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밭대학교
검색
검색어
열림버튼
통합검색
찾으시는 단어나 검색어를 입력해 주세요!
검색
통합검색
닫기
로그인
언어선택
언어선택
열림버튼
ENG
CHN
전체메뉴
전체메뉴
HI HANBAT
HI HANBAT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대학소개
교육목표
연혁
UI소개
대학상징
개교기념행사
대학통계
대학요람
열린총장실
인사말
프로필
총장님, 할말있어요
역대총장
대학비전
비전 2030
특성화계획
윤리헌장
대학조직
조직도
직원검색
모범직원추천
HANBAT, 영광의순간
한벗소개
한벗은?
HANBAT 3D캠퍼스
학교오시는길
유성덕명캠퍼스
대덕산학융합캠퍼스
세종캠퍼스
시설이용안내
문화체육부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사전정보공표
정보목록
정책실명제
재정현황
업무추진비공개
상품권구매현황
수의계약공개
청렴센터
갑질신고센터
정보공시
자체평가
대학안전관리
개인정보의 목적 외 이용 또는 제3자 제공 및 위탁 사실 공지
발전기금/후원
입학안내
입학안내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입학안내
한밭대학교 입학홈페이지
바로가기
대학·대학원
대학·대학원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대학
대학
바로가기
대학원
대학원
바로가기
산학·연구
산학·연구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국립한밭대학교 LINC 3.0 사업단
산학협력단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연구비관리시스템
연구홍보포털
공동실험실습관
미래창의인재교육원
화학소재상용화지역혁신센터
학사 및 장학정보
학사 및 장학정보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학사공지
학사일정
학부
대학원
학사종합안내
교육과정
수업및수강
성적
학적
졸업
대학규정
규정 제‧개정 공지사항
학사서식
학사상담
학사일반
교직상담
장학금
교내장학제도
장학공지
장학상담
등록금
등록
분할납부
등록금반환
FAQ
인터넷증명발급
인터넷증명발급
증명서 우편발송 서비스(해외)
교직원 인터넷증명발급
대학생활
대학생활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학생활동
총학생회
동아리
학회연합회
통학정보
셔틀버스
임차버스
학생복지
학내편의시설
보건진료소
금주의식단
학생생활공간
학생상담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상담신청
공지사항
마음건강 정보
인권센터
센터소개
이용 안내
인권침해 상담
상담신청 방법
인권침해 사안 처리 절차
공지사항
인권센터 규정
장애학생지원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장애학생지원
공지사항
사회봉사지원센터
스마트 학사/ IT서비스 안내
한밭스마트서비스
모바일 출입관리 시스템(앱)
차량 및 개인형 이동장치
차량등록
개인형 이동장치
시설 원스톱서비스
신청하기
신청내역
학생증 발급
국제학생증발급
학생생활관
병무정보
학생병무안내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 홍보동영상
ROTC Q&A(질의응답)
육군학생군사학교 링크
국내외대학교정보
국내대학 리스트
세계대학랭킹TOP100
학생국제교류
진로·취업 원스톱 서비스
진로 · 취업 프로그램 신청
상담신청
채용정보
성공취업컨텐츠/AI자소서•면접클리닉
한밭LIVE
한밭LIVE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공지사항
행사안내
HANBAT 뉴스
일반/홍보
교육/연구
교류/산학
한밭People
HANBAT 미디어
홍보동영상
홍보브로슈어
한밭갤러리
한밭디자인
한밭영상
대학현황
HANBAT 사용설명서
HANBAT 대학원 사용설명서
뉴스레터
뉴스레터
뉴스레터 구독및취소
한밭SNS
공식 SNS Hub
기타 SNS
언론에서 본 HANBAT
ZOOM IN HANBAT
정보광장
주거정보
아르바이트
분실/습득물
온라인장터
카풀해요
자유게시판
글로컬대학 30
글로컬대학 30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바로가기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바로가기
글로컬대학 30
(Q&A)
글로컬대학 30 Q&A
바로가기
로그인
전체메뉴
열림버튼
언어
ENG
CHN
한밭대학교 블로그
한밭대학교 유투브
한밭대학교 인스타그램
한밭대학교 페이스북
한밭대학교 트위터
HI HANBAT
대학소개
교육목표
연혁
UI소개
대학상징
개교기념행사
대학통계
대학요람
열린총장실
인사말
프로필
총장님, 할말있어요
역대총장
대학비전
비전 2030
특성화계획
윤리헌장
대학조직
조직도
직원검색
모범직원추천
HANBAT, 영광의순간
한벗소개
한벗은?
