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밭대학교
검색
검색어
열림버튼
통합검색
찾으시는 단어나 검색어를 입력해 주세요!
검색
통합검색
닫기
로그인
언어선택
언어선택
열림버튼
ENG
CHN
전체메뉴
전체메뉴
HI HANBAT
HI HANBAT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대학소개
교육목표
연혁
UI소개
대학상징
개교기념행사
대학통계
대학요람
열린총장실
인사말
프로필
총장님, 할말있어요
역대총장
대학비전
비전 2030
특성화계획
윤리헌장
대학조직
조직도
직원검색
모범직원추천
HANBAT, 영광의순간
한벗소개
한벗은?
HANBAT 3D캠퍼스
학교오시는길
유성덕명캠퍼스
대덕산학융합캠퍼스
세종캠퍼스
시설이용안내
문화체육부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사전정보공표
정보목록
정책실명제
재정현황
업무추진비공개
상품권구매현황
수의계약공개
청렴센터
갑질신고센터
정보공시
자체평가
대학안전관리
개인정보의 목적 외 이용 또는 제3자 제공 및 위탁 사실 공지
발전기금/후원
입학안내
입학안내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입학안내
한밭대학교 입학홈페이지
바로가기
대학·대학원
대학·대학원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대학
대학
바로가기
대학원
대학원
바로가기
산학·연구
산학·연구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국립한밭대학교 LINC 3.0 사업단
산학협력단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연구비관리시스템
연구홍보포털
공동실험실습관
미래창의인재교육원
화학소재상용화지역혁신센터
학사 및 장학정보
학사 및 장학정보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학사공지
학사일정
학부
대학원
학사종합안내
교육과정
수업및수강
성적
학적
졸업
대학규정
규정 제‧개정 공지사항
학사서식
학사상담
학사일반
교직상담
장학금
교내장학제도
장학공지
장학상담
등록금
등록
분할납부
등록금반환
FAQ
인터넷증명발급
인터넷증명발급
증명서 우편발송 서비스(해외)
교직원 인터넷증명발급
대학생활
대학생활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학생활동
총학생회
동아리
학회연합회
통학정보
셔틀버스
임차버스
학생복지
학내편의시설
보건진료소
금주의식단
학생생활공간
학생상담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상담신청
공지사항
마음건강 정보
인권센터
센터소개
이용 안내
인권침해 상담
상담신청 방법
인권침해 사안 처리 절차
공지사항
인권센터 규정
장애학생지원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장애학생지원
공지사항
사회봉사지원센터
스마트 학사/ IT서비스 안내
한밭스마트서비스
모바일 출입관리 시스템(앱)
차량 및 개인형 이동장치
차량등록
개인형 이동장치
시설 원스톱서비스
신청하기
신청내역
학생증 발급
국제학생증발급
학생생활관
병무정보
학생병무안내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 홍보동영상
ROTC Q&A(질의응답)
육군학생군사학교 링크
국내외대학교정보
국내대학 리스트
세계대학랭킹TOP100
학생국제교류
진로·취업 원스톱 서비스
진로 · 취업 프로그램 신청
상담신청
채용정보
성공취업컨텐츠/AI자소서•면접클리닉
한밭LIVE
한밭LIVE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공지사항
행사안내
HANBAT 뉴스
일반/홍보
교육/연구
교류/산학
한밭People
HANBAT 미디어
홍보동영상
홍보브로슈어
한밭갤러리
한밭디자인
한밭영상
대학현황
HANBAT 사용설명서
HANBAT 대학원 사용설명서
뉴스레터
뉴스레터
뉴스레터 구독및취소
한밭SNS
공식 SNS Hub
기타 SNS
언론에서 본 HANBAT
ZOOM IN HANBAT
정보광장
주거정보
아르바이트
분실/습득물
온라인장터
카풀해요
자유게시판
글로컬대학 30
글로컬대학 30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바로가기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바로가기
글로컬대학 30
(Q&A)
글로컬대학 30 Q&A
바로가기
로그인
전체메뉴
열림버튼
언어
ENG
CHN
한밭대학교 블로그
한밭대학교 유투브
한밭대학교 인스타그램
한밭대학교 페이스북
한밭대학교 트위터
HI HANBAT
대학소개
교육목표
연혁
UI소개
대학상징
개교기념행사
대학통계
대학요람
열린총장실
인사말
프로필
총장님, 할말있어요
역대총장
대학비전
비전 2030
특성화계획
윤리헌장
대학조직
조직도
직원검색
모범직원추천
HANBAT, 영광의순간
한벗소개
한벗은?
