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밭대학교
검색
검색어
열림버튼
통합검색
찾으시는 단어나 검색어를 입력해 주세요!
검색
통합검색
닫기
로그인
언어선택
언어선택
열림버튼
ENG
CHN
전체메뉴
전체메뉴
HI HANBAT
HI HANBAT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대학소개
교육목표
연혁
UI소개
대학상징
개교기념행사
대학통계
대학요람
열린총장실
인사말
프로필
총장님, 할말있어요
역대총장
대학비전
비전 2030
특성화계획
윤리헌장
대학조직
조직도
직원검색
모범직원추천
HANBAT, 영광의순간
한벗소개
한벗은?
HANBAT 3D캠퍼스
학교오시는길
유성덕명캠퍼스
대덕산학융합캠퍼스
세종캠퍼스
시설이용안내
문화체육부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사전정보공표
정보목록
정책실명제
재정현황
업무추진비공개
상품권구매현황
수의계약공개
청렴센터
갑질신고센터
정보공시
자체평가
대학안전관리
개인정보의 목적 외 이용 또는 제3자 제공 및 위탁 사실 공지
발전기금/후원
입학안내
입학안내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입학안내
한밭대학교 입학홈페이지
바로가기
대학·대학원
대학·대학원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대학
대학
바로가기
대학원
대학원
바로가기
산학·연구
산학·연구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국립한밭대학교 LINC 3.0 사업단
산학협력단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연구비관리시스템
연구홍보포털
공동실험실습관
미래창의인재교육원
화학소재상용화지역혁신센터
학사 및 장학정보
학사 및 장학정보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학사공지
학사일정
학부
대학원
학사종합안내
교육과정
수업및수강
성적
학적
졸업
대학규정
규정 제‧개정 공지사항
학사서식
학사상담
학사일반
교직상담
장학금
교내장학제도
장학공지
장학상담
등록금
등록
분할납부
등록금반환
FAQ
인터넷증명발급
인터넷증명발급
증명서 우편발송 서비스(해외)
교직원 인터넷증명발급
대학생활
대학생활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학생활동
총학생회
동아리
학회연합회
통학정보
셔틀버스
임차버스
학생복지
학내편의시설
보건진료소
금주의식단
학생생활공간
학생상담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상담신청
공지사항
마음건강 정보
인권센터
센터소개
이용 안내
인권침해 상담
상담신청 방법
인권침해 사안 처리 절차
공지사항
인권센터 규정
장애학생지원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장애학생지원
공지사항
사회봉사지원센터
스마트 학사/ IT서비스 안내
한밭스마트서비스
모바일 출입관리 시스템(앱)
차량 및 개인형 이동장치
차량등록
개인형 이동장치
시설 원스톱서비스
신청하기
신청내역
학생증 발급
국제학생증발급
학생생활관
병무정보
학생병무안내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 홍보동영상
ROTC Q&A(질의응답)
육군학생군사학교 링크
국내외대학교정보
국내대학 리스트
세계대학랭킹TOP100
학생국제교류
진로·취업 원스톱 서비스
진로 · 취업 프로그램 신청
상담신청
채용정보
성공취업컨텐츠/AI자소서•면접클리닉
한밭LIVE
한밭LIVE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공지사항
행사안내
HANBAT 뉴스
일반/홍보
교육/연구
교류/산학
한밭People
HANBAT 미디어
홍보동영상
홍보브로슈어
한밭갤러리
한밭디자인
한밭영상
대학현황
HANBAT 사용설명서
HANBAT 대학원 사용설명서
뉴스레터
뉴스레터
뉴스레터 구독및취소
한밭SNS
공식 SNS Hub
기타 SNS
언론에서 본 HANBAT
ZOOM IN HANBAT
정보광장
주거정보
아르바이트
분실/습득물
온라인장터
카풀해요
자유게시판
글로컬대학 30
글로컬대학 30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바로가기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바로가기
글로컬대학 30
(Q&A)
글로컬대학 30 Q&A
바로가기
로그인
전체메뉴
열림버튼
언어
ENG
CHN
한밭대학교 블로그
한밭대학교 유투브
한밭대학교 인스타그램
한밭대학교 페이스북
한밭대학교 트위터
HI HANBAT
대학소개
교육목표
연혁
UI소개
대학상징
개교기념행사
대학통계
대학요람
열린총장실
인사말
프로필
총장님, 할말있어요
역대총장
대학비전
비전 2030
특성화계획
윤리헌장
대학조직
조직도
직원검색
모범직원추천
HANBAT, 영광의순간
한벗소개
한벗은?