HANBAT 3D캠퍼스
학교오시는길
유성덕명캠퍼스
대덕산학융합캠퍼스
세종캠퍼스
시설이용안내
문화체육부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사전정보공표
정보목록
정책실명제
재정현황
업무추진비공개
상품권구매현황
수의계약공개
청렴센터
갑질신고센터
정보공시
자체평가
대학안전관리
개인정보의 목적 외 이용 또는 제3자 제공 및 위탁 사실 공지
발전기금/후원
입학안내
대학·대학원
대학
대학원
산학·연구
국립한밭대학교 LINC 3.0 사업단
산학협력단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연구비관리시스템
연구홍보포털
공동실험실습관
미래창의인재교육원
화학소재상용화지역혁신센터
학사 및 장학정보
학사공지
학사일정
학부
대학원
학사종합안내
교육과정
수업및수강
성적
학적
졸업
대학규정
규정 제‧개정 공지사항
학사서식
학사상담
학사일반
교직상담
장학금
교내장학제도
장학공지
장학상담
등록금
등록
분할납부
등록금반환
FAQ
인터넷증명발급
인터넷증명발급
증명서 우편발송 서비스(해외)
교직원 인터넷증명발급
대학생활
학생활동
총학생회
동아리
학회연합회
통학정보
셔틀버스
임차버스
학생복지
학내편의시설
보건진료소
금주의식단
학생생활공간
학생상담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상담신청
공지사항
마음건강 정보
인권센터
센터소개
이용 안내
인권침해 상담
상담신청 방법
인권침해 사안 처리 절차
공지사항
인권센터 규정
장애학생지원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장애학생지원
공지사항
사회봉사지원센터
스마트 학사/ IT서비스 안내
한밭스마트서비스
모바일 출입관리 시스템(앱)
차량 및 개인형 이동장치
차량등록
개인형 이동장치
시설 원스톱서비스
신청하기
신청내역
학생증 발급
국제학생증발급
학생생활관
병무정보
학생병무안내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 홍보동영상
ROTC Q&A(질의응답)
육군학생군사학교 링크
국내외대학교정보
국내대학 리스트
세계대학랭킹TOP100
학생국제교류
진로·취업 원스톱 서비스
진로 · 취업 프로그램 신청
상담신청
채용정보
성공취업컨텐츠/AI자소서•면접클리닉
한밭LIVE
공지사항
행사안내
HANBAT 뉴스
일반/홍보
교육/연구
교류/산학
한밭People
HANBAT 미디어
홍보동영상
홍보브로슈어
한밭갤러리
한밭디자인
한밭영상
대학현황
HANBAT 사용설명서
HANBAT 대학원 사용설명서
뉴스레터
뉴스레터
뉴스레터 구독및취소
한밭SNS
공식 SNS Hub
기타 SNS
언론에서 본 HANBAT
ZOOM IN HANBAT
정보광장
주거정보
아르바이트
분실/습득물
온라인장터
카풀해요
자유게시판
글로컬대학 30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글로컬대학 30 (Q&A)
닫기
HIGH
HANBAT
HOME
한밭LIVE
HANBAT 뉴스
교육/연구
공유
네이버 SNS
공유하기
트위터 SNS
공유하기
페이스북 SNS
공유하기
네이버 밴드
공유하기
URL
복사하기
닫기
프린트
교육/연구
게시물 검색
총 게시물
649
,
페이지
5
/ 65
-전체-
제목
작성자
페이지당 게시물수
10
20
30
50
적용
국립한밭대 학생들, 대전시 지역연계형 창업솔루션 발굴 및 아이디어 경진대회 대상 및 우수상 수상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814
- 대화형AI 기반 반려동물 맞춤형 피부 케어대전시 지역연계형 창업솔루션 발굴 및 아이디어 경진대회에서 국립한밭대 픽케어 팀이 대상을, 유니버디 팀이 우수상을 수상했다고 2일 밝혔다.○ 본 프로그램은 대전시 4대 전략산업인 나노반도체, 바이오헬스, 우주항공, 국방 및 +분야의 혁신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지역창업 역량 강화 및 지산학연 창업 네트워크 활성화, 지역 내 자원과 공공기술을 연계한 창업 솔루션 발굴과 아이디어 경진대회를 통한 대학 창업 생태계 저변 확대에 기여하고자 했다.□ 경진대회에는 대전시와 대전권산학협의체 10개 대학 관계자, 창업동아리 학생, 지도교수 등 120여 명이 참석했으며, 학생들은 미래의 청년 기업가로 나아가기 위한 창업교육과 멘토링, 사업계획서 작성 등을 수행하며 자신들의 창업모델을 구체화하고 사업화 전략을 고도화하는 기회를 가졌다.○ 대회 결과, 국립한밭대 픽케어 팀(강수민․김범준․전정기․이채민)은 대화형AI 기반 반려동물 맞춤형 피부 케어대전시 지역연계형 창업솔루션 발굴 및 아이디어 경진대회에 참가한 모든 학생 창업팀들이 도전을 계속하여 아이템 개발 성공과 사업비전을 달성할 수 있기를 기원한다고 밝혔다.
