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밭대학교
검색
검색어
열림버튼
통합검색
찾으시는 단어나 검색어를 입력해 주세요!
검색
통합검색
닫기
로그인
언어선택
언어선택
열림버튼
ENG
CHN
전체메뉴
전체메뉴
HI HANBAT
HI HANBAT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대학소개
교육목표
연혁
UI소개
대학상징
개교기념행사
대학통계
대학요람
열린총장실
인사말
프로필
총장님, 할말있어요
역대총장
대학비전
비전 2030
특성화계획
윤리헌장
대학조직
조직도
직원검색
모범직원추천
HANBAT, 영광의순간
한벗소개
한벗은?
HANBAT 3D캠퍼스
학교오시는길
유성덕명캠퍼스
대덕산학융합캠퍼스
세종캠퍼스
시설이용안내
문화체육부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사전정보공표
정보목록
정책실명제
재정현황
업무추진비공개
상품권구매현황
수의계약공개
청렴센터
갑질신고센터
정보공시
자체평가
대학안전관리
개인정보의 목적 외 이용 또는 제3자 제공 및 위탁 사실 공지
발전기금/후원
입학안내
입학안내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입학안내
한밭대학교 입학홈페이지
바로가기
대학·대학원
대학·대학원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대학
대학
바로가기
대학원
대학원
바로가기
산학·연구
산학·연구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국립한밭대학교 LINC 3.0 사업단
산학협력단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연구비관리시스템
연구홍보포털
공동실험실습관
미래창의인재교육원
화학소재상용화지역혁신센터
학사 및 장학정보
학사 및 장학정보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학사공지
학사일정
학부
대학원
학사종합안내
교육과정
수업및수강
성적
학적
졸업
대학규정
규정 제‧개정 공지사항
학사서식
학사상담
학사일반
교직상담
장학금
교내장학제도
장학공지
장학상담
등록금
등록
분할납부
등록금반환
FAQ
인터넷증명발급
인터넷증명발급
증명서 우편발송 서비스(해외)
교직원 인터넷증명발급
대학생활
대학생활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학생활동
총학생회
동아리
학회연합회
통학정보
셔틀버스
임차버스
학생복지
학내편의시설
보건진료소
금주의식단
학생생활공간
학생상담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상담신청
공지사항
마음건강 정보
인권센터
센터소개
이용 안내
인권침해 상담
상담신청 방법
인권침해 사안 처리 절차
공지사항
인권센터 규정
장애학생지원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장애학생지원
공지사항
사회봉사지원센터
스마트 학사/ IT서비스 안내
한밭스마트서비스
모바일 출입관리 시스템(앱)
차량 및 개인형 이동장치
차량등록
개인형 이동장치
시설 원스톱서비스
신청하기
신청내역
학생증 발급
국제학생증발급
학생생활관
병무정보
학생병무안내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 홍보동영상
ROTC Q&A(질의응답)
육군학생군사학교 링크
국내외대학교정보
국내대학 리스트
세계대학랭킹TOP100
학생국제교류
진로·취업 원스톱 서비스
진로 · 취업 프로그램 신청
상담신청
채용정보
성공취업컨텐츠/AI자소서•면접클리닉
한밭LIVE
한밭LIVE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공지사항
행사안내
HANBAT 뉴스
일반/홍보
교육/연구
교류/산학
한밭People
HANBAT 미디어
홍보동영상
홍보브로슈어
한밭갤러리
한밭디자인
한밭영상
대학현황
HANBAT 사용설명서
HANBAT 대학원 사용설명서
뉴스레터
뉴스레터
뉴스레터 구독및취소
한밭SNS
공식 SNS Hub
기타 SNS
언론에서 본 HANBAT
ZOOM IN HANBAT
정보광장
주거정보
아르바이트
분실/습득물
온라인장터
카풀해요
자유게시판
글로컬대학 30
글로컬대학 30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바로가기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바로가기
글로컬대학 30
(Q&A)
글로컬대학 30 Q&A
바로가기
로그인
전체메뉴
열림버튼
언어
ENG
CHN
한밭대학교 블로그
한밭대학교 유투브
한밭대학교 인스타그램
한밭대학교 페이스북
한밭대학교 트위터
HI HANBAT
대학소개
교육목표
연혁
UI소개
대학상징
개교기념행사
대학통계
대학요람
열린총장실
인사말
프로필
총장님, 할말있어요
역대총장
대학비전
비전 2030
특성화계획
윤리헌장
대학조직
조직도
직원검색
모범직원추천
HANBAT, 영광의순간
한벗소개
한벗은?