HANBAT 3D캠퍼스
학교오시는길
유성덕명캠퍼스
대덕산학융합캠퍼스
세종캠퍼스
시설이용안내
문화체육부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사전정보공표
정보목록
정책실명제
재정현황
업무추진비공개
상품권구매현황
수의계약공개
청렴센터
갑질신고센터
정보공시
자체평가
대학안전관리
개인정보의 목적 외 이용 또는 제3자 제공 및 위탁 사실 공지
발전기금/후원
입학안내
대학·대학원
대학
대학원
산학·연구
국립한밭대학교 LINC 3.0 사업단
산학협력단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연구비관리시스템
연구홍보포털
공동실험실습관
미래창의인재교육원
화학소재상용화지역혁신센터
학사 및 장학정보
학사공지
학사일정
학부
대학원
학사종합안내
교육과정
수업및수강
성적
학적
졸업
대학규정
규정 제‧개정 공지사항
학사서식
학사상담
학사일반
교직상담
장학금
교내장학제도
장학공지
장학상담
등록금
등록
분할납부
등록금반환
FAQ
인터넷증명발급
인터넷증명발급
증명서 우편발송 서비스(해외)
교직원 인터넷증명발급
대학생활
학생활동
총학생회
동아리
학회연합회
통학정보
셔틀버스
임차버스
학생복지
학내편의시설
보건진료소
금주의식단
학생생활공간
학생상담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상담신청
공지사항
마음건강 정보
인권센터
센터소개
이용 안내
인권침해 상담
상담신청 방법
인권침해 사안 처리 절차
공지사항
인권센터 규정
장애학생지원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장애학생지원
공지사항
사회봉사지원센터
스마트 학사/ IT서비스 안내
한밭스마트서비스
모바일 출입관리 시스템(앱)
차량 및 개인형 이동장치
차량등록
개인형 이동장치
시설 원스톱서비스
신청하기
신청내역
학생증 발급
국제학생증발급
학생생활관
병무정보
학생병무안내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 홍보동영상
ROTC Q&A(질의응답)
육군학생군사학교 링크
국내외대학교정보
국내대학 리스트
세계대학랭킹TOP100
학생국제교류
진로·취업 원스톱 서비스
진로 · 취업 프로그램 신청
상담신청
채용정보
성공취업컨텐츠/AI자소서•면접클리닉
한밭LIVE
공지사항
행사안내
HANBAT 뉴스
일반/홍보
교육/연구
교류/산학
한밭People
HANBAT 미디어
홍보동영상
홍보브로슈어
한밭갤러리
한밭디자인
한밭영상
대학현황
HANBAT 사용설명서
HANBAT 대학원 사용설명서
뉴스레터
뉴스레터
뉴스레터 구독및취소
한밭SNS
공식 SNS Hub
기타 SNS
언론에서 본 HANBAT
ZOOM IN HANBAT
정보광장
주거정보
아르바이트
분실/습득물
온라인장터
카풀해요
자유게시판
글로컬대학 30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글로컬대학 30 (Q&A)
닫기
HIGH
HANBAT
HOME
한밭LIVE
HANBAT 뉴스
한밭People
공유
네이버 SNS
공유하기
트위터 SNS
공유하기
페이스북 SNS
공유하기
네이버 밴드
공유하기
URL
복사하기
닫기
프린트
한밭People
게시물 검색
총 게시물
518
,
페이지
20
/ 52
-전체-
제목
작성자
페이지당 게시물수
10
20
30
50
적용
한밭대-카이스트 공동연구팀, 원자 한 층 두께의 은 바늘 끼운 고성능 열전소재 개발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156
□ 국립 한밭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오민욱 교수와 KAIST (총장 이광형) 신소재공학과 정연식 교수 공동 연구팀은 은으로 된 원자 한 층 두께의 얇은 바늘이 삽입된 고성능 열전소재를 개발했다.