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밭대학교
검색
검색어
열림버튼
통합검색
찾으시는 단어나 검색어를 입력해 주세요!
검색
통합검색
닫기
로그인
언어선택
언어선택
열림버튼
ENG
CHN
전체메뉴
전체메뉴
HI HANBAT
HI HANBAT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대학소개
교육목표
연혁
UI소개
대학상징
개교기념행사
대학통계
대학요람
열린총장실
인사말
프로필
총장님, 할말있어요
역대총장
대학비전
비전 2030
특성화계획
윤리헌장
대학조직
조직도
직원검색
모범직원추천
HANBAT, 영광의순간
한벗소개
한벗은?
HANBAT 3D캠퍼스
학교오시는길
유성덕명캠퍼스
대덕산학융합캠퍼스
세종캠퍼스
시설이용안내
문화체육부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사전정보공표
정보목록
정책실명제
재정현황
업무추진비공개
상품권구매현황
수의계약공개
청렴센터
갑질신고센터
정보공시
자체평가
대학안전관리
개인정보의 목적 외 이용 또는 제3자 제공 및 위탁 사실 공지
발전기금/후원
입학안내
입학안내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입학안내
한밭대학교 입학홈페이지
바로가기
대학·대학원
대학·대학원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대학
대학
바로가기
대학원
대학원
바로가기
산학·연구
산학·연구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국립한밭대학교 LINC 3.0 사업단
산학협력단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연구비관리시스템
연구홍보포털
공동실험실습관
미래창의인재교육원
화학소재상용화지역혁신센터
학사 및 장학정보
학사 및 장학정보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학사공지
학사일정
학부
대학원
학사종합안내
교육과정
수업및수강
성적
학적
졸업
대학규정
규정 제‧개정 공지사항
학사서식
학사상담
학사일반
교직상담
장학금
교내장학제도
장학공지
장학상담
등록금
등록
분할납부
등록금반환
FAQ
인터넷증명발급
인터넷증명발급
증명서 우편발송 서비스(해외)
교직원 인터넷증명발급
대학생활
대학생활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학생활동
총학생회
동아리
학회연합회
통학정보
셔틀버스
임차버스
학생복지
학내편의시설
보건진료소
금주의식단
학생생활공간
학생상담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상담신청
공지사항
마음건강 정보
인권센터
센터소개
이용 안내
인권침해 상담
상담신청 방법
인권침해 사안 처리 절차
공지사항
인권센터 규정
장애학생지원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장애학생지원
공지사항
사회봉사지원센터
스마트 학사/ IT서비스 안내
한밭스마트서비스
모바일 출입관리 시스템(앱)
차량 및 개인형 이동장치
차량등록
개인형 이동장치
시설 원스톱서비스
신청하기
신청내역
학생증 발급
국제학생증발급
학생생활관
병무정보
학생병무안내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 홍보동영상
ROTC Q&A(질의응답)
육군학생군사학교 링크
국내외대학교정보
국내대학 리스트
세계대학랭킹TOP100
학생국제교류
진로·취업 원스톱 서비스
진로 · 취업 프로그램 신청
상담신청
채용정보
성공취업컨텐츠/AI자소서•면접클리닉
한밭LIVE
한밭LIVE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공지사항
행사안내
HANBAT 뉴스
일반/홍보
교육/연구
교류/산학
한밭People
HANBAT 미디어
홍보동영상
홍보브로슈어
한밭갤러리
한밭디자인
한밭영상
대학현황
HANBAT 사용설명서
HANBAT 대학원 사용설명서
뉴스레터
뉴스레터
뉴스레터 구독및취소
한밭SNS
공식 SNS Hub
기타 SNS
언론에서 본 HANBAT
ZOOM IN HANBAT
정보광장
주거정보
아르바이트
분실/습득물
온라인장터
카풀해요
자유게시판
글로컬대학 30
글로컬대학 30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바로가기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바로가기
글로컬대학 30
(Q&A)
글로컬대학 30 Q&A
바로가기
로그인
전체메뉴
열림버튼
언어
ENG
CHN
한밭대학교 블로그
한밭대학교 유투브
한밭대학교 인스타그램
한밭대학교 페이스북
한밭대학교 트위터
HI HANBAT
대학소개
교육목표
연혁
UI소개
대학상징
개교기념행사
대학통계
대학요람
열린총장실
인사말
프로필
총장님, 할말있어요
역대총장
대학비전
비전 2030
특성화계획
윤리헌장
대학조직
조직도
직원검색
모범직원추천
HANBAT, 영광의순간
한벗소개
한벗은?