HANBAT 3D캠퍼스
학교오시는길
유성덕명캠퍼스
대덕산학융합캠퍼스
세종캠퍼스
시설이용안내
문화체육부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사전정보공표
정보목록
정책실명제
재정현황
업무추진비공개
상품권구매현황
수의계약공개
청렴센터
갑질신고센터
정보공시
자체평가
대학안전관리
개인정보의 목적 외 이용 또는 제3자 제공 및 위탁 사실 공지
발전기금/후원
입학안내
대학·대학원
대학
대학원
산학·연구
국립한밭대학교 LINC 3.0 사업단
산학협력단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연구비관리시스템
연구홍보포털
공동실험실습관
미래창의인재교육원
화학소재상용화지역혁신센터
학사 및 장학정보
학사공지
학사일정
학부
대학원
학사종합안내
교육과정
수업및수강
성적
학적
졸업
대학규정
규정 제‧개정 공지사항
학사서식
학사상담
학사일반
교직상담
장학금
교내장학제도
장학공지
장학상담
등록금
등록
분할납부
등록금반환
FAQ
인터넷증명발급
인터넷증명발급
증명서 우편발송 서비스(해외)
교직원 인터넷증명발급
대학생활
학생활동
총학생회
동아리
학회연합회
통학정보
셔틀버스
임차버스
학생복지
학내편의시설
보건진료소
금주의식단
학생생활공간
학생상담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상담신청
공지사항
마음건강 정보
인권센터
센터소개
이용 안내
인권침해 상담
상담신청 방법
인권침해 사안 처리 절차
공지사항
인권센터 규정
장애학생지원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장애학생지원
공지사항
사회봉사지원센터
스마트 학사/ IT서비스 안내
한밭스마트서비스
모바일 출입관리 시스템(앱)
차량 및 개인형 이동장치
차량등록
개인형 이동장치
시설 원스톱서비스
신청하기
신청내역
학생증 발급
국제학생증발급
학생생활관
병무정보
학생병무안내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 홍보동영상
ROTC Q&A(질의응답)
육군학생군사학교 링크
국내외대학교정보
국내대학 리스트
세계대학랭킹TOP100
학생국제교류
진로·취업 원스톱 서비스
진로 · 취업 프로그램 신청
상담신청
채용정보
성공취업컨텐츠/AI자소서•면접클리닉
한밭LIVE
공지사항
행사안내
HANBAT 뉴스
일반/홍보
교육/연구
교류/산학
한밭People
HANBAT 미디어
홍보동영상
홍보브로슈어
한밭갤러리
한밭디자인
한밭영상
대학현황
HANBAT 사용설명서
HANBAT 대학원 사용설명서
뉴스레터
뉴스레터
뉴스레터 구독및취소
한밭SNS
공식 SNS Hub
기타 SNS
언론에서 본 HANBAT
ZOOM IN HANBAT
정보광장
주거정보
아르바이트
분실/습득물
온라인장터
카풀해요
자유게시판
글로컬대학 30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글로컬대학 30 (Q&A)
닫기
HIGH
HANBAT
HOME
한밭LIVE
HANBAT 뉴스
교류/산학
공유
네이버 SNS
공유하기
트위터 SNS
공유하기
페이스북 SNS
공유하기
네이버 밴드
공유하기
URL
복사하기
닫기
프린트
교류/산학
게시물 검색
총 게시물
736
,
페이지
46
/ 74
-전체-
제목
작성자
페이지당 게시물수
10
20
30
50
적용
드론융합기술센터, 공간정보기업 5개사와 MOU 체결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639
□ 산학협력단은 지난 19일 공간정보 관련 5개 기업과 산학협력 협약을 체결하고 대학발전기금 700만원을 기부 받았다고 20일 밝혔다.○ 협약식에는 최종인 산학협력부총장과 우승한 산학협력교육원장, 도명식 드론융합기술센터장 등 대학 관계자와 ㈜스마트지오 김성훈 대표, 하나산림㈜ 박재호 대표, 서광항업㈜ 정공운 대표, ㈜서금 이성문 대표, ㈜한국KGT 김철웅 팀장 등 10여명이 참석하였다.○ 한밭대는 이번 협약으로 공간정보 기업들과의 산학협력을 통해 신기술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와 드론 및 융․복합 분야 전문 기술인력 양성, 인적교류 등 다양한 산학협력을 진행할 예정이다.○ 도명식 드론융합기술센터장은 대학의 공용장비와 전문기술을 기업이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업지원을 추진해 나갈 것이며 적극적인 교류가 이루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최종인 산학협력부총장은 코로나19로 많은 기업들이 힘들어하는 상황에서 대학이 할 수 있는 산학협력 활동을 통해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돕고 대학과 기업이 사회발전에 공동노력 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협약과 함께 관련 기업들은 인재양성을 위한 대학발전기금 700만원을 전달했다.