HANBAT 3D캠퍼스
학교오시는길
유성덕명캠퍼스
대덕산학융합캠퍼스
세종캠퍼스
시설이용안내
문화체육부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사전정보공표
정보목록
정책실명제
재정현황
업무추진비공개
상품권구매현황
수의계약공개
청렴센터
갑질신고센터
정보공시
자체평가
대학안전관리
개인정보의 목적 외 이용 또는 제3자 제공 및 위탁 사실 공지
발전기금/후원
입학안내
대학·대학원
대학
대학원
산학·연구
국립한밭대학교 LINC 3.0 사업단
산학협력단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연구비관리시스템
연구홍보포털
공동실험실습관
미래창의인재교육원
화학소재상용화지역혁신센터
학사 및 장학정보
학사공지
학사일정
학부
대학원
학사종합안내
교육과정
수업및수강
성적
학적
졸업
대학규정
규정 제‧개정 공지사항
학사서식
학사상담
학사일반
교직상담
장학금
교내장학제도
장학공지
장학상담
등록금
등록
분할납부
등록금반환
FAQ
인터넷증명발급
인터넷증명발급
증명서 우편발송 서비스(해외)
교직원 인터넷증명발급
대학생활
학생활동
총학생회
동아리
학회연합회
통학정보
셔틀버스
임차버스
학생복지
학내편의시설
보건진료소
금주의식단
학생생활공간
학생상담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상담신청
공지사항
마음건강 정보
인권센터
센터소개
이용 안내
인권침해 상담
상담신청 방법
인권침해 사안 처리 절차
공지사항
인권센터 규정
장애학생지원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장애학생지원
공지사항
사회봉사지원센터
스마트 학사/ IT서비스 안내
한밭스마트서비스
모바일 출입관리 시스템(앱)
차량 및 개인형 이동장치
차량등록
개인형 이동장치
시설 원스톱서비스
신청하기
신청내역
학생증 발급
국제학생증발급
학생생활관
병무정보
학생병무안내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 홍보동영상
ROTC Q&A(질의응답)
육군학생군사학교 링크
국내외대학교정보
국내대학 리스트
세계대학랭킹TOP100
학생국제교류
진로·취업 원스톱 서비스
진로 · 취업 프로그램 신청
상담신청
채용정보
성공취업컨텐츠/AI자소서•면접클리닉
한밭LIVE
공지사항
행사안내
HANBAT 뉴스
일반/홍보
교육/연구
교류/산학
한밭People
HANBAT 미디어
홍보동영상
홍보브로슈어
한밭갤러리
한밭디자인
한밭영상
대학현황
HANBAT 사용설명서
HANBAT 대학원 사용설명서
뉴스레터
뉴스레터
뉴스레터 구독및취소
한밭SNS
공식 SNS Hub
기타 SNS
언론에서 본 HANBAT
ZOOM IN HANBAT
정보광장
주거정보
아르바이트
분실/습득물
온라인장터
카풀해요
자유게시판
글로컬대학 30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글로컬대학 30 (Q&A)
닫기
HIGH
HANBAT
HOME
한밭LIVE
HANBAT 뉴스
교육/연구
공유
네이버 SNS
공유하기
트위터 SNS
공유하기
페이스북 SNS
공유하기
네이버 밴드
공유하기
URL
복사하기
닫기
프린트
교육/연구
게시물 검색
총 게시물
656
,
페이지
5
/ 66
-전체-
제목
작성자
페이지당 게시물수
10
20
30
50
적용
국립한밭대 학생들, 캔위성 경연대회 최우수상, 장려상 수상 쾌거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2225
- HIGHER팀 최우수상, SHIELD팀 장려상(지도교수 노진성최창범)- 국립한밭대, 기업 수요 맞춤형 우주전문인력 양성에 중심 역할 할 것□ 지난 25일 우주항공청이 주최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주관한 2024년 캔위성 경연대회 시상식에서 기계공학과 노진성 교수와 컴퓨터공학과 최창범 교수가 지도한 HIGHER팀과 SHIELD팀이 각각 최우수상과 장려상을 받았다.○ 캔위성 경연대회는 전국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공위성의 구성요소를 단순화한 교육용 모사위성이 수행할 임무를 직접 기획설계제작하여 상공 300~500m 위에서 낙하시키는 실험을 통해 임무를 수행하는 역량을 평가하는 대회이다.