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우리나라의 슬픈 역사적 사건을 그린 감동적인 영화가 있다.
바로 최국희 감독의 <국가부도의 날>이다. 이 영화는 2018년에 개봉되었으며 IMF라고 부르는 1997년 외환위기 시대를 생생하게 나타내고 있다.
1997년 대한민국에 경제 호황이 계속될 것이라 믿고 있는 상황에서 영화가 시작된다. 1997년 11월 5일, 미국 월스트리트의 모건스탠리 본사에서 경고 메일이 발송된다. 메일은 모든 투자자에게 한국을 떠나라는 내용을 담고 있었고, 이것이 엄청난 경제 위기의 시작이었다. 라디오에서는 회사가 망하거나 월급이 밀려 힘들다는 사연이 소개되는 등 경제 위기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었다. 한국은행 통화정책팀장 한시현(배우 김혜수)은 이런 조짐의 경고를 보고하며 한국은행 총재에게 경제 위기가 닥칠 것이라고 알리고, 이로 인해 정부는 급작스럽게 국가부도 위기를 막기 위한 비공개 대책팀을 구성한다.
한편, 윤정학(배우 유아인)은 경제 위기의 조짐을 미리 포착하고 사표를 던지며 국가부도의 위기에 도전하는 역배팅 투자를 결심하고 투자자들을 모으기 시작한다. 이런 상황에서 작은 공장의 사장인 갑수(배우 허준호)는 백화점과의 거래 계약서에 도장을 찍으며 소박한 행복을 꿈꾼다. 대책팀 내부에서는 위기 대응 방식을 두고 한시현과 재정국 차관이 강하게 대립하며, IMF 총재가 협상을 위해 비밀리에 입국하는 등 여러 이야기가 얽히면서 1997년, 서로 다른 선택을 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펼쳐지게 된다.
<국가부도의 날>은 대한민국 역사상 가장 어려운 순간 중 하나인 아시아 금융 위기를 다룬다. 정부와 금융기관들은 금융 붕괴 위기에 직면하게 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힘쓰지만 상황은 악화되기만 한다.
금융위기와 국가적 위기에 대한 현실적인 시각을 제시하면서 정치, 금융, 인간관계 등 다양한 측면의 이야기를 풀어내는데, 그 중 역사적 사건들과 인물들을 기반으로 한 이야기들이 흥미롭다. 특히 국가의 위기와 국민들의 힘을 통해 극복하는 이야기는 관중에게 큰 희망과 영감을 선사한다.
김혜수, 유아인, 허준호, 조우진과 같은 주연 배우들의 뛰어난 연기력은 이 영화에 더욱 몰입하게 만들며 관객들을 깊이 감동시킨다. 이 작품은 그 시대 우리나라의 아픈 현실을 생생하게 그리며 감동적인 이야기로 관객들을 매료시키고 금융 위기와 국가적 어려움에 대한 현실적인 시각을 제시한다. 역사와 금융에 관심이 있는 학우들에게 이 영화를 추천한다. <국가부도의 날>을 통해 과거의 교훈을 되새기고 현재의 상황을 바라보자.
글 이예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