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밭대학교
검색
검색어
열림버튼
통합검색
찾으시는 단어나 검색어를 입력해 주세요!
검색
통합검색
닫기
로그인
언어선택
언어선택
열림버튼
ENG
CHN
전체메뉴
전체메뉴
HI HANBAT
HI HANBAT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대학소개
교육목표
연혁
UI소개
대학상징
개교기념행사
대학통계
대학요람
열린총장실
인사말
프로필
총장님, 할말있어요
역대총장
대학비전
비전 2030
특성화계획
윤리헌장
대학조직
조직도
직원검색
모범직원추천
HANBAT, 영광의순간
한벗소개
한벗은?
HANBAT 3D캠퍼스
학교오시는길
유성덕명캠퍼스
대덕산학융합캠퍼스
세종캠퍼스
시설이용안내
문화체육부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사전정보공표
정보목록
정책실명제
재정현황
업무추진비공개
상품권구매현황
수의계약공개
청렴센터
갑질신고센터
정보공시
자체평가
대학안전관리
개인정보의 목적 외 이용 또는 제3자 제공 및 위탁 사실 공지
발전기금/후원
입학안내
입학안내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입학안내
한밭대학교 입학홈페이지
바로가기
대학·대학원
대학·대학원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대학
대학
바로가기
대학원
대학원
바로가기
산학·연구
산학·연구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국립한밭대학교 LINC 3.0 사업단
산학협력단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연구비관리시스템
연구홍보포털
공동실험실습관
미래창의인재교육원
화학소재상용화지역혁신센터
학사 및 장학정보
학사 및 장학정보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학사공지
학사일정
학부
대학원
학사종합안내
교육과정
수업및수강
성적
학적
졸업
대학규정
규정 제‧개정 공지사항
학사서식
학사상담
학사일반
교직상담
장학금
교내장학제도
장학공지
장학상담
등록금
등록
분할납부
등록금반환
FAQ
인터넷증명발급
인터넷증명발급
증명서 우편발송 서비스(해외)
교직원 인터넷증명발급
대학생활
대학생활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학생활동
총학생회
동아리
학회연합회
통학정보
셔틀버스
임차버스
학생복지
학내편의시설
보건진료소
금주의식단
학생생활공간
학생상담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상담신청
공지사항
마음건강 정보
인권센터
센터소개
이용 안내
인권침해 상담
상담신청 방법
인권침해 사안 처리 절차
공지사항
인권센터 규정
장애학생지원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장애학생지원
공지사항
사회봉사지원센터
스마트 학사/ IT서비스 안내
한밭스마트서비스
모바일 출입관리 시스템(앱)
차량 및 개인형 이동장치
차량등록
개인형 이동장치
시설 원스톱서비스
신청하기
신청내역
학생증 발급
국제학생증발급
학생생활관
병무정보
학생병무안내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 홍보동영상
ROTC Q&A(질의응답)
육군학생군사학교 링크
국내외대학교정보
국내대학 리스트
세계대학랭킹TOP100
학생국제교류
진로·취업 원스톱 서비스
진로 · 취업 프로그램 신청
상담신청
채용정보
성공취업컨텐츠/AI자소서•면접클리닉
한밭LIVE
한밭LIVE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공지사항
행사안내
HANBAT 뉴스
일반/홍보
교육/연구
교류/산학
한밭People
HANBAT 미디어
홍보동영상
홍보브로슈어
한밭갤러리
한밭디자인
한밭영상
대학현황
HANBAT 사용설명서
HANBAT 대학원 사용설명서
뉴스레터
뉴스레터
뉴스레터 구독및취소
한밭SNS
공식 SNS Hub
기타 SNS
언론에서 본 HANBAT
ZOOM IN HANBAT
정보광장
주거정보
아르바이트
분실/습득물
온라인장터
카풀해요
자유게시판
글로컬대학 30
글로컬대학 30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바로가기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바로가기
글로컬대학 30
(Q&A)
글로컬대학 30 Q&A
바로가기
로그인
전체메뉴
열림버튼
언어
ENG
CHN
한밭대학교 블로그
한밭대학교 유투브
한밭대학교 인스타그램
한밭대학교 페이스북
한밭대학교 트위터
HI HANBAT
대학소개
교육목표
연혁
UI소개
대학상징
개교기념행사
대학통계
대학요람
열린총장실
인사말
프로필
총장님, 할말있어요
역대총장
대학비전
비전 2030
특성화계획
윤리헌장
대학조직
조직도
직원검색
모범직원추천
HANBAT, 영광의순간
한벗소개
한벗은?