□ 올해로 13회째를 맞은 이번 대회에는 대학부 60개 팀이 참가했으며, 최고 영예인 최우수상을 받은 국립한밭대학교 HIGHER팀은 쿼드콥터를 활용해 체공시간을 확보하여 넓은 지상 공간 출입 감시 임무를 수행함과 동시에 돌발적인 상황에서도 캔위성이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고장진단, 고장감내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지속적으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위성을 개발했다.□ 또, 장려상을 수상한 SHIELD팀은 KISA의 SEED 대칭키 알고리즘을 NASA의 cFS(core Flight System)에 탑재하여 데이터 보안을 강화한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인공위성을 개발했다.○ 특히 SEED 알고리즘을 통해 위성 데이터의 암호화와 보안을 극대화했으며, 안정적인 임무 수행을 위해 리액션휠(Reaction Wheel)을 활용한 자세제어 시스템을 적용했다.□ 노진성 기계공학과 교수는 HIGHER와 SHIELD팀 모두 캔위성 경연대회에 처음으로 참가하여 최우수상과 장려상을 동시에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다며, 우수한 역량을 보여준 우리 학생들이 자랑스럽다고 밝혔다.□ 한편, 우리 대학은 대전시와 대전RISE센터가 RISE체계 조기정착을 위해 시범 추진하는 출연연 연계형 얼라이언스 구축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출연연 연계형 얼라이언스 구축사업은 대전의 강점 자원인 높은 과학기술역량을 보유한 출연연과 대학이 적극적으로 연계하여 지산학연관 협력기반 성장동력을 창출하기 위한 사업으로, 기업의 수요가 반영된 인력양성 및 연구개발(RHIGHER팀과 SHIELD팀의 임무 기획은 모두 지역기업의 수요에서부터 시작됐다며, 기업의 문제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출연연과 연계한 교육과정 운영 및 문제해결 프로젝트를 통해 출연연 연계형 얼라이언스 구축사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지역기업에 필요한 고급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등록일
2024-09-27 14:14:34
국립한밭대 교수 8명, ‘세계 상위 2% 과학자’ 선정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4310
- 박경태, 김기찬, 유선율 교수는 생애주기 및 단일연도 2가지 기준 모두 선정□ 국립한밭대학교(총장 오용준)는 과학․기술․의학 분야의 세계적인 출판 기업인 엘스비어(Elsevier)가 지난 17일 게재한 세계 상위 2% 과학자 명단에 총 8명의 교수가 선정됐다고 밝혔다.○ 세계 상위 2% 과학자는 매년 엘스비어와 스탠퍼드대 존 이오아니디스(John P.A. Ioannidis) 교수가 22개의 주요 학문 분야, 174개의 세부 분야별 최소 5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한 전 세계 연구자 중 SCOPUS에서 제공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산출된 논문 피인용도에 따른 영향력을 분석하여 발표한다.□ 이번에 발표된 세계 상위 2% 과학자 명단은 2023년까지의 데이터베이스를 기준으로 갱신됐으며, 국립한밭대는 생애주기 기준 △신소재공학과 박경태(명예교수) △화학생명공학과 홍성욱, 유선율 △전기공학과 김기찬, 권정민 △건설환경공학과 최병호 교수 총 6명이 포함됐다.○ 또, 2023년 단일연도 기준으로는 △신소재공학과 박경태, 김정한 △화학생명공학과 우승한, 유선율 △전기공학과 김기찬 교수 총 5명이며, 박경태․김기찬․유선율 교수는 2가지 기준 모두 선정됐다.
