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밭대학교
검색
검색어
열림버튼
통합검색
찾으시는 단어나 검색어를 입력해 주세요!
검색
통합검색
닫기
로그인
언어선택
언어선택
열림버튼
ENG
CHN
전체메뉴
전체메뉴
HI HANBAT
HI HANBAT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대학소개
교육목표
연혁
UI소개
대학상징
개교기념행사
대학통계
대학요람
열린총장실
인사말
프로필
총장님, 할말있어요
역대총장
대학비전
비전 2030
특성화계획
윤리헌장
대학조직
조직도
직원검색
모범직원추천
HANBAT, 영광의순간
한벗소개
한벗은?
HANBAT 3D캠퍼스
학교오시는길
유성덕명캠퍼스
대덕산학융합캠퍼스
세종캠퍼스
시설이용안내
문화체육부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사전정보공표
정보목록
정책실명제
재정현황
업무추진비공개
상품권구매현황
수의계약공개
청렴센터
갑질신고센터
정보공시
자체평가
대학안전관리
개인정보의 목적 외 이용 또는 제3자 제공 및 위탁 사실 공지
발전기금/후원
입학안내
입학안내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입학안내
한밭대학교 입학홈페이지
바로가기
대학·대학원
대학·대학원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대학
대학
바로가기
대학원
대학원
바로가기
산학·연구
산학·연구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국립한밭대학교 LINC 3.0 사업단
산학협력단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연구비관리시스템
연구홍보포털
공동실험실습관
미래창의인재교육원
화학소재상용화지역혁신센터
학사 및 장학정보
학사 및 장학정보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학사공지
학사일정
학부
대학원
학사종합안내
교육과정
수업및수강
성적
학적
졸업
대학규정
규정 제‧개정 공지사항
학사서식
학사상담
학사일반
교직상담
장학금
교내장학제도
장학공지
장학상담
등록금
등록
분할납부
등록금반환
FAQ
인터넷증명발급
인터넷증명발급
증명서 우편발송 서비스(해외)
교직원 인터넷증명발급
대학생활
대학생활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학생활동
총학생회
동아리
학회연합회
통학정보
셔틀버스
임차버스
학생복지
학내편의시설
보건진료소
금주의식단
학생생활공간
학생상담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상담신청
공지사항
마음건강 정보
인권센터
센터소개
이용 안내
인권침해 상담
상담신청 방법
인권침해 사안 처리 절차
공지사항
인권센터 규정
장애학생지원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장애학생지원
공지사항
사회봉사지원센터
스마트 학사/ IT서비스 안내
한밭스마트서비스
모바일 출입관리 시스템(앱)
차량 및 개인형 이동장치
차량등록
개인형 이동장치
시설 원스톱서비스
신청하기
신청내역
학생증 발급
국제학생증발급
학생생활관
병무정보
학생병무안내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 홍보동영상
ROTC Q&A(질의응답)
육군학생군사학교 링크
국내외대학교정보
국내대학 리스트
세계대학랭킹TOP100
학생국제교류
진로·취업 원스톱 서비스
진로 · 취업 프로그램 신청
상담신청
채용정보
성공취업컨텐츠/AI자소서•면접클리닉
한밭LIVE
한밭LIVE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공지사항
행사안내
HANBAT 뉴스
일반/홍보
교육/연구
교류/산학
한밭People
HANBAT 미디어
홍보동영상
홍보브로슈어
한밭갤러리
한밭디자인
한밭영상
대학현황
HANBAT 사용설명서
HANBAT 대학원 사용설명서
뉴스레터
뉴스레터
뉴스레터 구독및취소
한밭SNS
공식 SNS Hub
기타 SNS
언론에서 본 HANBAT
ZOOM IN HANBAT
정보광장
주거정보
아르바이트
분실/습득물
온라인장터
카풀해요
자유게시판
글로컬대학 30
글로컬대학 30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바로가기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바로가기
글로컬대학 30
(Q&A)
글로컬대학 30 Q&A
바로가기
로그인
전체메뉴
열림버튼
언어
ENG
CHN
한밭대학교 블로그
한밭대학교 유투브
한밭대학교 인스타그램
한밭대학교 페이스북
한밭대학교 트위터
HI HANBAT
대학소개
교육목표
연혁
UI소개
대학상징
개교기념행사
대학통계
대학요람
열린총장실
인사말
프로필
총장님, 할말있어요
역대총장
대학비전
비전 2030
특성화계획
윤리헌장
대학조직
조직도
직원검색
모범직원추천
HANBAT, 영광의순간
한벗소개
한벗은?