HANBAT 3D캠퍼스
학교오시는길
유성덕명캠퍼스
대덕산학융합캠퍼스
세종캠퍼스
시설이용안내
문화체육부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사전정보공표
정보목록
정책실명제
재정현황
업무추진비공개
상품권구매현황
수의계약공개
청렴센터
갑질신고센터
정보공시
자체평가
대학안전관리
개인정보의 목적 외 이용 또는 제3자 제공 및 위탁 사실 공지
발전기금/후원
입학안내
대학·대학원
대학
대학원
산학·연구
국립한밭대학교 LINC 3.0 사업단
산학협력단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연구비관리시스템
연구홍보포털
공동실험실습관
미래창의인재교육원
화학소재상용화지역혁신센터
학사 및 장학정보
학사공지
학사일정
학부
대학원
학사종합안내
교육과정
수업및수강
성적
학적
졸업
대학규정
규정 제‧개정 공지사항
학사서식
학사상담
학사일반
교직상담
장학금
교내장학제도
장학공지
장학상담
등록금
등록
분할납부
등록금반환
FAQ
인터넷증명발급
인터넷증명발급
증명서 우편발송 서비스(해외)
교직원 인터넷증명발급
대학생활
학생활동
총학생회
동아리
학회연합회
통학정보
셔틀버스
임차버스
학생복지
학내편의시설
보건진료소
금주의식단
학생생활공간
학생상담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상담신청
공지사항
마음건강 정보
인권센터
센터소개
이용 안내
인권침해 상담
상담신청 방법
인권침해 사안 처리 절차
공지사항
인권센터 규정
장애학생지원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장애학생지원
공지사항
사회봉사지원센터
스마트 학사/ IT서비스 안내
한밭스마트서비스
모바일 출입관리 시스템(앱)
차량 및 개인형 이동장치
차량등록
개인형 이동장치
시설 원스톱서비스
신청하기
신청내역
학생증 발급
국제학생증발급
학생생활관
병무정보
학생병무안내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 홍보동영상
ROTC Q&A(질의응답)
육군학생군사학교 링크
국내외대학교정보
국내대학 리스트
세계대학랭킹TOP100
학생국제교류
진로·취업 원스톱 서비스
진로 · 취업 프로그램 신청
상담신청
채용정보
성공취업컨텐츠/AI자소서•면접클리닉
한밭LIVE
공지사항
행사안내
HANBAT 뉴스
일반/홍보
교육/연구
교류/산학
한밭People
HANBAT 미디어
홍보동영상
홍보브로슈어
한밭갤러리
한밭디자인
한밭영상
대학현황
HANBAT 사용설명서
HANBAT 대학원 사용설명서
뉴스레터
뉴스레터
뉴스레터 구독및취소
한밭SNS
공식 SNS Hub
기타 SNS
언론에서 본 HANBAT
ZOOM IN HANBAT
정보광장
주거정보
아르바이트
분실/습득물
온라인장터
카풀해요
자유게시판
글로컬대학 30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글로컬대학 30 (Q&A)
닫기
HIGH
HANBAT
HOME
한밭LIVE
HANBAT 뉴스
한밭People
공유
네이버 SNS
공유하기
트위터 SNS
공유하기
페이스북 SNS
공유하기
네이버 밴드
공유하기
URL
복사하기
닫기
프린트
한밭People
게시물 검색
총 게시물
518
,
페이지
10
/ 52
-전체-
제목
작성자
페이지당 게시물수
10
20
30
50
적용
2023학년도 2학기 신임교원 임명장 수여식 개최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7693
□ 우리 대학은 지난 1일 오전 대학본부 중회의실에서 2023학년도 2학기 신임교원 임명장 수여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열린 수여식에는 오용준 총장과 임윤택 교학부총장 등 주요 보직자가 참석해 함께 축하했으며, ▴화학생명공학과 박제희, 김신혁 ▴인공지능소프트웨어학과 현장훈 ▴전기공학과 김민아 ▴컴퓨터공학과 이상금 ▴반도체시스템공학과 김문석 ▴산업디자인학과 김도엽 ▴시각영상디자인학과 박만기 ▴일본어과 신웅철 교수가 임명장을 받았다.□ 우리 대학 오용준 총장은 신임교원들에게 한밭대학교의 가족이 된 것을 환영하며, 후학양성 및 연구에 힘써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등록일