등록일
2024-09-24 14:08:37
‘2024년 중소기업 인재대학’ 선정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9184
- 지역 전략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한 스마트 시스템 전문인력 양성□ 국립한밭대학교(총장 오용준)가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지원하는 2024년 중소기업 인재대학에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국립한밭대는 제조업 및 지식기반 서비스산업 분야의 고급인력 양성을 목표로 2013년 생산경영공학과 학사과정과 2017년 학위연계를 위한 스마트생산경영공학과 석사과정을 설치․운영했다.○ 그리고, 2022년에는 스마트팩토리 전문가 양성을 위한 박사과정까지 개설하여 전국 최초로 스마트제조 분야 계약학과의 학사-석사-박사 학위 간 연계과정을 완성하고 전문인력 양성에 기여해 왔다.□ 2024년 중소기업 인재대학 사업은 전국에서 총 3개교만 선정됐으며, 이번 선정으로 국립한밭대는 중소기업 계약학과 학사-석사-박사 연계교육과정을 통합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됐다.○ 국립한밭대는 앞으로 산업체 수요기반의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학사과정에서 스마트시스템 운영기술, 석사과정에서 스마트시스템 분석기술, 박사과정에서는 스마트시스템 설계 기술을 가진 인재양성을 목표로 스마트시스템경영공학과로 학과 명칭을 개편하여 운영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대전시의 4대 전략산업인 나노반도체, 바이오헬스, 우주항공, 국방 분야에 대한 시스템 스마트화에 기여하고 지역 전략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스마트시스템 전문인력을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사업에는 스마트생산경영공학과(석․박사과정) 책임자로 김기태 교수와 생산경영공학과(학사과정) 책임자로 류태범 교수가 참여하며, 김기태 교수는 본 사업을 충실히 이행하여 지역 산업 발전과 중소기업의 스마트 제조 기술 성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등록일
2024-09-06 10:35:37
세종공동캠퍼스 입주대학 중 최초 개교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9596
- 이번 학기 인공지능(AI)‧정보통신기술(ICT) 분야 학부와 대학원 150명 수학- 교육과 연구 분야의 혁신적인 공유모델 만들어 대한민국 고등교육 선도□ 국립한밭대학교(총장 오용준)가 2일 세종시 집현동에 위치한 세종공동캠퍼스(임대형) 입주공간5(D동)에서 입주대학 중 최초로 개교했다.○ 이날 오전 11시 국립한밭대는 오용준 총장 및 보직자 등 확대학무위원과 세종공동캠퍼스 운영법인 한석수 이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세종공동캠퍼스에서 개교기념 오픈식을 진행하고 성공적인 운영을 기원했으며, 오후 2시에는 인공지능소프트웨어학과 2학년 2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김은경 교수가 알고리즘과 기초 강의를 시작했다.□ 국립한밭대학교 세종공동캠퍼스는 인공지능(AI) 및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의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이 운영되며, 이번 첫 학기에는 150명(학부 142명, 대학원 8명)의 학생들이 수업을 받는다.○ 이를 통해 국립한밭대는 세종공동캠퍼스에서 대한민국 AI 및 ICT 분야를 선도하는 리더십 및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또한, 개교를 앞둔 서울대․충남대․충북대․KDI 국제정책대학원 등과 함께 협력하여 상호 시너지를 창출하며, 공동 연구 및 교육 프로젝트를 통해 혁신적인 성과를 확산시켜 나갈 계획이다.○ 국립한밭대 오용준 총장은 우리 국립한밭대학교가 세종공동캠퍼스 입주대학 중 첫 개교로 새로운 역사를 쓰게 됐다며, 첨단 교육 인프라를 기반으로 입주대학, 연구기관, 기업 및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교육과 연구 분야의 혁신적인 모델을 만들어 나가고 이를 통해 대한민국 고등교육을 선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등록일