등록일
2024-07-02 11:10:06
설비공학과, 대한설비공학회 하계학술발표대회 최다 우수논문상 수상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697
- 한국에너지공단 우수논문상 수상 영예 및 학회 우수논문상 4편 수상□ 우리 대학은 설비공학과 학생들과 교수진이 대한설비공학회 2024년 하계학술발표대회에서 한국에너지공단 우수논문상 및 학회 우수논문상 등 총 5편의 수상 성과를 거뒀다고 1일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는 국민과 함께하는 설비기술을 주제로 총 336편의 초청강연과 학술논문, 신제품신기술, 설계사례 발표, 전시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됐고, 이 중 국립한밭대 설비공학과는 단일 학과에서 총 19편의 논문을 제출하여 5편의 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먼저 건축설비공학과 오인수 대학원생 연구팀(박정안 대학원생, 오원석 교수, 조진균 교수, 박병용 지도교수)은 모듈형 학교에 적용되는 고정형 취출구 환기시스템의 공기확산지수 분석으로 한국에너지공단 우수논문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또, 학회 우수논문상에는 △환기부문 의료진 보호를 위한 급 배기 일체형 국부환기시스템의 해석적 성능평가(박정안 대학원생, 박병용 교수, 조진균 교수, 오원석 지도교수) △공조부문 데이터센터 수냉식 냉각시스템 에너지효율 분석(변상우 학부생, 문주현 교수, 조진균 지도교수) △건물에너지시스템부문 이코노마이저 외기 상한설정온도 최적 제어(김민호 대학원생, 진산 연구원, 장아민 대학원생, 이찬욱 연구원, 도성록 지도교수) △공조설비부문 10년 사용 노후 공기 대 공기 히트펌프의 칼로리미터법에 의한 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박병용 교수, 오인수 대학원생, 오원석 교수, 정용대 주임연구원(한국공기과학시험연구소))가 선정됐다.□ 설비공학과 학과장 박병용 교수는 기계설비 분야 기술 발전을 위해 노력한 대학원생과 학과 교수님들의 열정적인 연구 수행의 값진 성과이며, 기계설비 분야 인재양성을 위한 핵심학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이행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등록일
2024-07-01 11:07:23
과기정통부 ‘대학ICT연구센터’ 선정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792
- 6G 무선통신 표준화를 위한 핵심기술 연구 및 글로컬 인재양성을 목표로 8년간 총 37.5억 원 지원□ 우리 대학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이하 IITP)이 주관하는 2024 정보통신방송혁신인재양성사업 대학ICT연구센터(이하 ITRC)에 전자공학과 이경재 교수가 이끄는 6G 무선통신 글로컬 연구센터가 최종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 ITRC는 ICT 유망기술 분야의 첨단 연구 프로젝트 지원을 통해 국가 혁신성장을 견인할 석박사급 핵심 연구인력 양성하는 사업으로 ICT 분야의 대표적인 고급인력양성 사업이다.○ 우리 대학은 전자공학과를 중심으로 8개 학과에서 10명 이상의 교수가 참여하는 연구센터를 구성하여 지역소형화 차세대통신 분야로 지원했으며, 과기정통부와 IITP로부터 2024년 7월부터 2031년 12월까지 8년 동안 최대 37.5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게 된다.□ 국립한밭대 ITRC는 6G 무선통신 표준화를 위한 핵심기술 연구 및 글로컬 인재양성을 목표로, 차세대 무선통신 및 네트워크 표준화를 위한 원천기술 연구와 고급 인력양성에 초점을 맞췄다.○ 이를 위해 3GPP 또는 IEEE 등의 무선통신 국제 표준화 회의에 직접 참석하는 등 표준 기술 연구와 함께 표준화 전문 인재를 교육하는 특화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유관 연구소 및 기업체와 긴밀히 협력하면서 향후 8년간 국내 6G 연구와 전문 인력양성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한밭대 ITRC는 세부적으로 △무선전송 원천기술 및 표준화 연구(전자공학과 노고산, 이경재 교수, 모바일융합공학과 문지환 교수) △6G 무선접속 네트워크 원천기술 및 표준화 연구(지능미디어공학과 방인규 교수, 인공지능SW학과 김은경 교수, 컴퓨터공학과 김태훈 교수) △6G 다중안테나 빔포밍 및 고속측정 원천기술 연구(정보통신공학과 표성민 교수, 전자공학과 정영배 교수, 산업디자인학과 김승민 교수)를 수행할 예정이다.○ 특히 연구센터에는 통신 및 네트워크 분야에서 세계적인 석학인 Jeffrey Andrews(텍사스대학교 오스틴캠퍼스), Andrea Molisch(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 Giuseppe Caire(베를린공과대학교), Bruno Clerckx(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Tony Quek(싱가포르기술디자인대학교) 교수 등 9개의 해외 유수 대학 우수연구자들이 직접 참여하여 국내 교수진 및 학생들과 국제 공동연구를 수행하며 정기적인 교류와 방문연구, 공동세미나 및 워크숍을 통해 세계적 수준의 6G 무선통신 전문 인재 양성에 협력할 계획이다.