2023-09-06 13:26:23
창의융합학과 이재현·이종희 교수, Taylor & Francis Award 수상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4350
□ 우리 대학은 창의융합학과 이재현, 이종희 교수가 지난 22일부터 25일까지 진행된 The 23rd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IMID 2023) 국제학술대회에서 Taylor 저널 오브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JID)에 지난 1년 동안 실린 논문들 중에서 학술적 가치가 높은 논문을 선정해 수여하는 학술상이다.□ 우리 대학 이재현, 이종희 교수는 이 학술지 2022년 23권에 발표한 Efficient tandem organic light-emitting diode with fluorinated hexaazatrinaphylene charge generation xss-layer(효율적 탠덤 유기전기발광소자 구현을 위한 플루오린이 치환된 헥사아자트리나프탈렌 전하생성층)이라는 논문으로 선정됐다.○ 본 연구는, 현재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상용화 되어 있는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의 효율 및 수명 향상을 위한 대표 구조인 탠덤 유기발광소자의 구현에 필수적인 전하생성층에 적합한 신규 소재층과 관련한 것으로, 유기전기발광소자 기반 디스플레이 성능 개선 기여가 기대된다.○ 연구팀은 기존 전하생성층 소재로 널리 사용되어온 HATCN을 대체할 수 있는 플루오린이 치환된 헥사아자트리나프탈렌 전하생성층을 도입하여, 기존 소자 대비 향상된 전기적 특성 및 효율 특성을 확인했다.□ 한편,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2018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사업(한밭대학교 인쇄전자 3D 프린팅 공학 연구소) 및 2022 중견연구자지원 사업(생분해성 소재 기반 생체 적합형 피부 부착 다기능 스마트기기 구현 및 특성 연구)의 지원으로 수행했다.
등록일
2023-08-31 09:42:19
일본어과 한인범 학생, 일본정부 초청 국비유학생 선발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3749
□ 우리 대학은 일본어과에 재학 중인 한인범 학생이 2023년도 일본정부 초청 국비유학생(2023年度の日韓共同高等教育留学生交流事業(学部1年コース))에 최종 선정됐다고 29일 밝혔다.○ 일한공동 고등교육 유학생교류사업(학부 1년 코스)은 일본과 한국 학생간의 상호 교류 확대와 일본에서 연구함으로써 일본과 한국간의 가교 역할을 할 인재를 육성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이다.○ 한인범 학생은 입학 때부터 소망해 온 문부과학성 국비유학생에 선발되어 정말 꿈만 같고, 교수님들과 친구들의 아낌없는 도움과 응원 덕에 마침내 꿈을 이룰 수 있게 되었다며, 일본의 정신적 수도 교토에서 일본에 대한 탐구에 정진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살려 한일 양국 간의 이해를 도모하는 인재가 되어 돌아오겠다고 전했다.□ 한편, 한 씨는 이번 국비유학생 선정으로 장학금과 교육비, 왕복 항공권 등을 지원받게 되며, 일본 교토에 있는 도시샤대학에서 공부하게 된다.