HANBAT 3D캠퍼스
학교오시는길
유성덕명캠퍼스
대덕산학융합캠퍼스
세종캠퍼스
시설이용안내
문화체육부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사전정보공표
정보목록
정책실명제
재정현황
업무추진비공개
상품권구매현황
수의계약공개
청렴센터
갑질신고센터
정보공시
자체평가
대학안전관리
개인정보의 목적 외 이용 또는 제3자 제공 및 위탁 사실 공지
발전기금/후원
입학안내
대학·대학원
대학
대학원
산학·연구
국립한밭대학교 LINC 3.0 사업단
산학협력단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연구비관리시스템
연구홍보포털
공동실험실습관
미래창의인재교육원
화학소재상용화지역혁신센터
학사 및 장학정보
학사공지
학사일정
학부
대학원
학사종합안내
교육과정
수업및수강
성적
학적
졸업
대학규정
규정 제‧개정 공지사항
학사서식
학사상담
학사일반
교직상담
장학금
교내장학제도
장학공지
장학상담
등록금
등록
분할납부
등록금반환
FAQ
인터넷증명발급
인터넷증명발급
증명서 우편발송 서비스(해외)
교직원 인터넷증명발급
대학생활
학생활동
총학생회
동아리
학회연합회
통학정보
셔틀버스
임차버스
학생복지
학내편의시설
보건진료소
금주의식단
학생생활공간
학생상담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상담신청
공지사항
마음건강 정보
인권센터
센터소개
이용 안내
인권침해 상담
상담신청 방법
인권침해 사안 처리 절차
공지사항
인권센터 규정
장애학생지원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장애학생지원
공지사항
사회봉사지원센터
스마트 학사/ IT서비스 안내
한밭스마트서비스
모바일 출입관리 시스템(앱)
차량 및 개인형 이동장치
차량등록
개인형 이동장치
시설 원스톱서비스
신청하기
신청내역
학생증 발급
국제학생증발급
학생생활관
병무정보
학생병무안내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 홍보동영상
ROTC Q&A(질의응답)
육군학생군사학교 링크
국내외대학교정보
국내대학 리스트
세계대학랭킹TOP100
학생국제교류
진로·취업 원스톱 서비스
진로 · 취업 프로그램 신청
상담신청
채용정보
성공취업컨텐츠/AI자소서•면접클리닉
한밭LIVE
공지사항
행사안내
HANBAT 뉴스
일반/홍보
교육/연구
교류/산학
한밭People
HANBAT 미디어
홍보동영상
홍보브로슈어
한밭갤러리
한밭디자인
한밭영상
대학현황
HANBAT 사용설명서
HANBAT 대학원 사용설명서
뉴스레터
뉴스레터
뉴스레터 구독및취소
한밭SNS
공식 SNS Hub
기타 SNS
언론에서 본 HANBAT
ZOOM IN HANBAT
정보광장
주거정보
아르바이트
분실/습득물
온라인장터
카풀해요
자유게시판
글로컬대학 30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글로컬대학 30 (Q&A)
닫기
HIGH
HANBAT
HOME
한밭LIVE
HANBAT 뉴스
한밭People
공유
네이버 SNS
공유하기
트위터 SNS
공유하기
페이스북 SNS
공유하기
네이버 밴드
공유하기
URL
복사하기
닫기
프린트
한밭People
게시물 검색
총 게시물
518
,
페이지
15
/ 52
-전체-
제목
작성자
페이지당 게시물수
10
20
30
50
적용
창업지원단 유영철 선임매니저, 교육부장관 표창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568
□ 우리 학교 창업지원단 유영철 선임매니저가 대학 창업 활성화 유공 포상에서 학생 창업 활성화 부문 교육부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2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는 정숙한 분위기 속에 2022 산학협력 EXPO 개막식이 열린 가운데, 대학 창업문화 확산에 기여한 유공자를 포상하고 격려하기 위한 시상식이 진행됐다.○ 이번 포상에서 유 선임은 2015년 5월부터 현재까지 초기창업패키지(전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를 전담하며, 학생 창업동아리 및 창업 상담활동을 운영하는 등 대학 창업 활성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초기창업패키지는 창업 3년 이내 유망 초기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자금, 멘토링, 보육프로그램 등을 제공하여 기술 혁신과 성장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2015년 한밭대학교가 창업선도대학으로 선정된 이래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창업동아리 운영지원을 통해 학생 창업 32건, 매출 23억 원, 고용 36명 등의 성과를 거뒀다.○ 또한, 학생창업문화 활성화를 위해 △대학생 창업캠프 △창업동아리 운영 및 활성화 방안 마련 △원스톱창업상담 △창업경진대회 △창업장학금 △대학생 창업특강 등의 창업교육과 지원 활동을 펼쳤다.○ 이밖에도 유관기관 간 협업 활동으로 △충청권역 대학 간 청년창업 생태계 조성 △지역기반 혁신창업 활성화 연계 △창업유관기관 간 학생 창업역량 강화 지원 등을 수행했다.