□ 본 사업 책임자인 전자공학과 이경재 교수는 2030년쯤 정해질 6G 무선통신 국제표준화는 다양한 산업에서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며 많은 투자가 필요한 중요한 분야로, 이번 선정된 ITRC에서 계획하고 있는 국제 공동연구와 특성화된 교육과정을 통해 차세대 무선통신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국제 표준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자공학과는 이번 대학ICT연구센터 이외에도 4단계 BK21, ICT혁신인재4.0,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선도대학 등 대규모 대학원 지원사업에서 주관학과로 잇따라 선정되며, 첨단 전자공학 분야 연구와 석박사 양성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등록일
2024-06-24 10:49:06
3년 연속 예비창업패키지 성과평가 ‘최우수’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13
- 예비창업자의 성공 창업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및 사업 관리 역량 우수□ 우리 대학은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2023년 예비창업패키지 성과평가에서 최우수 등급을 획득하며, 3년 연속(2021~2023년) 최우수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예비창업패키지는 혁신적인 기술 창업 아이디어를 보유한 예비창업자의 성공적인 창업과 사업화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이번 평가는 전년도 창업지원 성과, 프로그램 운영 성과, 사업 관리 성과를 기준으로 했다.○ 우리 대학은 2015년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 주관기관으로 선정된 후부터 2019년 예비창업패키지와 초기창업패키지로 사업이 전환된 이후에도 계속해서 주관기관으로서 관련 사업을 이어오고 있다.○ 지난 2023년에도 예비창업패키지와 초기창업패키지 주관기관으로 재선정되며 2026년까지 4년간 사업비를 지원받아 유망한 예비창업자를 발굴․육성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송우용 창업지원단장은 국립한밭대학교가 그간 쌓아온 역량을 바탕으로 예비창업자들이 시대가 요구하는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하여 성공 창업의 밑거름이 되어 드리겠다고 밝혔다.
등록일
2024-06-13 10:28:59
전기공학과, ‘국제컴퓨터비전·패턴인식 학술대회 2024’에서 우수 역량 입증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694
- 학술대회 일환으로 진행 중인 분야별 워크숍에서 세계적인 연구 역량 확인□ 전기공학과 정찬호 교수 연구팀이 오는 6월 17일 미국 시애틀에서 열리는 국제컴퓨터비전․패턴인식 학술대회(CVPR,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2024 본 대회에 앞서 진행되고 있는 분야별 워크숍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두며 세계적인 연구 역량을 입증했다고 3일 밝혔다.○ 국제컴퓨터비전․패턴인식 학술대회는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와 국제컴퓨터비전재단(CVF)이 매년 공동 주최하는 컴퓨터 비전 분야 세계 3대 학술대회 중 하나로 관련 분야의 논문 발표가 이루어지는 메인 트랙과 보다 세분화된 분야별 워크숍이 함께 개최된다.□ 먼저 전기공학과 정찬호 교수 연구팀(권희원, 조선희, 조혜정 학생)은 VizWiz Grand Challenge Workshop에서 주최하는 VizWiz Zero-Shot Classification Challenge에서 1위를 기록했다.○ VizWiz Zero-Shot Classification Challenge는 이미지 분류(Image Classification), 도메인 적응(Domain Adaptation), 도메인 일반화(Domain Generalization) 등의 주제와 관련된 챌린지로 모델을 학습시킨 데이터의 도메인과 다른 도메인을 가지는 데이터에서도 모델이 높은 성능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챌린지에서 제공한 데이터는 정답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데이터를 모델 학습에 활용하기 위해 다양한 기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정 교수 연구팀은 기존 경험을 바탕으로 도메인 적응(Domain Adaptation)의 한 분야인 테스트 타임 적응(Test-time Adaptation)과 관련한 다양한 모델을 탐색했고, 챌린지 데이터 셋에 적합한 기술을 개발했다.