등록일
2020-10-22 11:07:45
유성국화전시회에 공공디자인 프로젝트 작품 전시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508
□ 한밭대학교는 16일부터 지역행사인 제11회 유성 국화전시회와 연계하여 대학정문 앞 광장 유림뜰에 국화를 주제로 한 공공디자인 프로젝트 디자인 작품들을 설치하고 국화와 함께 다채로운 볼거리를 선보이고 있다.○ 이번 프로그램은 국립대학 육성사업의 일환으로 대청공원에 전시되었던 아트체험 부스를 새롭게 디자인하여 지역 축제와 함께하는 프로젝트로 진행됐다.○ 산업디자인학과 2학년 학생들이 SPACE 국화를 그리다라는 테마로 회상, Blooming, 피움, Wings, 향기 머금은 파도 5개의 작품을 선보였으며, 국화와 관련된 내용으로 디자인하여 관람객이 쉽고 재미있게 볼 수 있도록 했다.○ 이번 프로젝트에 참여한 정다영 학생은 작품을 직접 기획, 설치까지 할 수 있었던 기억에 남을 프로젝트였으며 요즘같이 모두가 힘든 상황에서 우리의 작품을 통해 관람객들이 즐거움을 얻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프로젝트를 총괄한 김지현 지도교수는 이번 지역축제 참여를 통해 학생들의 역량 강화뿐만 아니라 지역주민들에게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뜻깊은 작업이었다며 앞으로 지역 유관기관과의 협업으로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프로젝트로 확대발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공공디자인 프로젝트는 산업디자인학과 김지현 교수의 지도 아래 학생들의 기획으로 체험형 아트체험 부스를 디자인하고 설치함으로써 지역주민과 학생들에게 예술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2019년 대청공원 프로젝트를 시작으로 2022년까지 진행될 계획이다.○ 이번 공공디자인 프로젝트는 한밭대학교 지역사회상생센터 후원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작품은 국화축제 전시기간인 11월 8일까지 전시될 예정이다.
등록일
2020-10-20 09:54:44
가족기업 기술을 적용한 산학협력 영상회의실 구축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631
□ LINC+사업단(단장 최종인 산학협력부총장)은 12일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언택트 시대에 산학협력 사업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하여 가족기업인 욱성미디어와 산학협력 영상회의실을 구축하였다고 밝혔다.○ 욱성미디어(대표 박배욱)는 하드웨어 코덱방식 원격화상회의 시스템을 개발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연구소 등록기업으로서 금번 구축된 영상회의실은 하이브리드형 다자간 영상 교육, 쌍방향 회의 시스템이 포함되어 있다.○ 한밭대는 이러한 비대면 강의 및 회의가 가능한 최첨단 인프라를 기반으로 환경변화로 인한 제약에서 자유롭게 산학협력 활동을 확산해 나아갈 계획이며, 12월에 개최되는 한밭대학교 대표 브랜드 행사 한밭 산학협력 Fair에도 주요하게 활용할 예정이다.□ 또한 이날 산학협력 영상회의실 구축에 맞춰 타 기관의 비대면 행사 준비 상황을 벤치마킹하고 고객 가치창출을 실현하기 위한 교직원 역량강화의 일환으로 전문가 초청 특강을 실시했다.○ 카이스트 글로벌기술사업화센터(Global Commercialization Center) 박영덕 교수를 초청하여 글로벌기술사업화센터의 역할과 2020 GCCW(GCC Workshop)의 언택트 운영 방식에 대한 강연과 토론을 진행했다.○ 특강에는 최종인 산학협력부총장, 우승한 LINC+사업단 부단장, 이종원 사업지원부장 및 산학협력중점교수 등이 회의실에 대면 참석하였으며, 직원들은 구축된 비대면 인프라를 활용하여 온라인 스트리밍을 통해 강연을 들었다.○ 최종인 산학협력부총장은 욱성미디어와의 산학협력을 통한 산학협력 영상회의실 구축으로 언택트 시대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 인프라를 확보하게 되었고, 카이스트 글로벌기술사업화센터와 상호보완을 통해 가치창출의 기회를 엿볼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며,○ 오는 12월에 온라인으로 진행될 우리대학 대표 산학협력 브랜드 행사인 한밭 산학협력 Fair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시사점을 찾을 수 있기를 바라며, 향후에도 욱성미디어 및 카이스트 글로벌기술사업화센터와 유의미한 협력이 지속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산학협력단은 지난 5월 카이스트 글로벌기술사업화센터(최문기 센터장)와 기술력과 경쟁력을 갖춘 지역 중소벤처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과 해외 기술 수요에 대한 국내 매칭기술 발굴, 기술사업화 전문 인력 양성 등 글로벌 기술사업화 촉진 및 활성화를 위하여 업무협력 협약(MOU)을 체결한 바 있다.