HANBAT 3D캠퍼스
학교오시는길
유성덕명캠퍼스
대덕산학융합캠퍼스
세종캠퍼스
시설이용안내
문화체육부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사전정보공표
정보목록
정책실명제
재정현황
업무추진비공개
상품권구매현황
수의계약공개
청렴센터
갑질신고센터
정보공시
자체평가
대학안전관리
개인정보의 목적 외 이용 또는 제3자 제공 및 위탁 사실 공지
발전기금/후원
입학안내
대학·대학원
대학
대학원
산학·연구
국립한밭대학교 LINC 3.0 사업단
산학협력단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연구비관리시스템
연구홍보포털
공동실험실습관
미래창의인재교육원
화학소재상용화지역혁신센터
학사 및 장학정보
학사공지
학사일정
학부
대학원
학사종합안내
교육과정
수업및수강
성적
학적
졸업
대학규정
규정 제‧개정 공지사항
학사서식
학사상담
학사일반
교직상담
장학금
교내장학제도
장학공지
장학상담
등록금
등록
분할납부
등록금반환
FAQ
인터넷증명발급
인터넷증명발급
증명서 우편발송 서비스(해외)
교직원 인터넷증명발급
대학생활
학생활동
총학생회
동아리
학회연합회
통학정보
셔틀버스
임차버스
학생복지
학내편의시설
보건진료소
금주의식단
학생생활공간
학생상담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상담신청
공지사항
마음건강 정보
인권센터
센터소개
이용 안내
인권침해 상담
상담신청 방법
인권침해 사안 처리 절차
공지사항
인권센터 규정
장애학생지원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장애학생지원
공지사항
사회봉사지원센터
스마트 학사/ IT서비스 안내
한밭스마트서비스
모바일 출입관리 시스템(앱)
차량 및 개인형 이동장치
차량등록
개인형 이동장치
시설 원스톱서비스
신청하기
신청내역
학생증 발급
국제학생증발급
학생생활관
병무정보
학생병무안내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 홍보동영상
ROTC Q&A(질의응답)
육군학생군사학교 링크
국내외대학교정보
국내대학 리스트
세계대학랭킹TOP100
학생국제교류
진로·취업 원스톱 서비스
진로 · 취업 프로그램 신청
상담신청
채용정보
성공취업컨텐츠/AI자소서•면접클리닉
한밭LIVE
공지사항
행사안내
HANBAT 뉴스
일반/홍보
교육/연구
교류/산학
한밭People
HANBAT 미디어
홍보동영상
홍보브로슈어
한밭갤러리
한밭디자인
한밭영상
대학현황
HANBAT 사용설명서
HANBAT 대학원 사용설명서
뉴스레터
뉴스레터
뉴스레터 구독및취소
한밭SNS
공식 SNS Hub
기타 SNS
언론에서 본 HANBAT
ZOOM IN HANBAT
정보광장
주거정보
아르바이트
분실/습득물
온라인장터
카풀해요
자유게시판
글로컬대학 30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글로컬대학 30 (Q&A)
닫기
HIGH
HANBAT
HOME
한밭LIVE
HANBAT 뉴스
한밭People
공유
네이버 SNS
공유하기
트위터 SNS
공유하기
페이스북 SNS
공유하기
네이버 밴드
공유하기
URL
복사하기
닫기
프린트
한밭People
게시물 검색
총 게시물
518
,
페이지
11
/ 52
-전체-
제목
작성자
페이지당 게시물수
10
20
30
50
적용
이효주 씨, 대한용접·접합학회 구두발표 우수논문상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863
□ 우리 대학은 신소재공학과 조훈휘 교수 연구팀 소속 이효주 학석사 통합과정생이 지난 28일, 대한용접․접합학회로부터 2023년도 춘계학술대회 결과 구두발표 우수논문상 수상자로 선정됐음을 안내받았다고 밝혔다.○ 이효주 씨가 발표한 주제는 Ti 합금에 대한 전기화학적 수소 장입이 미세조직 및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 수소 장입에 의한 Ti 합금의 미세조직 특성을 전자후방산란회절(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EBSD) 기법으로 분석했으며, 압축 시험으로 초기 Ti 합금과의 기계적 강도를 비교했다.○ 이번 연구에서 음극전기분해법을 이용하여 Ti 합금으로의 수소 장입을 수행했고, 이를 X선 회절 분석기를 사용하여 수소 장입 시간에 따른 수소화물 함량의 변화를 측정했으며, 비커스(Vickers) 경도 시험을 통해 수소 장입에 따른 표면 및 단면 깊이 경도를 분석했다.□ 따라서, 이번 연구로 실제 현장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공정 과정 중 수소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문제점을 확인했으며, 이는 추후 제품의 공정 제어 최적화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 대학 이효주 씨는 늘 좋은 연구를 할 수 있게 조언과 지원을 아끼지 않으시는 지도교수님께 감사하다고 수상소감을 전했다.
