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밭대학교

HIGHHANBAT

한밭People

게시물 검색
컴퓨터공학과 구남석·박선아 학생, 2024 한국통신학회 추계종합학술발표회 우수논문상 선정 이미지
컴퓨터공학과 구남석·박선아 학생, 2024 한국통신학회 추계종합학술발표회 우수논문상 선정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48
  • 컴퓨터공학과 이상금 교수 연구팀 (왼쪽부터 이상금 교수, 구남석 학생, 박선아 학생)□ 컴퓨터공학과 구남석, 박선아 학생(지도교수 이상금)의 논문 스마트 팩토리 최적화를 위한 GAF 기반 시계열 클러스터링 및 변동성 분석이 2024년도 한국통신학회 추계종합학술발표회 결과 우수논문상에 선정됐다.○ 1974년 창립된 한국통신학회는 ICT 분야 국내 최대 학회로 정보통신 및 전자공학 분야의 학술적 성과를 공유하고 연구 발전을 도모하고자 매년 종합학술발표회를 개최하며, 학술적 가치가 높은 논문을 선정해 우수논문상을 수여하고 있다.□ 컴퓨터공학과 이상금 교수와 학생들은 이번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도윤미 책임연구원과 함께 에너지다소비 업종대상 맞춤형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FEMS) 기술 개발 및 실증 연구를 진행했다.○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 팩토리의 데이터 분석 및 최적화를 목표로 GAF(Gramian Angular Field) 기반의 시계열 클러스터링 기법과 변동성 분석을 제안했으며, 스마트 팩토리의 운영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특히 최신 딥러닝 기술 및 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스마트 팩토리의 시계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클러스터링하고 변동성을 분석하여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이는 향후 스마트 팩토리의 효율성과 안정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학생들을 지도한 이상금 교수는 지난 9일 학회 공지를 통해 선정 사실을 확인했으며, 3학년 학부생들이 일반대학원생과의 경쟁 속에서도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좋은 성과를 내게 되어 더욱 의미가 있다고 전했다.
  • 등록일2025-01-10 09:51:52
전자공학과 이강산 학생, 반도체 특성화대학 경진대회 최우수상 수상 이미지
전자공학과 이강산 학생, 반도체 특성화대학 경진대회 최우수상 수상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249
  • □ 전자공학과 이강산 학생이 지난 26일부터 27일까지 벡스코에서 교육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주최로 열린 2024 유니위크의 반도체 특성화대학 경진대회(스토브리그)에서 최우수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대회에는 반도체 특성화대학 사업에 참여 중인 전국 24개 대학의 132개 팀이 참가했으며, 국립한밭대학교와 아주대학교는 2개의 학생 연합팀을 구성․참가해 각각 최우수상과 장려상을 수상했다.○ 특히 아주 완벽한 DRAM(국립한밭대 이강산, 아주대 김민철․이헌재) 팀은 결선 과제에 대한 창의적인 문제 해결 및 도출 방안을 제시하여 교육부장관상인 최우수상을 받았으며, 2주간의 미국 연수 혜택이 제공된다.□ 국립한밭대 반도체특성화교육연구소 유광기 소장은 이번 경진대회에서의 성과는 대학이 지향하는 실전형 산업 맞춤형 교육의 결과를 보여주는 사례로, 학생들의 활약은 향후 반도체 산업현장에서의 실질적인 기여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최우수상을 수상한 이강산 학생은 데이터 분석과 반도체 공정을 결합해 현실적인 솔루션을 제안할 수 있어 뿌듯했다고 전했다.□ 한편, 국립한밭대는 2024년 아주대(주관대학)와 동반성장형 연합체를 구성해 반도체특성화대학지원사업에 선정됐으며, 회로․시스템 및 소자․공정․패키징을 특성화 분야로 경쟁력 있는 인재 양성에 매진하고 있다.