○ 열전소재는 열을 흡수하여 전기로 변환할 수 있는 소재로, 기존의 화석 연료를 대체하여 탄소 저감에 기여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열전소재는 가격 대비 에너지 변환 효율이 매우 낮아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고, 특히 섭씨 400도가 넘는 고온에서 활용되는 열전소재인 텔루륨화 납(PbTe)의 경우 텔루륨이 물질 내에서 빠져나가면서 공공(Vacancy)을 형성하여 열전 성능이 낮아지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공동 연구팀은 물질 내에 텔루륨 공공 형성을 방지할 목적으로 극미량의 은(Ag)을 소재에 첨가하였고, 최첨단 주사형 투과전자현미경을 통해 첨가된 은이 원자 한 층 두께의 바늘 형태로 소재에 고르게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온에서 빠져나가던 텔루륨이 물질 내에 안정화되는 것을 실시간 고온 X선 회절법으로 확인하여 형성된 은 바늘이 텔루륨 공공 형성 저감에 효과적임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실제로 고온 열전 성능을 측정한 결과, 이번에 개발된 소재가 기존 소재 대비 약 31.3% 높은 무차원 열전성능지수(열전소재의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를 나타냈다.□ 한밭대 오민욱 교수는 탄소중립 정책이 국제 사회의 새로운 질서가 됨에 따라 열전소재 원천기술 확보 및 성능 향상이 필수적이다고 말하며, 은 첨가가 텔루륨화 납의 공공 형성을 억제해 높은 열전 성능을 보이는 메커니즘을 실험적으로 밝혀내어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KAIST 장한휘 박사과정과 한국전기연구원 박종호 연구원이 공동 제 1저자로 참여한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미래소재 디스커버리 사업 지원을 받았으며,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 표지 논문으로 지난 21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되었다.
등록일
2021-11-10 10:07:14
설비공학과 학생들, 한국토지주택공사 사장상 등 수상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872
□ 국립 한밭대학교는 지난 15일 국토교통부가 주최한 제1회 그린리모델링 챌린지 시상식에서 설비공학과 학생들이 한국토지주택공사 사장상과 국토안전관리원 원장상을 수상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공모전은 건물 부문 탄소중립 실천과 친환경적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와 LH, 국토안전관리원이 함께 추진하는 그린리모델링 사업을 창의적인 발상으로 널리 알려 대국민 관심제고와 참여를 확대하고자 진행됐다.○ 설비공학과 변상운권두현이주연 학생은 그린리모델링 챌린지 UCC 부문에서 설비공학을 이용한 그린리모델링 챌린지로 한국토지주택공사 사장상인 우수상을 수상했다.○ 또한, 이태연장승민이송민 학생은 에너지 및 온실가스 저감 포스터 부문에서 보건소 에너지 자립화 100% 목표로 국토안전관리원 원장상으로 입선하였다.□ 2팀을 지도한 설비공학과 조진균 교수(학과장)는 학업 외 다양한 외부활동을 통해 식견을 넓혀가는 설비공학과 학생들이 대견스럽고 앞으로도 힘이 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전했다.□ 한편, 시상식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대상 수상자 등 최소 인원만 참여한 가운데 진행됐으며 다른 수상자들은 상장 등을 우편으로 전달받았다.
등록일
2021-10-28 20:14:30
기계공학과 김도훈 학생, 1인 크리에이터 동영상 콘텐츠 경진대회 대상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037
□ 국립 한밭대학교는 지난 21일 기계공학과 김도훈 학생이 한국연구재단이 주최하고 대전권 대학연합 산학협력협의체가 주관하여 진행한 2021년도 1인 크리에이터 동영상 콘텐츠 경진대회에서 대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 대회는 2021 산학협력 EXPO의 한 프로그램으로 산학협력 홍보 및 체험, 특화교육 과정 이수 및 성과, 지역사회 공헌 참여 및 활동 3개의 분야로 나눠 진행됐으며, 이 중 김도훈 학생은 특화교육 과정 이수 및 성과 분야 대상을 수상했다.○ 김도훈 학생은 이번 학기에 독거노인 관련 지원 수업과 기업연계 프로그램에 참여하던 중 이종원 산학협력중점교수의 지도를 받았다.○ 이 교수와 함께 스토리를 기획하고, LINC+사업단에 산학협력에 대한 자문을 구해, 지역병원과 연계해 독거노인의 건강상태를 살피는 내용을 다룬 관‧학 협력 독거노인 지원 특화프로그램 체험이라는 영상을 제작했다.○ 최종인 산학협력부총장은 김도훈 학생의 도전과 열정을 칭찬하며, 앞으로도 학생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Idea)로 지역사회 문제(Needs)를 발굴하고, 대학이 가진 역량(Capability)으로 이를 해결하는 한밭대만의 INC 전략으로 지역사회에 공헌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등록일