등록일
2023-06-30 16:50:46
조진균 교수, 대한설비공학회 우수연구교수상 수상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2675
□ 우리 대학 설비공학과 조진균 교수가 (사)대한설비공학회 우수연구교수상을 수상했다고 27일 밝혔다.○ 조 교수는 지난 22일 강원도 용평리조트에서 열린 대한설비공학회 2023년 하계학술발표대회에서 설비공학 분야의 우수한 연구를 통해 학술 및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학회 발전을 위해서 헌신적으로 봉사한 공을 인정받아 이 상을 수상하게 됐다.○ 조 교수는 2020년부터 최근 3년간 대한민국에서 큰 이슈가 된 데이터센터 에너지 효율화 설비솔루션과 신종 감염병 대응 긴급치료(음압)시설 구축과 관련하여 10개 이상의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다.○ 그 성과로 39편의 국내외 저명 학술논문 게재와 6개의 국내특허를 등록 및 출원했다.□ 한편, 사단법인 대한설비공학회는 1971년 설립 이래 거주공간의 안전성과 쾌적성을 제공하기 위한 건축설비를 비롯해 생산현장의 효율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각종 플랜트 설비의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연구개발, 학술지 발간, 표준제정, 편람출판, 교육사업 등을 통해 새로운 시대의 에너지 및 환경기술을 선도해 나가고 있다.
등록일
2023-06-27 08:43:37
이지상·김동수·오서연 학생,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 하계학술대회' 해양경찰청장상 수상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2070
□ 우리 대학은 20일 성균관대학교에서 열린 2023년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 하계학술대회에서 컴퓨터공학과 이지상, 김동수, 오서연 학생이 우수논문으로 해양경찰청장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는 디지털 데이터와 관련된 법적, 기술적, 정책적인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연구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실무적․융합적 성격을 가진 학술단체로, 2006년 창립 이래 지난 17년간 매년 전국 규모의 학술발표대회를 개최해 관련 연구결과들을 공유해 오고 있다.○ 우리 대학 컴퓨터공학과 3학년 이지상, 김동수, 오서연 학생은 이번 학술발표대회에서 중간값 필터와 앙상블 모델을 활용한 경량 위조 지문 탐지 기법을 주제로 논문을 발표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중간값 필터를 사용하여 실제 지문과 위조 지문의 차이를 극대화하고 딥러닝 모델 대비 0.001%의 매우 적은 파라미터 수의 위조 지문 탐지 경량 모델을 제안했으며, 해당 모델은 CPU 환경에서 초 당 수천 장의 위조 지문 탐지가 가능하다.○ 학생들을 지도한 컴퓨터공학과 장한얼 교수는 지난해에도 연구실 선배 학생들이 경찰청장상을 수상하는 우수한 성과를 보여줬는데 올해에도 후배들이 그 뒤를 이어 대견하다며, 열정과 끈기로 연구에 임해준 학생들이 자랑스럽고 앞으로 더 큰 성장을 이루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우리 대학 컴퓨터공학과 장한얼 교수가 지도하는 AIM(Artificial Intelligence & Media) 연구실은 인공지능 기반의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매년 관련 분야의 학술대회와 인공지능 경진대회에 참여하여 우수한 성과를 달성하고 있다.
