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지난 4월 20일 대전시 서구 정림동에서 가로 50cm, 세로 1.2cm, 깊이 1.5m 크기의 땅꺼짐이 발견됐다. 우수관 접합부 이탈로 지반이 침하됐다는 것이 원인이었다.
땅꺼짐 사고는 대전뿐 아니라 서울, 인천 등 전국에서 잇따라 발생했다. 지난 3월 서울 강동구에선 싱크홀 사고로 오토바이 운전자가 사망했고, 4월엔 인천 부평역 일대 도로가 갈라지며 땅꺼짐 의심 현상이 나타났다. 이처럼 땅꺼짐 사고가 점차 전국적으로 일어나면서 지하 안전에 대한 시민의 불안감은 커지고 있다.
‘땅꺼짐 현상’은 지하토사가 유실되거나 지하수 변화 등으로 생긴 빈공간이 지표면에 드러나는 사고로,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한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땅꺼짐 사고의 주요 원인은 ▲노후 상하수도관 손상(45.5%) ▲되메우기 불량(18.0%) ▲굴착공사 부실(9.8%)로 나타났다.
땅꺼짐 사고의 절반 이상이 노후상하수도관 손상 때문에 일어나지만, 손상을 탐지하는 GPR 장비는 전국에 9대뿐이라 추가 확보가 시급하다. 하지만 지자체들은 고가의 장비비용과 인력 운영 부담 등으로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GPR 장비를 활용해도 지하 2m 이내만 탐지할 수 있어 대형 사고 예방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서울대 민동주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는 “GPR 확대뿐 아니라 지하 광케이블을 활용해 진동과 온도 변화 등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분포형 음향 센싱(DAS) 같은 신기술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땅 아래 위험이 일상이 된 지금, 정부의 더욱 강력한 감시와 대응 체계가 절실한 때이다.
글 조혜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