2021-10-28 19:39:46
한밭대-서울시립대 공동연구팀, 금속 나노입자 이용 세포 노화 분석 가능한 세포 핵 이미징 방법 개발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721
□ 국립 한밭대학교는 기계공학과 송지환 교수 연구팀과 서울시립대 최인희․박현성 교수 연구팀이 공동 연구로 플라스몬 금속 나노입자의 3차원 배치에 따라 고유의 산란 색 및 산란 파장이 달라지는 광학적 현상을 이용하여 표적하는 히스톤 수식화의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히스톤은 뉴클레오솜*의 중심 단백질로, DNA 사슬이 감기는 실패 역할을 하여 유전자의 발현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뉴클레오솜: 진핵생물 세포에서 히스톤 중심부를 감고 있는 DNA 사슬로 되어 있는 염색질의 구조 단위○ 히스톤의 다양한 수식화 조합인 히스톤 코드는 전사, 복구, 복제 등과 같은 염색질의 거의 모든 활동에 관여하는 판독 단백질(reader protein)에 의해 인식되며 염색질의 구조 및 3차원 위치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히스톤 코드 및 염색질 구조에 일어나는 변화는 암 또는 노화 등 질병 특이적 세포 변화와 긴밀한 관련이 있어 세포 수준에서의 히스톤 수식화의 공간적 분포를 시각화 및 분석하는 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한밭대 기계공학과 연구팀(송지환 교수, 김윤 석사과정)은 이번 연구에서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기반한 이론적인 분석으로 이미징 프로브로 사용된 금속 나노입자의 다양한 3차원적 배열, 거리, 개수에 따른 산란 파장의 변화를 계산했다.○ 그리고, 실제 세포가 노화 과정에서 보여주는 핵 내의 히스톤 수식화의 위상 변화와 그에 따른 광학특성 변화와 비교를 통해 세포 내 표적 위치 간 거리 및 분포를 예측하였다.○ 서울시립대 생명과학과 공동연구팀(최인희 교수, 박현성 교수, 안현지 석사, 장수정 박사)은 종양유전자 유발 노화 과정에 의해 급격한 공간적 재배치가 일어나는 히스톤 수식화인 H3K9me3와 H3K27me3를 플라스몬 금속 나노입자로 표적하였을 때, 나노입자 간 거리가 가까울 경우 나타나는 특유의 커플링 현상에 의하여 노화 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산란 색과 산란 파장의 형태가 역동적으로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플라스몬 커플링이란 두 개 이상의 플라스몬 금속 나노입자 사이의 거리가 특정 범위 이하로 가까워졌을 때 각 나노입자들의 공명이 혼성화 되어 광학 신호가 변화하는 현상이다.○ 이를 이용하면 기존의 세포 이미징에 주로 사용되어 온 유기형광 분자와 비교했을 때보다 더 높은 해상도로 세포 내 표적 위치의 거리 및 공간 분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연구팀은 상기의 원리를 세포핵 내 히스톤 수식화의 3차원적 분포를 예측하는데 처음으로 적용하였고, 금과 은 나노입자의 조합을 통해 산란 파장 변화를 극대화시켜 히스톤 수식화의 분포를 더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실과제, 신진연구과제, 기본연구과제, 중견연구과제와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지원을 받았으며, 세계적인 과학 저널인 Nature Communications지 온라인 판에 10월 8일자로 게재되었다.