등록일
2023-06-21 10:18:23
임지민 대학원생, 국제학술지 제1저자로 논문 등재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405
□ 우리 대학은 신소재공학과 김정현 교수 연구팀(고체산화물에너지디바이스 연구실, 교신저자) 소속의 임지민 대학원생(응용소재공학과 석사과정)이 국제수소에너지협회에서 발행하는 저명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에 제1저자로 논문을 게재했다고 밝혔다.○ 이번 논문은 Generation of nanoflowers and nanoneedles on Co-based xss-layered perovskite of IT-SOFC cathode affecting electrical conductivities이며,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공기극의 인가전류별 미세구조 특징을 분석한 내용이다.○ 임지민 학생은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보이는 층상 페로브스카이트 구조 SmBa0.5Sr0.5Co2O5+d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공기극을 이용하여 미세구조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인가전류 값의 변화로 인해 미세구조 변화가 나타났으며, 이때 나노니들(nanoneedle) 및 나노플라워(nanoflower)와 같은 특이한 형상의 미세구조가 관찰됐다.○ 특히 나노니들은 공기극 표면 전체에 형성됐으며 이는 공기극의 전기전도도를 향상시켰고, 따라서 인가전류 값 차이로 인한 공기극 표면 미세구조 변화가 공기극의 전기적 성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임지민 학생은 연구팀 내 자유로운 발표 분위기 속에서 다양한 의견을 통해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었다라며, 진행하고 있는 실험에 대해 색다른 관점으로 접근하여 좋은 논문을 작성하고 싶다라는 계획도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았으며, 국제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지 온라인판 지난 12일자(https://doi.org/10.1016/j.ijhydene.2023.05.327)에 게재됐다.
등록일
2023-06-16 10:53:01
윤창민 교수, 한밭대 교직원 최초 반도체 관련 유튜브 크리에이터 공식 활동 시작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2849
□ 우리 대학 화학생명공학과 윤창민 교수가 우리 대학 교직원 최초로 반도체 패키징 관련 유튜브 크리에이터로 공식 활동을 겸하게 됐다.○ 반도체 패키징은 전공정에서 제조한 웨이퍼 단위의 반도체 IC칩을 목적에 맞게 전기적으로 연결, 보호 및 신뢰성을 확보하는 공정을 의미하는데 최근 전공정에서의 선폭의 미세화가 한계에 도달하여 패키징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삼성전자에서도 AVP(Advanced Packaging) 사업부를 신설하여 전폭적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윤창민 교수는 반도체 후공정 연구실 채널을 운영 중이며, 반도체 패키징(후공정)의 공정, 분석법, 소재, 개발, 취업 팁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윤 교수는 이번 활동과 관련하여 수요에 비해 반도체 전공정 대비 반도체 패키징에 관련된 정보를 접할 방법이 많지 않기에 화학생명공학과를 포함한 많은 학생들에게 반도체 패키징에 대해 알려주고, 취업의 기회를 제공하고 싶어 시작한 유튜브 채널을 통해 겸직허가까지 받게 되어 신기하다고 말했다.○ 또, 지금은 한밭대를 포함한 전국에서 많은 취업 준비생들이 살펴보는 채널이 되었고 실제 구독자의 취업 소식도 종종 들린다며, 앞으로도 더욱 많은 반도체 패키징 관련 콘텐츠 업로드를 통해 학생들의 성장을 돕고, 채널 운영을 통해 발생하는 수익은 전액 대학과 학과의 장학금으로 기부할 계획이다고 소감을 전했다.□ 한편, 윤창민 교수는 반도체 패키징 관련 경험과 연구를 바탕으로 나노종합기술원의 나노전문인력양성사업에 강의 및 면접위원, 대전시 협의체 자문위원, 한국기술교육대 온라인 반도체패키지개론 강의 등으로 활발히 활동 중이며, 내달 삼성전자에서 진행하는 ESG경영 세미나에서 강연할 계획이다.