□ 또, 해당 연구팀은 PBVS(Perception Beyond the Visible Spectrum) Workshop에서 주최하는 열화상 이미지 초고해상도 챌린지 TISR(Thermal Image Super-Resolution) Challenge Track 1에서 이미지 저장이나 전송, 압축, 영상 처리하는 과정에서 영상 화질의 손실량을 측정하는 최대 신호 대 잡음비(PSNR, Peak Signal-to-noise ratio)에 대해 4위, 변형된 영상의 구조적 유사도를 측정하는 지수(SSIM, Structural Similarity Index Measure)에서는 3위를 차지했다.○ TISR 챌린지 Track 1은 이미지 초고해상도(Image Super-Resolution)와 관련된 챌린지로 저해상도 열화상 이미지를 8배로 업스케일하여 초고해상도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제를 해결해야 하며, 연구팀은 기존 이미지 초고해상도에 사용되던 여러 모델을 재현하고, 열화상 이미지에 적합하게 모델을 수정해 열화상 이미지 초고해상도를 위한 모델을 발표했다.□ 또, HBNU팀(조혜정, 권희원, 조선희 학생)으로 참여한 MIPI(Mobile Intelligent Photography and Imaging) Workshop 2024에서는 제한된 수의 RAW 이미지 노이즈 제거(Few-shot RAW Image Denoising)에서 6위를 기록했다.○ 제한된 수의 RAW 이미지 노이즈 제거(Few-shot RAW Image Denoising)는 이미지 노이즈 제거 기술 발전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제한된 수의 RAW 이미지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HBNU팀은 챌린지에서 제공하는 모델을 재현하고, 모델에 파인튜닝(Fine-tuning) 작업을 진행하여 이미지 노이즈 제거 모델을 구성했으며, 이를 토대로 이미지 노이즈 제거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더욱 활발히 이어갈 예정이다.□ 한편, CVPR은 구글 학술검색 기준 전 세계 전 분야 논문지(콘퍼런스 및 저널) 중 4위로, 1위는 Nature, 3위는 Science, 8위는 Cell이다.
등록일
2024-06-03 16:45:04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선도대학(원) 육성사업 1차년도 연차평가 대학원 부문 ‘최우수’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611
- 반도체 분야 중소‧중견기업 맞춤형 고급인재 양성 노력 지속□ 우리 대학이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선도대학(원) 육성사업 1차년도 연차평가에서 대학원 부문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조기취업형 계약학과는 청년의 진학과 조기취업의 욕구를 동시에 달성하고 중소중견기업의 맞춤형 인재 양성 및 조기 확보를 목적으로 운영되는 교육부 주관 사업이며, 우리 대학은 이번 결과로 2차년도 24억 3,400만 원의 사업비를 지원받게 된다.□ 이번 연차평가는 선발학생 수, 채용약정 학생 수, 참여기업 수, 교육과정 운영, 인프라 구축, 사업 관리 등 다양한 성과지표를 기준으로 실시됐으며,○ 우리 대학은 △대학 내 반도체 특화형 교육연구시설인 창의융합교육센터 공간 및 반도체 전문 장비의 체계적 구축 △RISE 체계로의 전환에 대비한 대전지역 연계 활동 성과의 다양성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채용약정기업과의 적극적 수요 반영 노력 실적 등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국립한밭대는 지난해 충청권 대학 중 해당 사업에 유일하게 선정되어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반도체 고급인재 양성이라는 비전을 실현하고자 반도체 고급인재 양성과 지역 반도체 산업의 도약을 목표로 지능형나노반도체학과 석박사 과정을 운영 중이다.□ 오용준 총장은 1차년도 연차평가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은 국립한밭대 구성원과 채용약정기업, 지역사회가 다 함께 노력한 결과이다라며, 이번 결과에 안주하지 않고, 첨단반도체 산업 분야에 기여하는 융복합적 반도체 인재 양성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한편, 우리 대학은 2024학년도 후기 대학원 조기취업형 계약학과(지능형나노반도체학과) 석․박사과정 신입생을 오는 7월 3일까지 모집하며, 자세한 사항은 학교 누리집(https://www.hanbat.ac.kr) 또는 학과 누리집(https://www.hanbat.ac.kr/semi/)을 참조하거나 학과 사무실(042-828-8757)로 문의하면 된다.