등록일
2021-10-19 13:34:30
회계학과 여효청 박사, 중국 쉬저우공학대 교수 임용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499
□ 국립 한밭대학교는 금년 2월 회계학과에서 박사과정을 마친 중국인 유학생 여효청 동문이 중국 쉬저우공학대학교(Xuzhou University Of Technology) 회계학과 교수로 임용됐다는 소식을 전해왔다고 15일 밝혔다.○ 여효청 박사(지도교수 박성환 교수)는 2012년 중국의 한 전문대를 졸업 후 우리나라로 유학을 와서 2013년 9월 한밭대 경영학과에 3학년으로 편입 후 2015년부터 2021년까지는 회계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과정을 이수했다.○ 박사학위 논문으로 주요 고객과 공급자에 대한 의존도가 이익의 질과 위험에 미치는 영향(중국 상장기업을 중심으로)에 대해 연구했다.○ 여 박사는 과거로 돌아가 다시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해도 이 길을 선택하겠다. 왜냐하면 비바람을 겪지 않으면 무지개를 볼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그리고, 인생의 꿈을 갖게 해주신 지도교수님과 학과 교수님들께 감사하며, 앞으로도 성실하게 배우고, 열정을 다해 가르치고 연구하는 좋은 교수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등록일
2021-10-19 13:22:44
창의융합학과 이재현·이종희 교수, JID 우수논문상 수상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050
□ 국립 한밭대학교(총장 최병욱)는 창의융합학과 이재현, 이종희 교수가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가 수여하는 JID 우수논문상(JID Distiguished Paper Award)을 수상했다고 24일 밝혔다.○ 이 상은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가 발간하는 SCIE 등재지인 저널 오브 인포메이션디스플레이(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JID)에 지난 1년 동안 실린 논문들 중에서 학술적 가치가 높은 논문을 선정해 수여하는 학술상이다.○ JID는 2000년 3월에 창간해 매년 4회 발간하는 디스플레이 분야 국제 논문지로, LCD․OLED․LED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등의 최첨단 연구결과 등을 다루며, 미국 정보디스플레이학회(Society for Information Display) 논문지보다 영향력 지수(imfact factor, IF)가 높다.○ 이재현/이종희 교수는 이 학술지 22권에 발표한 용액공정 및 색을 띠는 인듐주석산화물전극 대체 고분자 전극을 이용한 청색인광 유기전기발광소자(Solution-processed colored electrodes for ITO-free blue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란 논문이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연구내용은 현재 발광소자(Light-Emitting Diodes, LED)에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인듐주석산화물전극을 대체할 수 있는 신규 고분자전극 소재 제조 공정에 관련된 것으로,○ 대표적 전도성 고분자 전극 소재인 PEDOT:PSS 소재에 메틸레드(Methyl Red, MR)라는 염료 소재를 도핑하여 전도도를 200배 이상 획기적으로 증가시켜 용액공정 유기전기발광소자(OLEDs)의 성능 향상에 기여하였고, MR 염료의 영향으로 도핑 농도 변화에 따라 부가적 색을 띄는 특성을 보여 주었다.○ 이 연구결과는 디스플레이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플렉시블 유기전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의 차세대 디스플레이 성능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이 연구는 2018 이공분야 대학중점연구소 사업(한밭대학교 인쇄전자 3D 프린팅 공학 연구소) 및 2019 지역대학 우수과학자 지원 사업의 지원으로 수행한 결과이다.
등록일
2021-09-24 17:06:33
산업디자인학과 김승민 교수, 한국기초조형학회 최우수작품상 수상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015
□ 국립 한밭대학교는 산업디자인학과 김승민 교수가 오는 31일까지 태국 촌부리의 부라파대학에서 열리는 2021 한국기초조형학회 국제특별전에서 최우수작품상을 수상했다고 27일 밝혔다.○ 한국기초조형학회는 조형과 디자인 분야에서 국내 최고의 권위를 가진 학회로, Form 본 작품은 빛과 그림자를 통해 드러나는 유선형 형상의 아름다움을 표현했다고 전하며,○ 생명력과 역동성, 그리고 아름다움이 느껴지는 살아 있는 듯한 조형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이러한 형상의 다채로움과 생동감을 산업디자인에 적용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 실험을 계속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등록일
2021-08-27 17:21:52
산업경영공학과 왕리 박사, 중국 청도농업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임용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013
□ 국립 한밭대학교는 금번 2020학년도 후기 학위수여에서 공학박사학위를 받은 산업경영공학과 왕리 박사가 오는 9월부터 중국 청도농업대학교(Qingdao Agricultural University, QAU) 경영대학 교수로 임용되었다고 20일 밝혔다.○ 왕리 박사(지도교수 배성민 교수)는 2017년 9월 한밭대와 언어연수생으로 처음 인연을 맺고 2018년 박사과정에 입학하였으며, 그동안 주저자로 SSCI급 최고 수준(Top-Tier) 학술지 2편 및 국제학술대회 논문 5편을 게재하여 탁월한 연구능력을 인정받았다.○ 왕 박사는 힘들 수 있었던 유학 생활에 많은 도움을 주신 대학 관계자들에게 감사드리며, 무엇보다 박사과정 동안 좋은 논문을 쓸 수 있게 지도해 주신 지도교수님과 학과 구성원들 모두에게 감사드린다며,○ 중국에 돌아가서도 한밭대학교 졸업생이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열심히 생활하고 한국과의 공동연구 및 학생교류 등의 협력에 힘쓰겠다고 하였다.□ 한편, 청도농업대학은 중국 청도에 위치하고 있으며 81개의 학부전공이 있고 3만여 명의 학생이 재학 중인 국립종합대학으로 농업 및 농업경영에 특화된 대학이다. 특히 우리나라, 미국, 독일, 일본 등의 대학들과 활발한 교류를 하고 있다.