2024-09-02 09:50:30
국립한밭대 학생들, ‘SW중심대학 디지털 경진대회’ 후원기업상 수상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8367
□ 국립한밭대학교(총장 오용준) SW중심대학사업단은 2024 SW중심대학 디지털경진대회에 참여한 학생들이 국내 대표 IT기업인 카카오 후원기업상을 수상했다고 8일 전했다.○ SW중심대학 디지털 경진대회는 최신 SWAI 기술을 활용하여 실생활 및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능성 탐색을 장려하여 학생들의 SWAI 기술적 역량 및 협업능력을 강화하고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정보통신기획평가원과 SW중심대학협의회가 주관한다.□ 이번 대회에는 총 313개 팀(SW부문 58개 팀, AI부문 255개 팀)이 참가하여 지난 7월 한 달간 각 부문별 온라인 예선을 치뤘고, 이 중 본선 진출 24개 팀을 선정하여 지난 6일 오프라인 발표평가를 진행했다.○ 대회 결과, 국립한밭대 대화가필요해팀(영어영문학과 이은진, 컴퓨터공학과 김수미‧송찬호‧이동헌, 산업경영공학과 송치윤)과 AiRLab팀(정보통신공학과 박우람‧김태섭‧이우열‧전재완, 전자‧제어공학과 박준성/지도교수 정보통신공학과 최동걸)이 나란히 각 부문 후원기업상(카카오)을 수상했다.□ 국립한밭대 SW중심대학사업단 황경호 단장은 이번 SW중심대학 디지털 경진대회는 지난해와는 달리 SW부문과 AI부문으로 나누어 SWAI 기술을 학생주도 하에 겨뤘으며, 작년에 이어 올해도 우리 학생들이 우수한 성적을 거둘 수 있었던 것은 SWAI 분야 교수님들의 수준 높은 교육과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 노력이 어우러진 결과이다라고 말했다.○ 또, 특히 대화가필요해 팀은 3개 학과 학생들로 구성된 팀으로 대회의 목적에 맞는 협업능력을 보여주는 가장 이상적인 사례이다라며, 앞으로 인공지능과 다양한 분야가 융합되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AI+X 기반 융합역량강화에 더욱 힘쓰겠다고 덧붙였다.
등록일
2024-08-08 14:42:05
화학생명공학과 연구팀, 역추적 불량 분석법으로 반도체 패키징 불량의 메커니즘 규명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2637
□ 국립한밭대학교(총장 오용준) 화학생명공학과 김하영 석사연구원(제1저자)과 윤창민 교수(교신저자)가 역추적 불량 분석법을 기반으로 반도체 패키징의 미접합 불량에 대한 원인을 규명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연구는 Traceback Analysis of Unknown Nanoparticles Formation Mechanism on OSP Surface Finished PCB for Flip-Chip Package라는 논문명으로 SCI 저널인 IEEE Access(IF 3.4)에 지난 15일 온라인 게재됐다.○ 연구팀은 5단계의 역추적법을 적용하여 Flip-chip 반도체 패키징 공정에서 실제 발생하는 미접합 불량에 대한 원인을 밝혔는데, 이 5단계 역추적법은 불량현상 확인, 물리화학적 상세분석, 공정에서의 불량인자 확인, 불량현상에 대한 가설 수립 및 불량의 재현과 비교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통해 PCB 패드에 존재하는 미지의 나노입자가 PCB 제조 공정 중 세정에서 발생하여 반도체 패키징의 미접합 불량을 야기함을 성공적으로 규명했으며, 본 연구에서 실제 반도체 패키징 공정 중 발생하는 불량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PCB 세정 공정을 개선함으로써 불량에 대한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연구를 수행한 윤창민 교수 연구팀은 5단계의 역추적법을 성공적으로 수립하고 실제 반도체 패키징의 불량 현상을 해결하는 실증 연구 결과로 이어져 매우 기쁘며, 앞으로도 화학공학을 기반으로 반도체 패키징 공정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MOTIE) 지원 및 국방과학연구소(ADD) 미래도전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수행됐다.