등록일
2022-11-02 12:55:19
최원석 교수,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 표창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608
□ 우리 학교는 전기공학과 최원석 교수가 2022년도 대한전기학회 전기설비부문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우수논문에 선정돼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표창을 수상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 발표논문은 Adhesion and Stability Increased Carbon Nanowall for the Application to Lithium-Ion Batteries로 리튬이온 전지 적용을 위한 탄소 나노월의 접착성 및 안정성 향상에 관한 연구이다.○ 최 교수는 나노소재 및 기능성소재에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해 왔고, 현재 태양전지 및 이차전지 효율향상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106편의 SCI급 논문과 38편의 KCI 논문을 게재하는 등 관련 분야의 기술 발전에 공헌했다.□ 한편, 최 교수는 2007년 우리 학교 전기공학과에 부임하여 연구와 교육에 매진하며, 대학의 2016년 평생교육 단과대학 지원사업과 2018년 도시재생에너지통합시스템 고급인력양성사업 선정에도 기여했다.
등록일
2022-11-01 12:52:53
화학생명공학과 학부생 2명, 저명 국제학술지와 국내학술지 제1저자 논문 게재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899
□ 우리 대학 화학생명공학과 윤창민 교수 연구팀의 김지원, 김동현 학부생이 각각 저명 국제학술지 Nanomaterials와 국내학술지 유기물자원화에 제1저자로 논문을 발표했다고 21일 전했다.○ 먼저 학부 4학년인 김지원 학생은 자율주행차량의 눈이라고 할 수 있는 라이다 센서가 빛을 흡수하는 색상인 검정색과 어두운 색에 대한 낮은 인식률을 개선하고자 라이다에 인식될 수 있는 검정색 소재의 개발 및 실제 라이다 응용 연구를 수행했다.○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라이다 반사형 검정색 소재는 이산화티타늄을 기반으로 제조됐으며, 우수한 라이다 인식률과 더불어 친수성을 갖추고 있어 친환경 수성 페인트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김지원 학생의 연구는 창의성과 독창성을 인정받아 국제학술지 Nanomaterials(IF: 5.719) 제12권 제20호에 실렸다.(논문 제목: Synthesis of LiDAR-detectable True Black Core/Shell Nanomaterial and Its Practical Use in LiDAR Applications)□ 그리고, 같은 학과 3학년인 김동현 학생은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 폐기물을 재활용하여 고부가 가치의 소재로 재활용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김동현 학생은 슬러지 폐기물에서 초음파와 염기를 활용하여 규소 성분의 전구체를 추출하였고, 전구체를 활용하여 50나노미터 크기의 균일한 실리카 입자로 합성했다.○ 이어서 합성된 실리카 나노입자들을 활용하여 반도체 연마용 CMP 슬러리(화학적 기계적 연마 소재)로 제조하고, 실제 웨이퍼의 미세 연마에 성공했다.○ 본 연구는 산업 폐기물을 고부가 가치의 소재로 탈바꿈시킨 우수성을 인정받아 국내학술지인 유기물자원화지의 제30권 제3호에 게재됐다.(논문 제목: 슬러지 폐기물을 활용한 반도체급 균일한 콜로이달 실리카 나노입자의 제조 및 CMP 응용)□ 화학생명공학과 윤창민 교수는 앞으로도 학생들의 창의적인 연구 아이디어가 실제 결과물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의 지도와 지원을 다 할 것이며, 학생들이 계속해서 좋은 결실을 거둘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등록일