등록일
2021-08-24 15:36:22
국립 한밭대 일본어과 송지혜 씨, 2021년도 일본정부 초청 국비유학생 선정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229
□ 일본어과 4학년 송지혜 학생이 2021년도 일본정부 초청 국비유학생(2021年度の日韓共同高等教育留学生交流事業(学部1年コース))에 최종 합격하였다.○ 일한공동 고등교육 유학생교류사업(학부 1년 코스)은 일본인 학생과 한국인 학생간의 상호 교류확대와 일본에서 연구함으로써 일본과 한국간의 가교 역할을 할 인재를 육성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를 위하여 각 대학에서 학생을 추천받아 서류심사, 필기시험(일본어) 및 면접시험 등의 치열한 선발 과정을 거쳐 최종 대상자를 선정한다.○ 송지혜 학생은 1학년 때부터 학과 교수님들께서 관심을 가져주시고, 지도해 주신 덕분에 장학생으로 선발될 수 있었다.며 유학을 통해 일본어와 일본문화를 배우고 향후 유학을 꿈꾸는 후배들의 귀감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학생은 연수기간 동안 일본 히토쓰바시대학에서 수학하며 장학금, 교육비, 왕복 항공권 등을 지원받게 된다.○ 한편 국립 한밭대학교 일본어과는 1999년부터 일본정부 초청 국비유학생 합격자를 꾸준히 배출해 오고 있다.
등록일
2021-08-23 14:54:02
창의융합학과 박현지·이성지 씨, ‘OPC 2021 학술대회’ 우수논문상 수상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425
□ 국립 한밭대학교는 창의융합학과 박현지, 이성지 석사과정생이 각각 지난 4일부터 7일까지 제주 ICC에서 열린 Optics and Photonics Congress 2021(OPC 2021) 학술대회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고 19일 밝혔다.○ 박현지 씨는 Quantum Dot Color Conversion Efficiency improvement using Mixed Scattering Particles 논문을, 이성지 씨는 On Chip Color Filter Top Emitting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for Full-color Displays 논문을 각각 발표하였다.○ 연구주제는 현재 디스플레이 전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유기전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의 핵심요소기술에 관련한 것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선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평가되어 현장에서 많은 관심을 받았다.○ 연구내용으로, 박현지 씨는 청색 OLED에 양자점(Quantum Dot, QD) 광변환층을 도포 시, 신규 산란입자를 함께 도입하고 산란 입자의 농도 및 모양에 따른 효과 및 최적 광변환 효율이 증대된 QD-OLED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이성지 씨는 최근 각광 받고 있는 OLED 기반의 마이크로디스플레이 기술(OLEDos)에 필수적인 풀컬러 구현을 위한 상부발광 백색 OLED 소자 최적화 및 상부에 적/녹/청색 컬러필터를 집적하여 색재현율이 sRGB 대비 136% 수준의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학생들을 지도한 창의융합학과 이종희 교수는 학생들의 적극적인 연구 참여와 위촉연구생 프로그램을 통해 성실히 공동연구 지도를 함께 해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강찬모 박사(이성지 씨 지도박사), 최수경 박사(박현지 씨 지도박사)의 노력 덕분이다며, 박현지, 이성지 대학원생의 수상을 다시 한 번 축하하며 앞으로 발전하는 연구자로 성장하기 바란다고 밝혔다.
등록일
2021-07-21 14:24:27
<<
첫번째페이지
<
이전페이지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다음페이지
>>
마지막페이지
만족도조사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제공되는 정보에 대한 평가 내용을 등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