등록일
2024-07-19 10:03:15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 선정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7075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 선정Hanbat National University Is Selected as Semiconductor Specialized University Support Project.- 아주대와 함께 반도체 인재양성 위해 4년간 총 240억 원 지원- A total of 24 billion won will be provided for four years to cultivate semiconductor talents with Ajou University.□ 국립한밭대학교(총장 오용준)는 교육부가 주관하고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하 KIAT)이 시행하는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8일 밝혔다.□ Hanbat National University (President Oh Yong-joon) announced on the 8th that it was finally selected for the "semiconductor specialized university support project" organiz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implemen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Advancement of Technology (KIAT).○ 반도체 분야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는 이번 사업에는 아주대(주관)-국립한밭대가 동반성장형 연합체를 구성하여 회로․시스템 및 소자․공정․패키징을 특성화분야로 신청했으며, 오는 2028년까지 총 240억 원의 사업비를 지원받게 됐다.○ In this project, which aims to cultivate talent in the semiconductor sector, Ajou University and Hanbat NationalUniversity formed a shared growth alliance and applied for circuits, systems, devices, processes, and packaging as specialized fields, and will receive a total of 24 billion won by 2028.□ 국립한밭대는 반도체시스템공학과(학과장 유광기 교수)를 중심으로 7개 학과에서 40명 이상의 교수가 참여하여 반도체 시스템 설계 및 반도체 패키지 부분을 특성화했으며, 반도체 패키지 공정교육(CMP, Hybrid-bonding, Mechanical test), Micro Interconnection 공정실습, 패키지 테스트 및 불량분석 실습 등의 교육과정을 운영할 계획이다.□ More than 40 professors from seven departments, focusing on the Department of Semiconductor System Engineering (Professor Yoo Kwang-ki), participated in the design of semiconductor systems and package parts, Hanbat National University plans to operate curriculum such as semiconductor package process training (CMP, hybrid-bonding, mechanical test), micro-interconnection process practice, package test, and defect analysis practice and so on.○ 특히 반도체 설계 실습실(N8동) 및 창의융합교육센터(반도체 공정 실습실, 반도체 검사․계측 패키징 실습실(N11동)) 등 학내 반도체 관련 교육 인프라를 기반으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실무 맞춤형 인재양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hat professional and systematic training of customized talents will be possible based on semiconductor-related educational infrastructure such as semiconductor design lab (N8 building) ,and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center (semiconductor process lab, semiconductor inspection and measurement packaging lab (N11 building).