2022-10-21 10:37:02
이동형 교수, ‘제2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 교육부장관 표창 수상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801
□ 우리 대학은 산업경영공학과 이동형 교수가 2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중소벤처기업부 주최 ITS 2022 제23회 중소기업기술혁신대전에서 교육부장관 표창(기술인재부문)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이 상은 국내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와 기술인재가 대우받는 사회풍토 조성 등에 기여한 개인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이 교수는 지금까지 중소벤처기업부 지원 계약학과인 생산경영공학과(학부), 스마트생산경영공학과(대학원 석박사과정)의 운영책임자로서 우수한 성과를 이루어내는 한편, 중소기업계약학과 전국협의회 회장, 중소기업인력사업통합협의회 회장으로 활동하며 중소기업 발전과 기술인재 양성에 헌신해 온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 교수는 앞으로도 중소기업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잘 대응할 수 있도록 맞춤형 기술인재 양성과 경영애로 해결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한편, 이 교수는 1988년 우리 대학 교수로 부임한 이래 SCI를 비롯한 130여 편의 논문게재 실적과 석박사 지도교수로서 100여 명의 대학원생을 배출하는 등 연구와 교육에 있어 큰 성과를 냈다.○ 또한, 중소벤처기업부 기술혁신추진위원민원제도개선협의회 위원장, 중소기업지원사업 평가사전조정위원, (사)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회장, 국가연구개발사업 평가위원, 한밭대 교수평의회 의장교무처장, 전국국공립대학교수회연합회 공동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중소벤처기업부 자체평가위원, (사)선진사회시민포럼 상임대표 등을 맡아 대내외적으로 왕성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등록일
2022-10-21 10:34:27
A-Brid, 로컬히어로즈 활동 교육부장관상 수상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734
□ 우리 대학 3단계산학연협력선도대학육성사업단(이하 LINC 3.0사업단)은 행정안전부가 주최한 지역문제발굴단 성과공유회에서 A-Brid 팀(박준호, 강승지, 장백훈, 안규민, 남선우, 임예성 학생, 지도 변영조 교수)이 대상인 교육부 장관상을 받았다고 14일 밝혔다.○ 지역문제발굴단 로컬히어로즈는 행정안전부의 2022년 실패박람회 중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에서 교육부와 연계하여 기획한 자율프로그램으로, 전국 20여 개 대학 150여 명의 학생이 참가하여 열띤 경쟁을 펼쳤다.○ 이들은 지난 7월 발대식 이후 3개월간 △지역문제 발굴 △문제 해결방안 제시 △발굴과정 영상 콘텐츠 제작 총 3개의 주요 미션을 수행하였고, 지난 7일 미션 수행 결과를 바탕으로 기획서 및 영상 콘텐츠 발표 평가를 통하여 최종 우수팀을 선정하였다.□ A-Brid 팀 리더인 박준호(전자․제어공학과 4학년) 학생은 A-brid는 Bridge of all, 문제해결로 가는 다리란 뜻으로, LINC3.0의 공유협업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아 대전지역 내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부족 현상으로 인해 아파트 단지 등에서 무단으로 전기차를 충전하는 도전문제를 지역현안으로 발굴, 현장답사, 전문가 멘토링, 프로토타입 제작 등의 과정을 거쳐 무단사용을 통한 범죄행위 근절 및 아파트 내 자체 수익모델을 창출하는 해결방안을 마련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또한, 앞으로도 팀원들과 지역문제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으며, 이번 전국 로컬히어로즈 활동으로 얻은 결과를 향후 한밭대 LINC3.0사업에서 지원하는 창업동아리 등에 참여하여 창업까지 이어갈 계획이다고 한다.