등록일
2020-10-13 14:51:41
2020 대전지역 특허전략 경진대회 5팀 입상 쾌거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647
□ 대전시와 특허청이 지원하고 한밭대학교 지식재산정보사업단이 주관한 2020 대전지역 특허전략 경진대회에서 총 15개 수상팀 중 5팀이 입상하였다.○ 올해로 7회째를 맞는 이 대회는 대학생들의 IP(지식재산) 역량을 강화함과 동시에 창의적 아이디어를 산업계에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 대회로 선행기술조사부문과 특허전략수립부문으로 나누어,○ 출제된 기술에 대한 국내외 특허를 분석하고 연구개발 전략 및 특허 획득 방향을 수립해 발표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지난 6월을 시작으로 대전지역 대학생 총 85팀(128명)이 지원해 각 대학에서 쌓은 IP 지식 및 문제해결능력을 겨뤘으며, 한밭대학교는 선행기술조사부문에서 박성현 학생이 대상, 김건우 학생이 최우수상, 정우식 학생이 우수상, 최창인 학생이 장려상을, 특허전략수립부문에서는 조세희, 김정민, 최수용 학생이 장려상을 수상하였다.□ 국제특허분쟁 등 IP 전문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2014년 지식재산정보사업단을 설치하여 IP 분야 우수인력 양성 및 공급에 앞장서왔다.○ 관계자는 이번 성과는 지난 6년간 지속적으로 수행한 교육의 노하우와 학생에 특화된 교육과정 개발, 우수한 교수진과 전문가의 노력이 더해진 결실이라고 말했다.○ 선행기술조사부문 대상을 수상한 박성현 학생은 평소 관심 있었던 특허 관련 분야를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됐다면서 이번 대회를 통해 그 동안 최근 기업이 주목하는 분야에 관한 지식을 쌓고 세상을 바라보는 눈이 넓어졌다고 소감을 전했다.○ 최종인 산학협력부총장은 4차 산업혁명, 국내기업과 국제기업의 지식재산권 분쟁이 확산되는 가운데 한밭대가 대전의 지식재산교육허브 구축에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고 지식재산 전문 인력의 육성과 관련 산업의 발전을 통한 고부가가치 창출에 든든한 초석이 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지식재산정보사업단은 지식재산 교과과정 개발운영, IP채용연계캠프, 특허전략경진대회 등 지식재산 관련 특화 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등록일
2020-10-06 16:17:58
언택트 기술을 활용한 지역공헌사업 구상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942
□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단(단장 최종인 산학협력부총장)은 28일 대전 이응노 미술관을 찾아 구글 아트 앤 컬처 기술을 체험하였다.○ 지역문화 프로그램 및 비대면 기술 융합과 활성화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이번 방문은 최종인 산학협력부총장, 김용철 부단장, 이종원 사업지원부장, 산학협력중점교수 등이 참여했으며, 류철하 이응노미술관장의 설명과 안내로 진행되었다.○ 또한 한밭대 가족회사로서 AR/VR 솔루션을 취급하는 ㈜버넥트의 김백선 사업리더와 정기환 매니저도 이번 방문에 함께 참여하여 언택트 트렌드에 따른 가상 전시 기술 등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였다.□ 이응노미술관은 구글 아트 앤 컬처 온라인 전시 플랫폼을 통해 전 세계에 이 화백의 작품을 소개하고 있다.○ 대표작 25점을 아트 카메라로 초고화질 촬영해 작품을 자세하게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 등 첨단 기술로 작품을 생생하게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아울러 이응노 작품과 전 세계 다른 작품과의 연관성을 찾아 보여주는 컬러 팔레트 기술, 관람객 사진을 이응노 작품의 스타일로 변형하여 보여주는 아트 트랜스퍼 기술 등을 제공하고 있다.□ 최 산학협력부총장은 언택트 시대에 지역사회 문화 활성화를 위한 예술(Art)과 기술(Technology)의 융합 필요성과 의미를 공유할 수 있는 뜻깊은 방문이었다며, 고암 이응노 선생님의 정신은 젊은 학생들과 대학 구성원에게 새로움의 가치를 전하고 있어 이를 통해 미래가치를 위한 산학일체 혁신대학에 접목하고자 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임재하 교수는 대나무; 추풍불굴군자자상(바람과 싸우면서도 굽히지 않는 군자의 형상) 앞에서 그 의미를 돼 새기며 지금의 어려움을 기회로 바꾸자는 의견을 개진하였다.□ 한편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단은 AR/VR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현충원 묘역 관리 등 지역사회공헌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오는 12월 산학연관이 함께 산학협력 성과를 공유, 확산하는 산학협력 Fair를 온라인 행사로 추진 준비 중이다.○ 대학이 가진 4차 산업혁명 역량(Capability)을 통해 지역사회의 문화 수요(Needs)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Idea)를 지속적으로 구현해 나아갈 예정이며, 향후 산학협력 Fair의 새로운 시도를 위한 여러 의견들을 나눌 것이다.