□ 국립한밭대 오용준 총장은 국립한밭대학교는 반도체 분야 조기취업형 계약학과(지능형나노반도체학과) 설치 및 반도체시스템공학과 신설, 반도체 전공트랙 사업 수주 등 국가 첨단전략산업이자 대전시 핵심전략산업분야인 반도체 분야의 인력양성 및 교육 경쟁력 강화를 위해 힘쓰고 있다며, 이번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 선정을 통해 차세대 반도체 인재양성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Oh Yong-joon, president of the Hanbat National University, said, "The Hanbat National University is striving to cultivate human resources and strengthen educ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semiconductor field, which is a national high-tech strategic industry and a core strategic industry in Daejeon, such as establishing an early employment contract department (intelligent nano semiconductor department), establishing a semiconductor system engineering department, and winning a semiconductor major track project."○ 이번 사업 책임자인 국립한밭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 유광기 교수는 지역의 반도체 기업과 연계하여 산업체 수요 맞춤형 반도체 전문 인력을 양성함으로써 반도체 산업 발전에 국립대학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Yoo Kwang-ki, a professor of semiconductor system engineering at Hanbat National University(the head of the project) said that, "We will play our role as a national university in the development of the semiconductor industry by cultivating semiconductor professionals tailored to industrial demand in connection with local semiconductor companies"[보도자료 영문번역: 학생홍보기자단 글로벌팀]
등록일
2024-07-08 16:06:23
국립한밭대 학생들, 대전시 지역연계형 창업솔루션 발굴 및 아이디어 경진대회 대상 및 우수상 수상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869
- 대화형AI 기반 반려동물 맞춤형 피부 케어대전시 지역연계형 창업솔루션 발굴 및 아이디어 경진대회에서 국립한밭대 픽케어 팀이 대상을, 유니버디 팀이 우수상을 수상했다고 2일 밝혔다.○ 본 프로그램은 대전시 4대 전략산업인 나노반도체, 바이오헬스, 우주항공, 국방 및 +분야의 혁신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지역창업 역량 강화 및 지산학연 창업 네트워크 활성화, 지역 내 자원과 공공기술을 연계한 창업 솔루션 발굴과 아이디어 경진대회를 통한 대학 창업 생태계 저변 확대에 기여하고자 했다.□ 경진대회에는 대전시와 대전권산학협의체 10개 대학 관계자, 창업동아리 학생, 지도교수 등 120여 명이 참석했으며, 학생들은 미래의 청년 기업가로 나아가기 위한 창업교육과 멘토링, 사업계획서 작성 등을 수행하며 자신들의 창업모델을 구체화하고 사업화 전략을 고도화하는 기회를 가졌다.○ 대회 결과, 국립한밭대 픽케어 팀(강수민․김범준․전정기․이채민)은 대화형AI 기반 반려동물 맞춤형 피부 케어대전시 지역연계형 창업솔루션 발굴 및 아이디어 경진대회에 참가한 모든 학생 창업팀들이 도전을 계속하여 아이템 개발 성공과 사업비전을 달성할 수 있기를 기원한다고 밝혔다.
등록일
2024-07-02 11:10:06
설비공학과, 대한설비공학회 하계학술발표대회 최다 우수논문상 수상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746
- 한국에너지공단 우수논문상 수상 영예 및 학회 우수논문상 4편 수상□ 우리 대학은 설비공학과 학생들과 교수진이 대한설비공학회 2024년 하계학술발표대회에서 한국에너지공단 우수논문상 및 학회 우수논문상 등 총 5편의 수상 성과를 거뒀다고 1일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는 국민과 함께하는 설비기술을 주제로 총 336편의 초청강연과 학술논문, 신제품신기술, 설계사례 발표, 전시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됐고, 이 중 국립한밭대 설비공학과는 단일 학과에서 총 19편의 논문을 제출하여 5편의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먼저 건축설비공학과 오인수 대학원생 연구팀(박정안 대학원생, 오원석 교수, 조진균 교수, 박병용 지도교수)은 모듈형 학교에 적용되는 고정형 취출구 환기시스템의 공기확산지수 분석으로 한국에너지공단 우수논문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또, 학회 우수논문상에는 △환기부문 의료진 보호를 위한 급 배기 일체형 국부환기시스템의 해석적 성능평가(박정안 대학원생, 박병용 교수, 조진균 교수, 오원석 지도교수) △공조부문 데이터센터 수냉식 냉각시스템 에너지효율 분석(변상우 학부생, 문주현 교수, 조진균 지도교수) △건물에너지시스템부문 이코노마이저 외기 상한설정온도 최적 제어(김민호 대학원생, 진산 연구원, 장아민 대학원생, 이찬욱 연구원, 도성록 지도교수) △공조설비부문 10년 사용 노후 공기 대 공기 히트펌프의 칼로리미터법에 의한 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박병용 교수, 오인수 대학원생, 오원석 교수, 정용대 주임연구원(한국공기과학시험연구소))가 선정됐다.