등록일
2023-08-29 17:23:59
‘2023 SW중심대학 공동AI경진대회’ 다수 수상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2243
□ 우리 대학은 2023 SW중심대학 공동 AI경진대회에서 재학생들이 3등 1개 팀, 4등 3개 팀, 특별상 2개 팀 등 총 6개 팀이 입상하는 쾌거를 거두었다고 밝혔다.○ SW중심대학 공동 AI 경진대회는 SW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학생들의 문제해결 능력 증진을 목적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 주최하고 정보통신기획평가원과 SW중심대학협의회가 주관한다.○ 이번 대회는 지난 7월부터 8월 초까지 온라인으로 예선과 본선을 진행했으며, 총 301개 팀이 참가해 위성 이미지 건물 영역 분할을 주제로 예선을 치렀고, 이 중 상위 25개의 본선 진출 팀을 선정해 온라인 발표 평가를 진행했다.□ 최종 평가를 거쳐 총 22개의 수상 팀이 결정됐으며, 우리 대학은 3등 AIRLab팀(박효빈, 정진욱, 이상욱, 구나영/지도교수 정보통신공학과 최동걸), 4등 AIM팀(김동수, 오서연, 서형원, 이지준/지도교수 컴퓨터공학과 장한얼), RVLab팀(김성진, 김민성, 오용석, 박상혁, 박소은/지도교수 전자공학과 곽수영), DfX팀(신유정, 마하나로, 이다혜/지도교수 컴퓨터공학과 이현빈)이 선정됐다.□ 또, AIMLP팀(이지상, 이용빈, 육정훈/지도교수 컴퓨터공학과 장한얼), SWCV팀(안희진, 이창환, 이원호, 이승주/지도교수 정보통신공학과 최동걸)이 각각 특별상을 수상했다.□ 우리 대학 SW중심대학사업단장 황경호 교수는 SW중심대학 공동 AI 경진대회는 매년 SW중심대학사업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의 AI 기술을 겨루는 대회로, 작년에 이어 올해도 우수한 성적을 거둘 수 있었던 것은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 분야 교수님들의 훌륭한 교육을 바탕으로 참여 학생들이 노력한 결과이며, 앞으로도 한밭대학교 SW중심대학사업을 통해 전교생의 소프트웨어와 인공지능 역량강화를 위해 더욱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경진대회의 시상식은 오는 11월 3일 열리는 SW인재페스티벌 행사에서 오프라인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등록일
2023-08-21 09:34:51
이승윤 교수 연구팀, 반도체 공정 이용 복합신소재 합성 기술 개발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5129
□ 우리 대학은 신소재공학과 이승윤 교수 연구팀이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이 가능한 지르코니아-칼코게나이드 복합신소재 합성에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팀이 이번에 합성에 성공한 복합신소재는 지르코니아 나노입자와 칼코게나이드 반도체로 이루어졌으며, 투명하면서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난 지르코니아와 투명도 조절 특성이 있는 칼코게나이드 반도체의 장점을 동시에 갖춘 새로운 소재이다.□ 대부분의 복합소재는 매질(matrix)과 분산상(dispersed phase)이라는 두 가지의 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매질이 연속적으로 연결되면서 분산상을 감싸는 구조를 갖는 복합소재는 하나의 재료로는 얻을 수 없는 특성을 갖는 장점이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여 합성에 어려움이 있다.○ 이 교수 연구팀은 에너지 입력 조건에 따라 칼코게나이드 매질의 투명도가 변화하며 지르코니아 분산상의 미세구조에 따라 투과하는 가시광선의 파장이 달라지는 점에 착안하여 합성 조건별로 다양한 색상과 명암을 갖는 복합신소재를 개발했다.○ 본 연구에서 반도체 포토공정 및 배선공정에서 이용되는 스핀코팅과 박막 리플로(reflow) 기술을 바탕으로 합성법을 정립하고, 지르코니아 나노입자 사이의 빈자리를 칼코게나이드 반도체로 채움으로써 복합신소재 구조를 구현했다.○ 연구책임자인 이승윤 교수는 복합신소재를 BIPV용 투명 태양전지에 적용하여 컬러화를 통해 심미성을 개선하면서 태양전지 효율까지 높였다며, 이번에 개발한 복합신소재를 차세대 상변화 메모리에 적용하면 정보쓰기 전력도 낮출 수 있으므로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 및 광학 디바이스에서 핵심 소재로서의 응용이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과 한국전력공사전력연구원의 지원을 받았으며, 관련 연구 결과는 Microstructural Analysis and Optical Property Control of GeTe Chalcogenide-Zirconia Nanoparticle Nanocomposite Films for Device Application의 제목으로 미국화학회에서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ACS Applied Electronic Materials에 지난 9일 게재됐다.
