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자신감 제로, 존재감 제로, 어딜 가 든 눈에 띄지 않는 소년 ‘에반 핸슨’ 은 우울증과 사회 불안장애를 앓고 있었다. 에반은 상담 치료에서 매일 자신에게 편지를 써보라는 조언을 받았고, 편지를 작성하며 이전과 다 른 특별한 하루를 꿈꿨다.
그러던 어느 날, 자신이 쓴 편지를 동급생인 ‘코너’가 가져가 버린다. 며 칠 후 코너가 자살하고, 이 편지를 코 너의 유서로 오해한 코너의 부모님 이 에반을 찾아온다. 그들이 주는 관 심과 따뜻함에 누군가 자신을 바라 봐 주길 바랐던 에반은 마음이 동하게 되고, 이들이 더 이상 마음 상하는 일이 없었으면 하는 생각에 코너와 함께한 추억을 지어낸다.
에반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코너의 절친’이 되어간다. 전교 회장인 ‘알라나’와 함께 ‘The Conner Project’를 진행하고, 이후 에반은 코너 의 추모식에서 우정에 대해 연설하 게 된다. 이 연설이 인터넷에 퍼지고 많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면서 모 두가 에반의 말을 믿고 따를수록 알 라나는 에반과 코너의 사이를 의심 하게 되는데, 에반은 그 의심을 없애 기 위해 코너의 유서를 보여준다. 알 라나는 유서에 큰 감동을 했고, 이 유 서를 통해 프로젝트가 더욱 잘 진행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 허락 없이 인터넷에 올린다.
알리나의 예상과는 달리 연설 영 상을 보고 감명받았던 사람들은 유 서를 보고 반응이 달라졌다. 사람들 은 코너가 자살한 주된 원인이 그의 가족이라고 생각해 비난했다. 갑작 스러운 상황에서 에반은 코너의 가 족이 서로의 잘못이라며 싸우는 것을 보다가 죄책감에 결국 자신이 모 든 것을 꾸며내었다고 고백한다.
<디어 에반 핸슨>은 토니상 시상 식에서 최우수 작품상을 받은 뮤지 컬을 영화화한 것이다. 그러나 수상 이력이 훌륭한 뮤지컬에 비해 영화 의 평점은 좋지 않다. 전체적으로 우 울하거나 답답하고 주인공의 행동에 공감되지 않는다는 식의 비판이었다. 또, 뮤지컬에서 사용된 무대 연출 들이 모두 영화에 반영되기 어렵다 보니 시각적인 효과가 발현되지 않 아서 줄거리 속의 문제의 요소들이 드러나는 바람에 원작 뮤지컬이 재 평가받기까지 했다.
위와 같은 평가 때문에 이 영화를 볼지 말지 고민했으나 워낙 뮤지컬 영화를 좋아하는 터라, 오직 중간마 다 삽입된 곡들만을 기대하며 이 영 화를 보기로 했다. 영화를 보고 영화 관을 나오면서 평점만 믿고 보지 않 았으면 후회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노래가 모두 좋았을뿐더러, 뮤지컬에서 오랫동안 에반 핸슨을 맡으며 연가와 노래 모두 좋은 평가 를 받은 배우 벤 플랫이 영화에서도 에반 역할을 맡은 덕에 주인공의 상 황에 집중이 잘 돼서 이해가 잘 되는 점이 특히 좋았다.
또, 인간관계의 중요성을 다시금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코너 부모님의 오해로부터 시작되어 에반이 통제할 수 없는 거짓말을 늘어놓았 지만 이 행동이 코너 가족의 깊은 상 처까지 치유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우리의 행동이 아무리 사소할 지라도 다른 사람의 삶에 깊은 영향 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해 준다. 특히 영화에 반복적으로 나오 는 “You are not alone”과 “You will be found”라는 대사에서 혼자인 것 같아도 사람들은 다 같이 더불어 살 아가며 어려움이 있어도 함께 극복 해 나갈 수 있다는 것이 잘 나타난다.
세상에 혼자 남겨진 것 같을 때, 아 무도 나의 말을 들어주지 않는 것 같 을 때 에반의 노래와 영화의 대사를 통해 위로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글 정수빈 수습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