등록일
2024-05-31 16:36:14
LINC 3.0 2차년도 연차평가 ‘최우수’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07
- 지역혁신 발전 위한 지산학연 협력 선도 노력 지속□ 3단계산학연협력선도대학육성사업(LINC 3.0)이 2차년도 연차평가에서 최우수를 받아 3차년도 41억 4,800만 원의 사업비를 지원받게 됐다고 27일 밝혔다.○ 국립한밭대 LINC 3.0 사업은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산학연협력 선도대학이라는 비전하에 진화형 인재양성 대학과 개방형 기업가적 대학 달성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시장경험 교육 △미래산업 수요에 대응하는 미래경험 △대학과 기업 간 교차경험이라는 3대 추진전략을 적극 추진해 왔다.□ 이번 연차평가는 핵심성과지표로 구성된 정량평가와 산학협력 활동 등으로 구성된 정성평가로 진행됐으며, 국립한밭대는 2차년도 성과와 3차년도 계획이 우수하다는 평을 받았다.○ 특히 정성적인 측면에서 △산학협력 발전계획 비전 달성을 위한 대학 발전계획과의 연계 실적 양호와 대학의 자원투입과 지원을 통한 성과의 다양성 △산학연연계 교육과정 실현을 위해 수립한 전략과 성과 창출의 우수성 △대전시 전략산업 및 대학의 특성을 반영한 로봇‧물류, 나노‧반도체‧바이오, 우주‧국방 분야 3개 ICC 선정 관리 및 운영 실적 우수성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우승한 LINC 3.0 사업단장은 이번 평가결과를 기반으로 3차년도 세부 사업계획을 보완해 2025년 RISE 체계로의 연착륙과 지역혁신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국립한밭대학교는 대전권대학 산학협의체 회장교로서 지역 대학과 지자체를 연계한 협력체계를 공고히 하고, LINC 3.0 사업 3차년도에서 지․산․학․연 간 상호 발전적 협력 사업을 다양하게 추진하는 한편, RISE 체계도 충실히 준비해 나갈 예정이다.
등록일
2024-05-27 16:16:26
‘대전 스마트그린산단 스마트제조고급인력양성사업’ 선정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32
충남대, 한남대, 대덕이노폴리스벤처협회와 컨소시엄 구성, 3년간 총 60억 원 지원□ 우리 대학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총 60억 원 규모의 대전 스마트그린산단 스마트제조고급인력양성사업에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사업에는 우리 대학을 주관기관으로 하여 충남대, 한남대, 대덕이노폴리스벤처협회가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대전산업단지는 지난 2022년 산업단지 대개조 지역으로 선정됐으며, 본 사업을 통해 스마트 제조인력 고도화 교육과정 및 인프라를 구축하여 스마트공장 고도화를 이루고, K-제조업 신성장 거점으로 발전시키겠다는 계획이다.□ 이번 사업을 통해 국립한밭대 컨소시엄은 2026년까지 연 20억 원씩 총 60억 원의 사업비를 지원받게 되며, 이를 기반으로 재직자 및 취업준비생 교육을 실시하여 현장문제해결형 기업캡스톤디자인, 석박사급 인력양성 등 대전산업단지 입주기업들의 디지털전환을 견인할 인재들을 양성하게 된다.□ 본 사업 책임자인 산업경영공학과 김태구 교수는 국립한밭대 컨소시엄은 4차산업혁명 혁신선도대학사업, 산업혁신인재양성사업, 반도체특성화대학사업, 캠퍼스혁신파크사업 등 다양한 분야의 인력양성사업을 수행하는 우수 역량을 갖춘 대전 지역 대표 대학들과 재직자 전문교육기관으로서, 한마음으로 대전산업단지가 노후 산단에서 디지털 전환에 성공한 모범 산단으로 거듭나 대덕연구개발특구와 연계할 수 있는 역량을 지닐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우리 대학은 지난 4월, 차세대 국방․우주산업의 부품 공급망 구축에 필요한 3D프린팅 기술 확보를 위해 산․학․연 협력 기반을 조성하고 공동제조센터 구축을 통해 대전산업단지를 국방․우주 소부장 공급기지화 하는 국방․우주 소부장 3D프린팅 공동제조 구축사업에도 참여기관으로 선정됐다.□ 오용준 총장은 국립한밭대학교는 첨단산업 분야의 우수인력 배출 및 기반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번 대전스마트그린산단 스마트제조고급인력양성사업과 국방․우주 소부장 3D프린팅 공동제조센터 구축사업을 차질 없이 수행해 대전산업단지의 디지털 인프라 확대 및 친환경 탄소저감 산업단지 조성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등록일
2024-05-10 17:24:14
충남대-국립한밭대,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선정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477