□ 설비공학과 학과장 박병용 교수는 기계설비 분야 기술 발전을 위해 노력한 대학원생과 학과 교수님들의 열정적인 연구 수행의 값진 성과이며, 기계설비 분야 인재양성을 위한 핵심학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이행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등록일
2024-07-01 11:07:23
과기정통부 ‘대학ICT연구센터’ 선정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887
- 6G 무선통신 표준화를 위한 핵심기술 연구 및 글로컬 인재양성을 목표로 8년간 총 37.5억 원 지원□ 우리 대학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하 IITP)이 주관하는 2024 정보통신방송혁신인재양성사업 대학ICT연구센터(이하 ITRC)에 전자공학과 이경재 교수가 이끄는 6G 무선통신 글로컬 연구센터가 최종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 ITRC는 ICT 유망기술 분야의 첨단 연구 프로젝트 지원을 통해 국가 혁신성장을 견인할 석박사급 핵심 연구인력 양성하는 사업으로 ICT 분야의 대표적인 고급인력양성 사업이다.○ 우리 대학은 전자공학과를 중심으로 8개 학과에서 10명 이상의 교수가 참여하는 연구센터를 구성하여 지역소형화 차세대통신 분야로 지원했으며, 과기정통부와 IITP로부터 2024년 7월부터 2031년 12월까지 8년 동안 최대 37.5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게 된다.□ 국립한밭대 ITRC는 6G 무선통신 표준화를 위한 핵심기술 연구 및 글로컬 인재양성을 목표로, 차세대 무선통신 및 네트워크 표준화를 위한 원천기술 연구와 고급 인력양성에 초점을 맞췄다.○ 이를 위해 3GPP 또는 IEEE 등의 무선통신 국제 표준화 회의에 직접 참석하는 등 표준 기술 연구와 함께 표준화 전문 인재를 교육하는 특화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유관 연구소 및 기업체와 긴밀히 협력하면서 향후 8년간 국내 6G 연구와 전문 인력양성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한밭대 ITRC는 세부적으로 △무선전송 원천기술 및 표준화 연구(전자공학과 노고산, 이경재 교수, 모바일융합공학과 문지환 교수) △6G 무선접속 네트워크 원천기술 및 표준화 연구(지능미디어공학과 방인규 교수, 인공지능SW학과 김은경 교수, 컴퓨터공학과 김태훈 교수) △6G 다중안테나 빔포밍 및 고속측정 원천기술 연구(정보통신공학과 표성민 교수, 전자공학과 정영배 교수, 산업디자인학과 김승민 교수)를 수행할 예정이다.○ 특히 연구센터에는 통신 및 네트워크 분야에서 세계적인 석학인 Jeffrey Andrews(텍사스대학교 오스틴캠퍼스), Andrea Molisch(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Giuseppe Caire(베를린공과대학교), Bruno Clerckx(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Tony Quek(싱가포르기술디자인대학교) 교수 등 9개의 해외 유수 대학 우수연구자들이 직접 참여하여 국내 교수진 및 학생들과 국제 공동연구를 수행하며 정기적인 교류와 방문연구, 공동세미나 및 워크숍을 통해 세계적 수준의 6G 무선통신 전문 인재 양성에 협력할 계획이다.□ 본 사업 책임자인 전자공학과 이경재 교수는 2030년쯤 정해질 6G 무선통신 국제표준화는 다양한 산업에서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며 많은 투자가 필요한 중요한 분야로, 이번 선정된 ITRC에서 계획하고 있는 국제 공동연구와 특성화된 교육과정을 통해 차세대 무선통신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국제 표준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자공학과는 이번 대학ICT연구센터 이외에도 4단계 BK21, ICT혁신인재4.0,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선도대학 등 대규모 대학원 지원사업에서 주관학과로 잇따라 선정되며, 첨단 전자공학 분야 연구와 석박사 양성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등록일
2024-06-24 10:49:06
<<
첫번째페이지
<
이전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
다음페이지
>>
마지막페이지
만족도조사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제공되는 정보에 대한 평가 내용을 등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