□ 우리 대학 LINC3.0 창업본부장인 산학융합학부 변영조 교수는 대학생들의 지역현안에 관한 문제인식, 문제발굴에 대한 관심도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고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인문사회 및 공학적인 지식을 활용하여 완성도 높은 결과를 제시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 대학이 문제해결 중심의 캡스톤디자인 및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교과․비교과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칠 수 있도록 앞장서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등록일
2022-10-14 10:09:36
정현준 학생, 한국공학교육학회 골드칼라 공학도상 수상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2685
□ 우리 대학 기계공학과 정현준 학생이 2022 한국공학교육학회 골드칼라 공학도상을 받았다고 7일 밝혔다.○ 골드칼라 공학도상은 복합적인 지식이 필요한 지식기반사회의 도래와 함께 엔지니어로서의 공학적 전문성 외에 타 분야의 전문가와 협력하는 사회 전반의 실무능력, 협업능력, 국제화 능력을 고르게 갖추어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한 공학도에게 수여한다.○ 이번 2022년 한국공학교육학회 학술대회에서는 골드칼라 엔지니어 6명에 대한 포상이 이루어졌으며, 한밭대 기계공학과 윤린 교수의 지도를 받아 수열 활용확대 기술 및 환경적합성 기술개발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정현준 학생도 이 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정현준 학생은 이번 상을 수상할 수 있게 지도해 주신 윤린 교수님과 학과 교수님들, 직원 선생님들께 감사드리며, 앞으로 대학원에 진학해 더욱 폭넓은 연구와 함께 국가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공학자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한편, 한국공학교육학회는 우수 공학 및 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위한 공학교육의 발전과 산학연간의 협력을 촉진하고자 1993년 설립된 학술단체로서 공학교육학술대회 및 포럼, 워크숍 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학회지 및 논문지를 발간하고 있다.
등록일
2022-10-12 13:03:13
김석균 교수 연구팀, Scientific Reports 논문 게재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2567
□ 우리 대학 창의융합학과 김석균 교수 연구팀은 하이브리드 타입 스테핑 모터에 대한 제어기술을 개발하여 세계적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가 출간하는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논문을 게재했다고 30일 밝혔다.○ 해당 기술의 주요 특징은 새로운 상태추정과 제어기술 개발을 통한 전류 센서 미의존형 폐루프 성능 향상이다.○ 전류 센서는 다른 센서에 비해 가격이 매우 비싸고, 전류 센서를 사용하기 위한 전류 신호의 Analog-to-digital conversion(ADC)와 센서 정보의 Calibration 과정에 많은 시간과 인적 자원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루엔버거(Luenberger)형 상태 추정기술이 적용되었으나, 이는 모터의 실시간 전기적/기계적 파라미터 참값을 요구하므로 추정 정확도가 떨어지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상당한 연산량 증가를 요구한다.□ 연구팀은 이를 보완하고자 모터 모델 독립형 상태 추정기술을 개발하여 가속도를 정확히 추정하고, 추정 정확성을 이론적으로 증명하고 실험을 통해 검증했다.○ 이렇게 얻은 추정치는 전류 측정을 대체하여 ADC 과정을 제거해 ADC 과정에 필요한 인력과 재료비용 소요의 단점을 해소했다.