충남대학교와 국립한밭대학교가 2024년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대학에 선정됐다.교육부와 글로컬대학위원회가 4월 16일, 2024년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대학을 선정, 발표한 가운데 통합기반 혁신으로 응모한 충남대와 국립한밭대가 선정됐다.글로컬대학위원회에 제출한 혁신기획서에 따르면 충남대와 국립한밭대가 글로컬대학 추진하는 글로컬대학 사업의 핵심 키워드는 CHANGE (Chungnam-Hanbat Activate iNnovation 로 대학과 정부출연연구원, 지자체 및 지역 혁신 주체와의 경계를 허물고, 융합을 통해 초격차 연구와 지역 성장을 이끄는 강력한 글로컬 대학이 되어, 과학 수도 재창조와 대한민국의 혁신을 이끌어내고 변화(Change)를 선도하는 대학이 되는 것이 혁신 비전의 목표다.충남대와 국립한밭대는 선도모델로 독일 전역에 76개의 연구소와 3만여명의 직원이 연간 30억 유로의 예산으로 연구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유럽 최대의 응용과학연구소로인 프라운호퍼형 응용융합연구원을 벤치마크했다. 대학과 정출연이 공동으로 프라운호퍼형 응용융합연구원을 설립해 대학 연구자, 정출연 연구자, 후속 세대 연구 인력 등 지자체의 혁신 연구 역량이 대학 캠퍼스에 입지한 공동 연구 플랫폼과 공동 교육 플랫폼을 통해 교육과 연구 역량을 극대화해 노벨상급 석학 원장 초빙, QS 100위권 학분분야 10개 육성, 응용연구원 J.A(Joint Appointed) 교원 및 연구원 1,000명 등 전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중심 학석박 연계 교육과 연구 역량을 갖춘다는 계획이다.이와 함께 초격차 R의약바이오와 국방융합 분야 중심으로 딥테크 기술 발굴부터 맞춤형 사업화까지 전주기 지원 거버넌스 구축에 나서, 대학이 지역전략산업 육성의 Think Tank로서의 역할을 넘어 Action Tank로 기능하도록 할 계획이다.국립한밭대와 충남대는 경험중심 융합교육 실현을 위해 올린공과대학을 벤치마크해, Change 융합대학을 중심으로 미래형 인재양성을 위한 학사구조를 혁신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국립한밭대는 지난 2월 올린공과대학과 상호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올린공과대의 교육모델을 아시아지역에 확산하는 허브대학으로의 기틀을 마련했다.1학년은 문해력과 기초과학역량 강화, AI 의무교육 및 진로 설계 교육, 2~3학년은 심화융합자기설계산학연계기업수요 전공 등 전공의 다양성을 높이고, 4학년은 인턴집중연구 학기제, 마이크로디그리, 모듈전공 등 자기 선택성을 높이며 대학원 과정까지 연계하는 등 학과와 단과대학의 경계를 뛰어넘는 인재양성 체계를 구축하고 전문성과 융합 기반의 수요자 중심 브릿지 교육에 나설 계획이다.또한, 국립대학교 최초로 국내-해외 글로벌 오픈캠퍼스 구축을 통해 국내 대학의 글로벌 수출과 글로벌 연구중심 대학으로서의 지속 가능한 발전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 글로벌 오픈캠퍼스는 충남대가 제시한 국립대학의 해외 수출 선도모델로, 해외 우수대학과의 공동 교육과정 운영, 공동연구센터 설치 및 운영과 연구 협력, 대학 간 학생 상호 교류 등 국내 대학의 글로벌 진출과 연구 활성화를 통한 글로벌 연구 중심 국립대학의 지속 가능한 발전 모델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이를 위해, 지난해부터 베트남 하노이과학기술대학, 베트남국립농업대학, 모나시대학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가자마다대학, 인도네시아 IPB대학 등과 글로벌 오픈캠퍼스 구축을 위한 MOA를 체결하는 등 해외에 현지 글로벌센터 설립에 적극 나서고 있다. 국립한밭대 또한 베트남경제대학 등과 MOA를 체결했으며, 체코 등 동유럽 대학을 포함하여, 베트남 교육부, 노동부와 협력하여 해외우수연구인력 유치프로그램을 강화하기로 했다.대학 간 통합 혁신을 선택한 충남대와 국립한밭대는 지난 1월, 충남대학교-국립한밭대학교 글로컬대학30 사업 및 대학 간 통합 추진을 위한 합의문에 서명하고 글로컬대학 사업과 통합 추진 과정에서 양 대학이 상호 존중하고 지속적으로 조율해 나갈 것을 약속했다.이와 관련해 대전시는 글로컬대학 사업을 위해 직접 투자 2,000억원, 간접 투자 6,400억원 등 총 8,400억원 규모의 투자를 통한 강력한 지원을 약속했을 뿐 아니라, 2024년 글로컬대학 사업의 혁신기획서 작성을 위해 지난 2월, 대전시에 소재하고 있는 지산학연 28개 관련 기관이 대전시와 대전 소재 혁신기관의 과학기술역량을 극대화하기 위해 대전광역시 지산학연 혁신 주체간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이번 2024년 글로컬대학에 예비지정됨에 따라 본지정 평가를 위해 충남대와 국립한밭대, 대전시는 공동으로 구체적인 본지정 실행계획을 수립한 뒤 6월 말까지 실행계획서를 접수할 계획이다. 