등록일
2023-08-11 15:37:08
컴퓨터공학과 학생들,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KCC) 우수발표논문상 수상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4854
□ 우리 대학 컴퓨터공학과 학부생들이 지난달 18일 한국정보과학회가 주관한 2023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에서 지식 그래프 임베딩을 활용한 시각정보 기반 질의응답이라는 주제로 우수발표논문상을 수상했다.○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Korea Computer Congress, KCC)는 지난 1973년 처음 개최되어 올해로 50주년을 맞이했으며, IT 분야의 선진 연구 결과와 미래 비전을 공유하고, 다양한 IT 이슈를 토론하는 학문의 터전으로서의 역할을 해 왔다.○ 컴퓨터공학과 김민준, 송승우 학생이 발표한 이번 논문은 최근의 인공지능 연구 분야 중 하나인 지식 기반의 시각 기반 질의응답(VQA: Visual Question Answering)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VQA는 이미지와 그에 관련된 질문이 주어졌을 때 답변을 도출하는 인공지능 기술로 이는 시각 장애인들이 주변 환경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거나 유아의 교육 등에 활용될 수 있다.○ 학생들은 본 연구에서 지식그래프 임베딩 방법을 통해, DBpedia 혹은 Wikipedia의 지식 정보를 임베딩 공간으로 투영시킨 후 VQA 모델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했다.□ 학생들을 지도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응용인공지능학과(전 한밭대 컴퓨터공학과) 임경태 교수는 학부생임에도 불구하고 수준 높은 연구를 가능하게 노력해준 학생들에게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전했다.
등록일
2023-08-07 11:05:01
윤창민 교수 연구팀, Advanced Science 논문 게재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4696
□ 우리 대학 화학생명공학과 윤창민 교수(교신저자)와 제갈석 석사연구원(제2저자)은 전도성 고분자가 코팅된 다공성의 탄소시트 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에너지 저장 매체에 응용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연구는 최상위 다학제 SCI 저널인 Advanced Science(IF 17.521)의 2023년 10권 21호에 Polyaniline-Coated Mesoporous Carbon Nanosheets with Fast Capacitive Energy Storage in Symmetric Supercapacitors라는 제목으로 지난 27일 게재됐고, 속표지논문(Inside front cover)으로 선정됐다.○ 윤 교수 연구팀은 산화철 나노입자를 치밀하게 배열하고 탄화와 에칭을 통해 제조한 다공성 탄소시트(Carbon sheet)의 표면에 전도성 고분자인 폴리아닐린을 기상중합으로 코팅하여 비표면적, 전기전도성과 이온 수송 능력이 탁월한 소재를 개발했다.○ 해당 물질을 전극으로 제조하고 에너지 저장 매체의 한 종류인 대칭형 슈퍼커패시터(양전극이 같은 물질로 이루어짐)로 응용한 결과, 소자의 전기저항이 2.7으로 극도로 낮으며, 가해진 전류밀도(0.5A/g)에서 9.59Wh/kg의 우수한 에너지 밀도와 200.1W/kg의 파워 밀도를 보임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윤창민 교수와 제갈석 연구원은 앞으로도 우수한 성능을 지닌 차세대 에너지 저장매체용 소재를 지속 개발하여 실제 상용화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전했으며, 해당 연구는 한국연구재단(NRF) 지원 및 국방과학연구소(ADD) 미래도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수행됐다.