○ 또한, 해당 연구는 새로운 제어기술 개발로 폐루프 성능 향상을 가져와 기존 산업계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비례-적분(Proportional-Integral, PI) 제어와 간단한 보상기 결합형 PI 제어의 성능 하락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과정은 전통적인 영-극점 상쇄 기술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능동 댐핑 주입을 통해 가상 영점을 생성하여 극점을 상쇄함으로써 높은 상태 추정기와 폐루프 시스템 차수를 1로 줄이고 튜닝 과정을 간소화했다.○ 그리고, 반복적인 비교 및 최적화 연산이 불필요하며 간단한 형태의 제어 루프 지능화 기술 개발로 출력신호의 입력신호에 대한 증폭 비율을 나타내는 이득이 가변되고 정상상태에서는 낮은 이득으로 상대 안정도 향상 가능성을 살폈다.○ 저용량 하이브리드 타입 스테핑 모터와 상용 드라이버 및 32비트 제어보드를 통해 각도 추종 및 안정화 성능 개선을 보였고, 대용량 시스템에서는 더욱 큰 성능 향상이 기대된다.□ 한편,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신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3상 모터 적용을 계획하고 있으며 특허 출원을 통해 기술이전도 추진할 예정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 참여한 대학원생은 우수한 R&D 인재로 우수 기업 취업도 기대하고 있다.
등록일
2022-09-30 14:01:39
카이스트 공동연구팀, 셀레늄 증기 이용해 열전소재 양극성 도핑 가능성 열어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4359
□ 우리 대학 신소재공학과 오민욱 교수와 KAIST(총장 이광형) 신소재공학과 정연식 교수 공동연구팀은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제프리 스나이더(G. Jeffrey Snyder) 교수팀과의 협력으로 셀레늄계 열전 반도체의 반자리 결함(Antisite defect)을 제어하여 양극성 도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새로운 공정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열전 반도체란 온도차가 있을 때 전기가 발생하는 반도체 소재를 말하며, 전자가 많은 n형 반도체와 양공이 많은 p형 반도체는 동일한 온도차가 주어졌을 때 서로 반대 방향의 전류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열전 반도체로 이루어진 열전소자는 n형과 p형 반도체를 직렬 연결한 구조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열전소재를 소자에 응용하기 위해서는 반도체 소재가 n형과 p형을 모두 나타내도록 불순물 등을 첨가하는 양극성 도핑이 필수적이다.□ 연구팀은 납과 같은 유해 중금속 기반 열전소재를 대체하는 친환경 소재로 은-비스무트-셀레늄계 열전 반도체에 대해 연구하면서, 이 반도체가 항상 n형 특성을 나타내고 p형 특성이 불안정해 실제 소자에 쓰이지 못하는 한계점에 주목했다.○ 연구를 통해 은-비스무트-셀레늄계 소재의 낮은 양극성 도핑 능력이 은과 비스무트 원자가 자리를 바꾸는 결정 결함인 반자리 결함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며, 이러한 현상이 셀레늄이 풍부한 환경에서 억제될 수 있음을 제일원리 계산(First-principles calculation)을 이용해 이론적으로 예측했다.○ 은과 비스무트가 주어진 위치를 벗어나 서로 자리를 바꿀수록 소재는 더욱 강한 n형 특성을 나타내게 되는데, 셀레늄을 소재에 공급함으로써 이러한 현상을 억제할 수 있음을 발견한 것이다.○ 연구팀은 이에 착안하여 소재에 셀레늄을 충분히 공급하기 위해 셀레늄 증기가 풍부한 환경에서 소재를 열처리하는 공정을 개발하였고, 실제로 열처리된 소재가 안정적인 p형 특성을 보이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했다.○ 이는 양극성 도핑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은-비스무트-셀레늄계 소재의 p형 특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한 첫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본 연구 과정에서 개발된 셀레늄 증기 열처리 공정은 향후 다른 셀레늄계 열전소재의 특성을 제어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KAIST 신소재공학과 장한휘 박사과정이 제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미래소재 디스커버리 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재료분야 최상위급 국제학술지 Advanced Materials(인용지수 32.086) 표지 논문으로 9월 22일자 게재됐다.(논문명: Suppressing Charged Cation Antisites via Se Vapor Annealing Enables p-Type Dopability in AgBiSe2SnSe Thermoelectrics)