  • 등록일2024-12-31 09:39:32
정보통신공학과 서재우 학생, 2024 공간융합 빅데이터 활용 아이디어 경진대회 대상 수상 이미지
정보통신공학과 서재우 학생, 2024 공간융합 빅데이터 활용 아이디어 경진대회 대상 수상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288
  • □ 정보통신공학과 서재우 학생이 지난 23일 ㈜선도소프트와 ㈜지앤티솔루션이 주최한 2024 공간융합 빅데이터 활용 아이디어 경진대회에서 영예의 대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본 대회는 공간융합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빅데이터의 활용성 확대 및 공간융합 빅데이터 플랫폼 활성화를 위해 마련됐다.○ 공모 부문은 충청남도 천안시를 대상으로 GIS 융합 데이터를 활용한 아이디어 및 서비스 기획, GIS 융합 데이터 기반 가공융복합 데이터셋 구축 및 활용방안, 각종 통계 및 데이터 분석 진단정책적 해결책 제시 3가지 주제로 진행됐다.□ 국립한밭대 서재우 학생은 이번 대회에 개인으로 참가하여 각종 통계 및 데이터 분석 진단 및 정책적 해결책 제시 부문에서 인구-가맹점 GIS 융합데이터와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천안시 불법주정차 문제 해결을 위한 MCLP기반 공영주차장 최적 입지 제안에 대해 발표했다.○ 서재우 학생은 주최 측에서 제공한 인구-가맹점 GIS 융합데이터를 활용하여 격자별 인구 밀도를 시각화하고 천안시 공공데이터를 기반으로 불법주정차 관련 현황들을 시각화하고 분석했다.○ 이후 입지 선정 모델인 MCLP를 활용해 천안시 공영주차장 최적 입지를 제안했으며, 지역별 정책적 해결방안도 제시하여 심사위원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한편, 서재우 학생은 이번 대회 대상 수상으로 공간정보산업진흥원장상과 소정의 상금을 받았으며, 올해 제3회 신한금융그룹 빅데이터 해커톤 대회 최우수상', 2024 문화체육관광 데이터 활용대회 최우수상, 충청남도 2024 데이터분석 아이디어 공모전 우수상 등 각종 경진대회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두며 예비 빅데이터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키워가고 있다.
  • 등록일2024-12-29 09:05:36
정보통신공학과 서재우 학생, 충청남도 데이터분석 아이디어 공모전 우수상 수상 이미지
정보통신공학과 서재우 학생, 충청남도 데이터분석 아이디어 공모전 우수상 수상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457
  • □ 정보통신공학과 서재우 학생이 지난 8월 충청남도가 주최한 2024 데이터분석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우수상을 수상했다.○ 이번 공모전은 △보건복지 △의료 △재난안전 △일자리 △저출생고령화 분야 등의 도내 현안 해결 및 데이터 기반 행정 구현을 위해 수행 가능한 데이터 분석 과제 발굴을 주제로 마련됐다.○ 서재우 학생은 본 대회에 데이터 분석 기반 열사병 예방 및 기후 질병 대응 시스템을 주제로 충남 지역 내에서 열사병에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 체계를 데이터 기반으로 아이디어화 했다.○ 지난 여름 충남 지역에서 열사병으로 인한 사망 사례가 발생하면서 주민의 생명과 안전에 위협이 있었고, 서재우 학생은 기존 시스템이 후속 대응 위주로 설계되어 있어 사전 예방이 부족한 상황임을 인지하여 기후 데이터와 지역 정보를 활용하여 열사병 발생 위험 지역을 사전에 예측하고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고안했다.○ 해당 시스템은 기상청의 기온, 자외선 지수, 지면 온도 등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폭염 위험 지역을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시간 모니터링과 즉각적인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또, 지능형 CCTV와 다양한 센서를 통해 폭염, 한파 고위험 지역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며, 위험 지역에 대한 경고 방송과 초기 대응을 자동으로 실행한다.□ 한편, 이번 공모전은 전문가 및 현업부서의 평가와 도시군 공무원의 온라인 투표를 통해 최종 수상작들이 선정됐다.
  • 등록일2024-12-20 09:31:03
정보통신공학과 서재우 학생, 2024 문화체육관광 데이터 활용대회 최우수상 수상 이미지
정보통신공학과 서재우 학생, 2024 문화체육관광 데이터 활용대회 최우수상 수상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465
  • □ 정보통신공학과 서재우 학생이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주최하고 신한카드에서 후원/협찬한 2024 문화체육관광 데이터 활용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올해로 12회째를 맞이한 이번 대회는 문화체육관광 데이터 분석을 통한 문화관광 이슈 및 정책 효과 분석, 예측을 주제로 진행됐으며, 100개 팀 이상이 참가한 가운데 최종 6개 팀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국립한밭대 서재우 학생은 전북대 임정민 학생과 투투팀으로 참가하여 지역 간 그린스테이 양극화 해소를 위한 그린스코어 기반 호텔 선정 및 유치 전략'을 제시했다.○ 두 학생은 그린스테이의 지역 간 양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민여행조사(2023년) 데이터와 전국 탄소 배출/흡수 통계 자료 등을 활용하여 그린스코어'라는 지표를 개발해 분석했다.○ 이를 통해 서울 외 지역에서 그린스테이를 유치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했으며, 경북, 대구, 인천을 주요 타깃 지역으로 선정하여 각 지역별로 관광지와 연계한 맞춤형 유치 전략을 마련했다.○ 또한, 전국적으로 통합된 그린스테이 인증 제도를 도입해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지역 상생을 도모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관광 모델을 제안했다.□ 한편, 이번 대회 본선에 진출한 6개 팀의 발표 심사와 시상은 지난 5일 서울 코엑스 마곡에서 열렸으며, 최우수상을 수상한 투투팀에게는 200만원의 상금이 수여됐다.