등록일
2023-06-15 13:20:00
화학생명공학과, 2023년 춘계 한국공업화학회 구두발표 최우수상 등 다수 수상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5025
□ 우리 대학은 화학생명공학과 윤창민 교수 연구팀의 석사과정생 김지원, 김하영, 김찬교, 추연룡 학생이 2023년 한국공업화학회 춘계 학술대회에서 구두발표 최우수상을 포함한 총 4편의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는 지난 10일부터 12일까지 제주컨벤션센터에서 열렸으며, 2,340편의 학술논문이 발표됐다.○ 먼저 김지원 대학원생은 형태학적 변화에 따른 실리카/티타니아 기반의 검은색 라이다 감응형 소재의 성능 향상 연구라는 주제로 전국 유수의 대학들과 경쟁하여 한국공업화학회에서 우리 대학 최초로 구두발표 최우수상(석사과정)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다.○ 그리고, 김하영 대학원생은 자율주행차량과 반도체 패키징에 동시에 적용될 수 있는 나노 물질의 개발, 김찬교 대학원생은 PVA 필름의 빠른 플라즈마 처리를 통한 슈퍼커패시터 소자의 전기화학적 성능 향상, 추연룡 대학원생은 상수와 공업용수를 활용하여 제조한 균일한 실리카 나노 입자의 전기감응형 스마트유체 시스템 개발로 각각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해당 연구들은 한국연구재단 지원 및 국방과학연구소 미래도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수행됐으며, 이들을 지도한 화학생명공학과 윤창민 교수는 지난 22년 추계 한국공업화학회에 이어 이번 학술대회에서도 우리 대학을 대표하여 4개의 상을 수상하였고, 최초로 구두발표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업적까지 달성하여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 또, 지역대학 위기라는 말이 계속 나오고 있지만, 그 위기는 교수와 학생을 포함한 모든 구성원들이 매 순간 최선을 다해 슬기롭게 헤쳐 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윤 교수는 2022년도 우리 대학 우수교수(공로분야)와 산학협력단 우수연구자(2022년 연구과제 수주비 6.14억원)로 선정되어 오는 23일 우리 대학 개교 제96주년 기념행사에서 2개 부문 수상자로 표창 받는다.
등록일
2023-05-19 13:19:28
설비공학과, 2023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우수논문상 수상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5999
□ 우리 대학은 설비공학과 조진균, 박병용 교수, 장승민 대학원생이 지난 11일 2023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우수발표논문상 선정결과, 일반부문 구두발표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고 전했다.○ 연구팀(조진균, 박병용 교수, 장승민 대학원생,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신철웅 책임연구원)은 이번 대회에서 보건복지부의 감염병의료안전강화기술개발사업 성과의 일환으로 감염균 전파 방지 국부환기정화 장치의 청정화능력 평가 연구논문을 발표했다.○ 본 연구를 통해 음압시설 등이 마련되지 않은 일반병실에서도 의료종사자의 의료행위 시 고위험 감염자의 감염균으로부터 의료진의 안전한 의료행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공기감염균제거용 국부환기정화장치의 실험을 통한 감염저감 효과를 검증했다.□ 한편, 대한건축학회는 우리나라의 유일한 종합건축연구단체로 건축 관련 다양한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27,000여 명의 회원들이 학술회의 등을 통해 교류하고 있으며, 유관 단체들과 협력하여 학문적 연구를 촉진하고, 혁신기술 개발과 대중화로 국가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등록일
2023-05-16 16:10:57
응용소재공학과 유한결 대학원생, 대한금속·재료학회 ‘학생구두발표 우수상’ 수상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8071
□ 우리 대학은 대학원 응용소재공학과 유한결 석사과정생이 대한금속․재료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대회에서 학생구두발표 우수상을 수상했다고 10일 밝혔다.○ 신소재공학과 조훈휘 교수 연구팀 소속인 유한결 씨가 발표한 연구주제는 단일 패스 마찰교반처리로 만든 순알루미늄/산화 그래핀 복합재의 미세구조 및 기계적 특성이다.○ 이 연구결과의 가장 큰 특장점은 고상 처리 기술을 통해 복합재를 제조함으로써 총 제조비용 감소 및 연성 손실이 없는 강도-연성 시너지 효과를 달성한 것으로, 향후 알루미늄 기지 복합재 개발 분야에서의 연구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연구생이기도 한 유한결 씨는 이번 경험을 토대로 더 좋은 연구결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발표준비에 많은 조언과 도움을 주신 지도교수님과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지원에 감사드린다고 소감을 전했다.