등록일
2023-08-02 09:53:15
김정현 교수 연구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핵심기술 특허 2건 등록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3082
□ 우리 대학은 신소재공학과 김정현 교수 연구팀이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공기극에 관한 연구로 핵심 기술 2건을 특허 등록했다고 밝혔다.○ 먼저 지난 4일에 등록된 다공성 전극의 전기전도도 측정 방법(특허 번호 제10-2553115호)은 기존 치밀한 공기극의 전기전도도를 일반적으로 발표하는 관행에서 벗어나 치밀한 공기극 및 다공성 공기극의 전류 인가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다.○ 또, 지난 6일에 등록된 나노 구조체가 형성된 페로브스카이트 공기극 및 이의 제조 방법(특허 번호 제10-2554185)은 최근 수소에너지분야 국제 저명 학술지인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에 발표한 Generation of nanoflowers and nanoneedles on Co-based xss-layered perovskite of IT-SOFC cathode affecting electrical conductivities 연구를 바탕으로 공기극 표면에 나노플라워(nanoflower) 및 나노니들(nanoneedle)이 형성되는 제조 방법에 관한 내용이다.○ 김정현 교수는 앞으로 공기극의 상업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창업 전략을 체계화하고 있다라고 향후 계획을 밝혔다.□ 한편, 이번 특허 등록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한 신개념 전기전도도 측정 기술을 적용한 다공성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공기극의 전기전도도 특성 규명 연구의 결과이다.
등록일
2023-07-17 14:38:53
류태범·김정한 교수, 제33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수상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564
□ 우리 대학은 산업경영공학과 류태범 교수와 신소재공학과 김정한 교수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제33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고 14일 밝혔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1991년부터 매년 시행해 오고 있는 과학기술우수논문상은 국내 과학 기술계 최고 권위를 인정받는 학술상으로 국내 학회 학술지에 발표한 논문 중 각 학회에서 추천한 우수논문을 평가해 이학공학농수산학보건종합 등 분야별로 수상자를 선정한다.○ 우리 대학 류태범 교수는 대한산업공학회에 발표한 농장비 설계를 위한 한국 척수장애인의 대표 인체모델군 개발로, 김정한 교수는 한국분말재료학회에 발표한 직접 에너지 적층방식으로 제조된 V과 17-4PH 스테인리스강 이종재료의 접합계면 분석 논문으로, 2명 모두 공학 분야의 수상자로 선정됐다.□ 한편, 제33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수상자는 이학 32명, 공학 88명, 농수산학 38명, 보건 56명, 종합 25명으로 총 239명을 선정했다.
등록일
2023-07-14 14:27:48
최동걸 교수 연구팀, ‘CVPR 멀티어스 2023’ 이미지 변환 부문 대회 1위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670
□ 우리 대학 정보통신공학과 최동걸 교수 연구팀(주진기, 노현철, 김민우, 최동걸)이 지난 6월 인공지능 분야 세계 최고 권위 학회인 CVPR(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이 주최하고, MIT 링컨 연구실(Lincoln Lab.)이 주관한 멀티어스(MultiEarth) 2023 워크숍에서 이미지 변환 부문 대회 1위를 차지했다.○ 이번 멀티어스 2023 워크숍에서는 이미지 변환에 관한 과제가 주어졌으며, 이 과제는 AI 기술을 활용하여 입력 이미지를 다른 스타일의 이미지로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참가자들은 아마존 열대우림의 합성개구레이더(SAR) 이미지의 스타일을 전자광학(EO) 이미지 스타일로 변환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하고 경쟁했다.□ 최동걸 교수 연구팀은 다양한 전처리 기법을 사용하여 이미지 변환 문제를 해결했으며, 특히 주어진 데이터 세트에 대해 Conditional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기반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대회에서 제공하는 평가지표에서 1위를 달성,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이번 성과는 우리 대학과 최동걸 교수 연구팀의 연구 역량이 AI 분야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데 큰 도약점이 되었으며, 우리나라의 AI 연구에 대한 국제적인 인식을 높이고 국내 AI 분야의 발전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한다.○ 대회 결과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최동걸 교수 연구팀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https://airlab.hanbat.ac.kr/)
등록일
2023-07-13 14:23:10
<<
첫번째페이지
<
이전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
다음페이지
>>
마지막페이지
만족도조사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제공되는 정보에 대한 평가 내용을 등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