.08.21)
  • 작성자지능형나노반도체학과
  • 조회수8
  • [베리타스알파=박소현 기자] 국립한밭대는 20일 국방/우주분야의 민/관/군/산/학/연 전문가와 관계자 약 170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방기술과 우주산업분야 선도와 인재양성을 위한 국방우주AI반도체 포럼과 제3차 국방우주세미나를 개최했다고 21일 밝혔다.이번 행사에는 국립한밭대 오용준 총장, 대전시 손철웅 미래전략산업실장, 최영준 한국천문연구원 부원장, 김정수 전 해군참모총장, 이종호 전 해군참모총장, 엄동환 전 방위사업청장, 박영득 전 한국천문연구원장, 김재수 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장 등 국방/우주 관련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참석했다.국립한밭대는 이날 오전 국방우주와 AI반도체 기술의 융합을 위한 국방우주AI반도체 정책발전 Meet-up Day를 개최하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강동민 실장의 전문가 주제 발표와 질의응답 등을 진행했다.행사를 주관한 지능형나노반도체연구소 구치완 소장은 "이번 행사는 반도체 유관 기업들과 대전시, 출연(연) 전문가가 모여 국방 반도체, 우주 반도체, AI 반도체 개발을 위한 기술 및 지원 정책 수립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자 마련됐다"며, "앞으로도 국립한밭대는 반도체 분야 기업들과 상생할 수 있도록 인력 양성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업 지원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오후에 이어진 제3차 국방우주세미나에서는 국립한밭대 오용준 총장의 환영사에 이어 대전유성 지역의 국회의원인 조승래, 황정아 의원이 영상축사를 통해 대전충청지역의 우주산업 육성과 인재양성을 위해 애쓰는 국립한밭대의 노력과 열정에 국회 차원에서 같이 힘을 모으겠다고 전했다.세미나 1부에서는 먼저 우주국방전문융합연구원 개원을 알렸다. 국방우주공학과 김건희 교수가 경과보고를 통해 연구원 설립 배경과 역할, 운영계획 등에 대해 설명했다.국립한밭대는 지난 2022년 9월 방위사업청 지원으로 국방우주공학과를 개설한 데 이어, 2025년 3월에는 대학 내 우주국방융합학과 일반대학원을 신설했으며, 2026년 3월에는 학부 과정인 우주국방첨단융합학과를 신설할 예정이다.그리고, 이번 우주국방전문융합연구원과 연계해 국내외 우주/국방 분야 인력 수요 증가와 기술 고도화에 대응할 수 있는 학사-석사-박사로 이어지는 전주기 인력 양성 지원 체계를 더욱 공고히 한다는 계획이다.또한, 연구원은 국방우주 기술의 첨단 융합 연구를 위해 국내외 대학, 연구기관, 방산기업과의 공동연구 및 기술 이전 등을 적극 추진한다.연구원은 산학연 협력 기반의 실습/연구 인프라 강화를 위해 약 100억원 규모의 스마트광학혁신사업단 장비/시설을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향후 우주반도체와 위성 광부품의 신뢰성 평가 및 인증을 위한 첨단 시험/검증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구축해 기업의 기술개발과 실증시험을 지원할 계획이다.국립한밭대 김건희 교수는 "우주와 국방기술은 미래 국가 안보와 경제를 동시에 책임질 전략 자산이며, 국립한밭대는 국방반도체 분야를 대학 특화분야로 키울 계획이다"라며, "이번 연구원 설립은 학계, 산업계, 지자체가 긴밀히 협력하는 새로운 모델로, 향후 대전시가 우주국방 분야에서 독자적 기술력과 인재풀을 확보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세미나 2부에서는 ▲미국 샌디에이고대 Patrick Kwon 교수의 소재/부품의 우주국방 활용 기술 ▲이정웅 예비역 중장(현 Elara Nova Asia Director)의 국방과 상업우주의 생태계 구축 ▲Elara Nova 국제협력부 Brad Head 국장의 The National Space Strategy발표가 이어졌다.전문가 토론에서는 양민수 국립한밭대 우주국방연구소 연구교수(예비역 준장)의 사회로 KAIST 한재흥 우주연구원장과 세미나 발표자들이 패널로 참여해 골든 돔(Golden Dome) 등 국제 우주국방 분야의 발전 방향을 모색했다.한재흥 원장은 KAIST 우주연구원과 국립한밭대 간 인재육성 등 향후 협력의 필요성을 제언했고, 플로어에서는 미국의 골든 돔 아키텍처 설계 등 향후 구축 방향에 대해서 많은 질문이 있었다.Brad 국장은 기존의 미사일 방어계획에 추가해 이스라엘과 우크라이나에서의 교훈, 그리고 우주영역 활용과 AI 등 신기술 적용, 각 국가 간 향후 파트너십 강화 필요성 등을 강조하며 골든 돔 사업의 아키텍처 설계를 미국 정부에서 구체화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출처: 베리타스알파(https://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568299)
  • 등록일2025-09-01 14:1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