등록일
2022-09-29 13:45:52
최윤석 교수, ‘제13회 디스플레이의 날 학회장상’ 수상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2765
□ 우리 대학 지난 22일 서울 JW메리어트호텔에서 열린 제13회 디스플레이의 날 기념식에서 전자공학과 최윤석 교수가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장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가 주관하는 디스플레이의 날 행사는 국내 디스플레이 패널 수출이 연 100억 달러를 돌파한 2006년 10월을 기념하여 2010년부터 매년 열리고 있다.○ 이날 기념식에서는 소재․부품․장비 국산화를 통한 국내 매출 및 수출확대에 기여하거나 초격차 기술혁신으로 디스플레이 산업 위상을 높인 유공자 40명에 대한 포상이 이루어졌다.○ 최윤석 교수는 이번 수상에서 남다른 열정과 헌신으로 OLED 광추출층 기술 발전 및 IMID, 디스플레이 캠프, LC연구회, KDS 우수강사 등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한편, 최 교수는 2010년 우리 대학 전자공학과 교수 임용 후 교육과 연구에 매진하며 관련 분야의 특성화된 전문인재 양성과 대학발전에 힘쓰고 있다.
등록일
2022-09-23 13:35:02
윤창민 교수 연구팀, ‘Nanomaterials’ 표지 논문 선정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2767
□ 우리 대학 화학생명공학과 윤창민 교수 연구팀이 다양한 색상을 띠는 전기감응형 스마트 유체의 개발 및 응용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Development of Novel Colorful Electrorheological Fluids라는 제목의 해당 연구는 신규 스마트 유체 시스템 개발의 창의성과 독창성을 인정받아 저명 국제학술지 Nanomaterials(영향력지수 5.719) 12권 18호의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으며, 제갈석 연구원이 제1저자로, 윤창민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윤 교수 연구팀은 기존의 하얀색 또는 투명색 색상이 아닌 최초로 6가지 색상(하얀색, 노란색, 빨간색, 보라색, 파란색, 초록색)을 띠는 전기감응형 스마트 유체를 간단한 졸-겔(Sol-gel) 합성법을 통해 개발했다.○ 전기감응형 스마트 유체는 미량의 전압 인가를 통해 유체를 고체화시킬 수 있으며, 자동차 및 로봇의 댐퍼와 액추에이터에 응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유체의 색상이 다양하지 않아 눈으로는 응용에 적합한 유체의 선택이 어려운 문제가 있어 본 연구를 통해 색상의 구분으로 적합한 스마트 유체의 선택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현했다.□ 이외에도 연구팀은 스마트 유체 분야 외 수소차용 리튬이온 커패시터의 전해액, 극초음속 비행체의 흡열연료 촉매, 자율주행 차량용 라이다 인지형 어두운 색 소재의 개발 주제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국방과학연구소, 한국연구재단 과제로 각각 선정되어 활발히 연구를 수행 중이다.□ 한편, 윤창민 교수는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 소재개발팀 책임 엔지니어 출신으로 다양한 소재의 개발 및 상용화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산업 분야의 경험을 토대로 한 반도체 후공정 관련 강의를 한밭대학교와 나노종합기술원에서 진행하고 있다.
등록일
2022-09-22 13:30:40
<<
첫번째페이지
<
이전페이지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다음페이지
>>
마지막페이지
만족도조사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제공되는 정보에 대한 평가 내용을 등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