등록일
2020-09-29 15:27:37
2020년도 전반기 대전·세종·충남지역 총장협의회 열려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657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 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원본 기사 바로가기: https://search.naver.com/p/cr/rd?m=1&px=585&py=351&sx=585&sy=351&p=U22DnwprvxZssMguvdhssssssgR-188582&q=%EC%B4%9D%EC%9E%A5%ED%98%91%EC%9D%98%ED%9A%8C+%ED%95%9C%EB%B0%AD%EB%8C%80&ie=utf8&rev=1&ssc=tab.news.all&f=news&w=news&s=bJ6%2FqSGEVtMWmmtczxtNKg%3D%3D&time=1601021260401&bt=32&a=nws*f.tit&r=1&i=88184363_000000000000000000019278&g=5612.0000019278&u=https%3A%2F%2Fwww.sisa-news.com%2Fnews%2Farticle.html%3Fno%3D135236
등록일
2020-09-29 15:22:58
윤린 교수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사업과제 선정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861
□ 기계공학과 윤린 교수 연구팀이 2020년도 한국환경산업기술원(KEITI) 수열활용 확대기술 및 환경적합성 기술개발사업 제 3과제를 수행하는 대상기관으로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 KEITI가 지원하는 해당 사업은 2019년 재생에너지로 지정된 수열원을 활용한 에너지시스템의 통합설계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한 과제로 2023년 12월까지 10억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며, 한밭대는 총 5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하천수, 원수, 댐 호소수 등 수열원을 이용하여 건물의 냉난방, 집단에너지 공급, 열 네트워크의 공급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열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성, 경제성, 환경영향 등이 사업 초기 단계에 정확히 평가되어야 한다.○ 윤 교수 연구팀은 이를 위해 수열에너지 활용 통합설계 플랫폼 기술개발을 주제로 하여 플랫폼 개발을 4년 동안 완성하고, 올해 시행되는 제로에너지빌딩의 평가프로그램인 건물에너지평가프로그램(ECO2) 내 에너지 생성원과 냉난방기기기로서의 수열원 히트펌프시스템을 추가하는 것이 목표이다.□ 또한 연구팀은 최근 그린 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수열 육성에 시동을 걸고 있는 상황에서 수열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높을 것으로 판단하고 향후 취업유발효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리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구 총괄책임을 맡은 윤린 교수는 이번 수열활용 확대기술 및 환경적합성 기술개발사업 수주를 계기로 수열에너지가 재생에너지원으로서 전체 에너지 소비의 40%를 차지하는 건물의 냉난방에너지를 줄여 정부의 2030 및 2050정책의 핵심인 재생에너지 활용도 증대 및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에 큰 공헌을 할 수 있다는 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등록일
2020-09-29 14:58:33
‘2020 학생 창업유망팀 300’ 교육부장관 인증서 수여식 개최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751