  • 등록일2024-12-19 10:28:58
신소재공학과 박아현 학생, ‘한국생산제조학회 Best Student Presentation Award’ 수상 이미지
신소재공학과 박아현 학생, ‘한국생산제조학회 Best Student Presentation Award’ 수상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811
  • - 나노 스케일 기계가공 장비를 이용한 미세 패터닝 기술 연구, 유연 기판에 적용 가능한 기계가공 조건 최적화□신소재공학과 김정환 교수 연구팀 4학년 박아현 학생이 2024 한국생산제조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Best Student Presentation Award를 수상했다고 13일 전했다.○ 박아현 학생은 Characteristics on nano/micro-scale machining of Cu thin film for flexible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에 관한 연구로 유연 기판인 폴리이미드(Polyimide, PI)에서 구리 박막을 나노 스케일로 가공하는 기술에 대해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서 박 씨는 반도체 배선 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구리 박막을 PI 필름 위에 증착한 후, 나노 스케일 기계가공 패터닝을 위한 최적의 가공 조건을 도출했다.○ 해당 연구로 유연 기판에서 미세 기계가공 패터닝 기술의 가능성을 입증하여 정밀 기계가공 기술의 새로운 발전 가능성을 제시했으며, 실리콘 웨이퍼(Si wafer)에서의 가공 특성과 비교함으로써 유연 기판에서 박막 패터닝 시 고려해야 할 주요 가공 특성을 분석했다.○ 현재까지 이러한 유연 기판에서의 금속 박막에 대한 기계가공 패터닝 사례는 거의 없었으며, 이번 연구는 이 분야에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시하고, 향후 정밀 기계가공 패터닝 기술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아현 학생은 연구를 지도해주신 김정환 교수님께 깊이 감사 드리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차세대 반도체 공정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 등록일2024-12-13 14:04:15
화학생명공학과 김지원·사민기·강다희 학생, ‘2024 나노영챌린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 수상 이미지
화학생명공학과 김지원·사민기·강다희 학생, ‘2024 나노영챌린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 수상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750
  • □ 화학생명공학과 김지원사민기강다희 대학(원)생으로 구성된 차세대 이끄미팀(지도교수 윤창민)이 나노기술연구협의회가 주관하는 나노영챌린지(Nano Young Challenge) 2024에서 대상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을 수상했다고 5일 밝혔다.○ 나노영챌린지는 지난 4월 1차 서류심사를 시작으로 2차 심사까지 통과한 10개 팀이 나노기술과 관련된 아이디어를 현실화하여 6월부터 9월까지 4개월 동안 시제품을 제작하고 9월말 최종 평가를 진행했다.□ 평가결과, 국립한밭대 김지원사민기 대학원생과 강다희 학부생 팀은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실리콘 슬러지를 라이다 인지형 검은색 소재로 재활용하는 혁신성과 창의성을 인정받아 지난 28일 열린 2024 나노융합성과전 시상식에서 영예의 대상을 수상했다.○ 해당 아이디어를 통해 차세대 이끄미 팀은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발생한 실리콘 슬러지 표면에 티타니아를 코팅하여 중공구조 물질로 합성하고, 환원을 통해 근적외선을 반사하는 검은색 티타니아로 제조했다.○ 개발한 검은색 티타니아 소재는 육안으로는 검은색으로 보이지만 근적외선을 반사할 수 있어 실제 로테이팅 라이다 센서에서는 높은 인식률을 지닌 시제품을 성공적으로 완성했다.○ 이번 수상으로 김지원 대학원생 등이 속한 국립한밭대 화학생명공학과 윤창민 교수 연구팀은 지난해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WISET)에서 주관하는 2023 여대학원생 공학연구팀제 지원사업 심화과정 발표대회에 이어 2년 연속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을 받는 쾌거를 이뤘다.□ 팀 대표인 김지원 대학원생은 개발한 기술을 통해 다가오는 자율주행차량의 시대에 기여하고 싶고, 우리나라는 삼성전자와 같은 반도체 기업들이 있기에 실제 반도체 산업에서 활용되는 기술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전했다.
  • 등록일2024-12-05 13:18: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