등록일
2023-05-10 14:04:41
신소재공학과 박준식 교수, 초고온 코팅 기술 개발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4820
□ 우리 대학은 신소재공학과 박준식 교수가 최근 초고온 하이엔트로피 소재의 내산화 내삭마 코팅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전 세계적으로 초고온 소재는 전투기와 미사일의 엔진 소재 뿐 아니라 우주산업의 발사체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다.○ 특히 엔진 소재 분야는 소재의 선정이 엔진의 온도, 즉 발사체의 속도와 연료효율성 등에 매우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미국과 일본, 유럽 등에서 꾸준히 개발되는 주제이다.○ 선진국에서는 기존 발사체의 엔진 등에 사용되던 초내열합금 보다 높은 온도의 금속 소재를 찾고자 노력해 왔고, 고온용 합금으로 융점이 2500도 이상인 Mo 혹은 Nb 기지의 소재를 후보군으로 찾았으나, 최근 고융점의 내화 금속(Refractory xss-metals)을 다량으로 균등 첨가하는 하이엔트로피 합금(High entropy alloy)이 개발되어 이 소재를 고온용 소재로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고온용 합금은 내산화성이 매우 낮아 400~800도 이상의 온도에서 대기 중에 노출되면, 산화되어 산화물이 승화되는 특성이 나타나므로 원래 부품의 형상을 유지할 수 없고 부품이 소실되거나 손실 변형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박준식 교수는 그동안 고온소재의 개발과 더불어 고온에서 사용할 수 있는 코팅을 개발해 왔는데 고온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고융점의 집합체인 AlMo0.5NbTa0.5TiZr 하이엔트로피 합금을 모재로 선정하여 이를 고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확산코팅으로 silicide 내산화 내삭마 코팅을 진행했고, 코팅모델과 더불어 1300도에서도 우수한 내산화성을 갖는 확산 코팅층을 개발하여 이를 인정받았다.○ 이번 연구에는 황철홍, 오정석 대학원생, 키란신대 연구교수, 그리고 같은 학과의 정중희, 이상엽 교수가 함께 참여해 계면 디자인과 분석을 수행했다.○ 박 교수의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고온에서 안정적인 코팅층을 유지할 수 있는 고온소재 설계와 고온부품의 설계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본 연구는 소재분야 상위수준의 논문인 SCI급 국제학술지 Corrosion Science에 논문으로 출판됐다.
등록일
2023-05-04 10:30:46
신소재공학과 홍유택 학생, 2023 한국세라믹학회 우수 논문상 수상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3489
□ 우리 대학은 신소재공학과 고체산화물에너지디바이스 연구실의 홍유택 학부생이 2023 한국세라믹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한 2건의 연구가 모두 우수 논문상에 선정됐다고 3일 밝혔다.○ 홍유택 학생은 먼저 Microstructure analysi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igh-performance films for oxide-based lithium super ion conductors를 발표하여 양송 포스터상-우수상에 선정됐다.○ 본 연구를 통해 가넷구조의 전고체전지 전해질의 테이프 캐스팅(tape casting)에 따른 미세구조 특성과 기계적인 강도에 대한 관련성을 밝혔다.○ 또, Effect of calcination temperature on ionic conductivity of all-solid-state battery electrolytes를 발표하여 KCerS 우수포스터상에 선정됐는데, 이 연구는 하소 온도를 통해 전고체전지의 리튬 이온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연구결과로 요약할 수 있다.○ 세라믹 기반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전고체전지의 합성/전기화학 특성 분석을 연구하고 있는 우리 대학 신소재공학과 김정현 교수는 홍유택 학생 스스로 연구에 대한 끊임없는 의문을 갖고 매진해 구체적인 실험 결과로 밝혀낸 성과로, 최근 발생하고 있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폭발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핵심 연구이며, 이를 기반으로 간과되어 왔던 전고체전지 전해질 물질의 공정상의 이슈를 해결 할 수 있는 중요한 연구결과이다라고 밝혔다.○ 홍유택 학생은 매주 진행하는 그룹미팅의 자유로운 발표와 교수님의 관심으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며, 향후 대학원에 진학해 더 우수하고 안정적인 특성을 보이는 전고체전지 전해질의 개발에 집중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우리 대학 고체산화물에너지디바이스 연구실은 지난해에도 한국세라믹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연구생 전원이 우수 논문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으며, 이번 수상은 한국연구재단(과기정통부)에서 지원하는 나노 및 소재 기술개발사업(미래기술연구실)의 고성능 전고체전지 구현을 위한 산화물계 리튬 초이온전도체용 고성능 필름 제조에 관한 연구 결과이다.
등록일
2023-05-03 10:19:37
<<
첫번째페이지
<
이전페이지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다음페이지
>>
마지막페이지
만족도조사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제공되는 정보에 대한 평가 내용을 등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