교육부 등은 본지정 실행계획서를 평가해 7월중 본지정 발표, 8월초 본지정 결과를 확정할 방침이다.충남대 김정겸 총장은 충남대, 국립한밭대 양 대학 구성원은 물론 대전시와 지역혁신기관, 지역민들의 성원 덕분에 글로컬대학 예비지정에 선정될 수 있었다며 대학 구성원과 세심히 논의하고 의견을 충실히 반영하는 한편, 충남대, 국립한밭대, 대전시가 함께 본계획서 작성에 최선을 다해 반드시 글로컬대학 본지정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국립한밭대 오용준 총장은 국립한밭대와 충남대가 혁신기획서에 담은 내용들을 토대로 남은 기간 동안 구체적인 실행방안들을 더욱 세밀히 마련하여 지역의 성장을 견인하고 대한민국의 혁신과 변화를 선도하는 대학이 될 수 있도록 글로컬대학 본지정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등록일
2024-04-16 09:23:51
최원산 교수 연구팀, ‘습식 에어필터’ 및 ‘미세플라스틱 제거제’ 개발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260
□ 우리 대학 화학생명공학과 최원산 교수 연구팀이 물을 보조필터로 쓰는 습식 에어필터 및 미세플라스틱 제거를 위한 양쪽성 자성나노입자를 개발했다.○ 최 교수 연구팀은 서로 다른 2개의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친수성 및 소수성 소재의 최적 조합 비율을 찾아내 습식 에어필터 및 미세플라스틱 제거제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본 연구를 통해 습식 에어필터는 에어필터 주변을 물이 에워싸고 있는 구조로, 미세먼지(PMs: Particulate Matters)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Volatile Organic Compounds)이 먼저 에어필터에 흡착되고, 흡착되지 않은 PM/VOC가 물 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계하여 추가적인 제거가 가능하도록 했다.○ 이로써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에어필터의 과부하를 막아주어 장시간 사용에도 낮은 압력강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는 HEPA필터(H13)의 성능을 뛰어넘고 주기적인 물 교체만으로 에어필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최 교수 연구팀은 또 다른 연구의 하나로, 환경오염과 인체에 나쁜 영향을 끼치는 미세플라스틱에 대해 주목하고 실험을 통해 이를 제거하는 기술을 발표했다.○ 미세플라스틱(MPs: Microplastics)은 플라스틱 및 일회용 제품 등에서 발생하는데, 보통 소수성을 보이지만 자연계에서 물리/화학적 식각/산화과정을 거치면서 친수성으로 변하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연구는 친수성 MP 제거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하지만 MP 배출량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세탁기로부터 배출되는 MP는 소수성을 보이므로 친수 및 소수 MP를 모두 제거할 수 있는 소재 및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연구팀은 자성나노입자 표면에 친수/소수성 소재들이 최적의 조합비율로 혼합되어 있으면 물 및 기름에 안정적으로 분산 될 수 있음을 증명했고, 랩 테스트(친수 및 소수 MP 제거효율: 98.9% 및 97.8%) 및 산업체 폐수 테스트(MP 제거효율: 95.8%)에서도 뛰어난 제거 효율 및 재사용을 확인하여 상업적 응용 가능성을 제시했으며, 학술지의 표지 논문으로도 선정됐다.□ 최 교수는 물이 곧 보조 필터로 향후 에어필터 설계․제작 시 반드시 고려돼야 할 새로운 방향 및 기준을 마련한 점과 어떤 환경(물/기름/물․기름)에서도 친수 및 소수성 MP의 제거가 가능한 전천후 미세플라스틱 제거제 개발에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역대학 우수과학자 지원을 받아 수행됐고, 연구결과는 엘스비어(Elsevier) 및 미국화학회(ACS) 발행 국제학술지 Separation및 ACS Applied Materials (표지 논문 선정) 2024년 4월호에 각각 게재됐다.
등록일
2024-04-12 09:18:17
<<
첫번째페이지
<
이전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
다음페이지
>>
마지막페이지
만족도조사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제공되는 정보에 대한 평가 내용을 등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