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밭대학교

HIGHHANBAT

일반/홍보

‘제15회 한밭대학교 창의적 종합설계 경진대회’ 성료

작성자기획과  조회수157 등록일2022-10-13
한밭대학교 제15회 창의적 종합설계 경진대회 행사 모습.jpg [471.6 KB]

□ 우리 대학은 12일 교내 혜윰광장에서 공학교육혁신센터 주관으로 ‘제15회 한밭대학교 창의적 종합설계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 On October 12, Hanbat National University hosted the "15th Hanbat National University Creative Comprehensive Design Contest", which was hosted by the Innovation Center for Engineering Education at Hyeyum Square on campus.


 ○ 이 대회는 청년 공학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 공유 및 교류의 장을 조성하고, 공학계열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길러 실무 지향형 우수 인재를 양성하고자 마련됐다.


 ○ This competition aims to foster the innov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of engineering students in order to develop exceptional, application-focused capabilities. It also supplies a forum for young engineering students to explore and exchange innovative ideas.


 ○ 공과대학, 정보기술대학, 건설환경조형대학 3개 단과대학에서 총 150명의 학생들이 팀을 이뤄 총 32개의 작품을 출품하고 창의성과 실용성 등 종합적인 설계능력을 겨뤘다.


 ○ 150 students from three separate colleges—the College of Engineering, the College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College of Construction, Environment and Design—joined forces to assemble a team, produce a total of 32 artworks, and compete competed in their comprehensive design capabilities such as originality and practicality.



□ 대상은 전자·제어공학과 4학년 정연조, 이창현, 유희준, 최성웅 학생의 ‘환경지킴이’팀이 수상했으며, ‘딥러닝 학습을 사용한 재활용 쓰레기 자동분류기’를 제안했다.


□ The "Environmental Protect" team, comprised of four students Jeong Yeon-jo, Lee Chang-hyeon, Yoo Hee-jun, and Choi Seong-woong from the  Department of Electronic-Control Engineering, triumphed in the grand prize for their proposal for an "automated recycling waste sorter using deep learning and studying."



 ○ 출품작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급격하게 늘어난 재활용품 쓰레기의 재활용률 증가에 기여하고자 제작하게 되었으며, 딥러닝 사물인식을 통해 재활용품을 자동 분류한다는 점에서 기존 제품과의 차별성을 두었다.


 ○ The entries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products in that recyclables are automatically classified by deep-learning object identification. This helps to increase the recycling rate of recyclables, which has expanded quickly as a result of the COVID-19 epidemic.


 ○ 정연조 학생은 “딥러닝을 사용해 쓰레기를 분류하는 아이디어가 미개척 분야라는 점에서 획기적이고, 실용성을 고려해 외관을 설계한 부분이 좋은 평가를 받은 것 같다며, 이 작품을 통해 딥러닝 분야가 실생활에도 유익한 방향으로 널리 연구 개발되어 발전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 According to student Jeong Yeon-jo, "The idea of classifying garbage using deep-learning is pioneering in that it is a topic that has not yet been explored, and the external inspection design in consideration of practicality seems to have garnered positive feedback. I expect that our action will advance the study of deep-learning and move it in the correct direction for practical applications."



□ 이외에도 건설현장 비계 작업 시 착용하는 안전대의 형상을 개선한 ‘안전대 안전고리 개선’, EMG(근전도 센서)와 아두이노, 접착식 전극을 이용해 근육의 활성 정도를 파악하여 자체개발 앱으로 실시간 확인 할 수 있는 ‘헬스 초보자를 위한 운동 보조기구’ 등이 출품됐다.


□ The "Improvement of the Safety Belt and Safety Chain," which enhances the shape of worn seat belts when working with scaffolding at the building site, as well as EMG (electromyography), Arduino, and adhesive electrodes to assess muscle activity, are also contained. Then, they displayed "Exercise Equipment for Beginners to Exercise," which could be evaluated in real-time using a custom app.



 ○ 또한, 레이저를 조사하고 이를 일정 횟수 이상 감지하면 간식이 지급되는 ‘객체 인식 레이저 놀이 자동 간식 지급 장치’, 차량이나 보행자의 통행 시 자동으로 감지하여 신호등을 점멸하는 ‘자동감지 점멸신호등’ 등 독특한 아이디어의 작품들이 다양하게 출품되어 학생들과 관계자들의 관심을 받았다.


 ○ In addition, there are innovative ideas like "object-recognition laser play automatic snack dispensing gadget," which dispenses snacks when a laser is emitted and detec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auto-detection flashing traffic light," which automatically detects and blinks traffic lights when vehicles or people pass. Numerous pieces of art were on display and caught the interest of both students and officials.


□ 윤 린 공학교육혁신센터장은 “질적으로 우수한 온라인 영상강의가 풍부해진 현 교육상황에서 대학은 학생들이 상상과 협업을 통해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실현시킬 수 있도록 직접 만들고 동작시켜보는 경험을 제공하는 역할을 확장해야 한다”며, “이번 대회에 출품한 작품을 보완·발전시켜 창업의 단계까지 이르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Director of the Innovation Center for Engineering Education Yoon-rin said, "Universities are expanding their role in providing students experiences to create and operate their own ideas so that they can materialize and discover theirs through originality and collaboration. In the present educational background, where high-quality online video lectures are abundant. I'm hoping that the works entered for this competition will be developed and improved to the point where a business may be launc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