□ LINC+사업단은 지난 23일 교내 산학연협동관에서 2020 학생 창업유망팀 300에 최종 선정된 5팀을 대상으로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인증서 수여식을 개최했다.○ 올해 5회째를 맞은 학생 창업유망팀 300은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연구재단과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이 주관하는 전국 최대 규모의 학생 창업 경진대회로 기업가정신을 갖춘 준비된 창업가형 인재를 발굴하고 육성하고자 매년 300팀을 선정한다.○ 이날 수여식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온라인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1차 서면심사와 2차 발표심사를 통과한 5팀을 대상으로 최종인 산학협력 부총장이 인증서를 대신 수여하였다.□ 「창업도전형」실전창업트랙에 선정된 5팀은 △JUM(대표 손승찬, 산업경영공학과) △PLAY X(대표 서지혜, 신소재공학과) △리플(대표 김정환, 산업경영공학과) △세이브미(대표 안수혜, 경영회계학과) △스마트넷(대표 한민우, 컴퓨터공학과)으로, 시제품 제작 지원비 50만원과 함께 창업유망팀 인증서(교육부장관)가 주어졌다.□ 또한 창업유망팀 300에 선정된 학생팀 중 부처통합 창업경진대회인 도전! K-스타트업 2020 통합본선에 진출한 35팀에 한밭대학교 PLAY X팀이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으며, 12월 중 2020 산학협력 엑스포에 출전해 최종평가에 참여하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등록일
2020-09-25 13:49:01
9월 14일까지 초기창업패키지 2차 창업기업 모집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074
□ 지난 4월 상반기 15개 초기창업기업을 선발한 데 이어, 14일까지 초기창업패키지 2차 창업기업 모집에 5개 기업을 추가 발굴한다.○ 초기창업패키지는 유망 창업아이템 및 고급기술을 보유한 초기창업기업의 사업 안정화와 성장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신청대상은 업력 3년 이내 개인 또는 법인 창업기업이며, 사업 선정 시 기업 당 최대 1억 원, 평균 7,000만원의 사업화 자금과 특화 프로그램 등을 오는 11월부터 2021년 5월까지 7개월간 지원한다.○ 창업기업의 평가 절차는 자격검토와 서류 및 발표평가, 사업계획 진위여부 등을 가리는 현장 확인이 진행되며, 제품서비스 개발 동기, 개발방안, 시장진입 및 성과 창출 전략, 창업기업 대표자 및 팀원의 역량 등이 종합적으로 평가될 예정이다.□ 신청방법은 9월 14일(월) 오후 6시까지 사업계획서와 증빙서류 등을 K-스타트업 홈페이지(www.k-startup.go.kr)에 온라인으로 제출하고, 주관기관 선택 시 거주지역 등에 관계없이 한밭대학교를 선택하면 된다.□ 한편 창업지원단은 대전충남권 국립대에서는 유일하게 2020년 초기창업패키지와 예비창업패키지 지원사업에 동시 선정되며, 한해 재정지원사업비로 약 50억원을 확보하였다.
등록일
2020-09-03 14:30:24
초·중·고교 연합 SSR 창업(창의)동아리 4일까지 모집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124
□ 창업지원단이 기업가정신 및 창업(창의) 분야에 흥미를 가지고 있는 초중고교 학생 동아리를 내달 4일까지 모집하여 평균 200만원의 활동비와 인프라를 지원한다.○ SSR 창업(창의)동아리는 2017년부터 4년 연속 운영되어 온 SSR(School Star-up Relay) 사업의 일환으로, 지도교사를 포함한 학생 동아리를 선발해 아이템 기획과 구성, 제작 및 판매 등 체험을 통한 기업가정신 습득에 중점을 두었다.○ SSR 사업은 창업문화 확산 및 지역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배양, 도전정신 함양에 기여하고자 마련됐으며, 지난 달 13일 열린 SSR 기관 간담회에서는 대전광역시 교육감, 대전사립중․고등학교장협의회 소속 46개교 교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창업동아리 연합체 결성에 동참 의지를 밝혔다.□ 이번 동아리 모집은 대전세종충남지역 초중고교 연합 동아리 10개 이상 선발을 목표로 하며, 동아리 대표 및 지도교사를 포함한 3~5명의 동아리 팀을 구성해 지원하면 된다.○ 특히 예년과 달리 올해는 동아리 활동의 지속성과 학년, 학급별 연계성을 위하여 초등과 중등, 고등이 연합으로 팀 구성이 가능하다.□ 신청 방법은 오는 4일까지 동아리별 지원신청서와 아이템 소개 및 활동계획서 등을 작성하여 한밭대 창업지원단 홈페이지 공고신청에 제출하면 되며, 신청과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www.startup.hanbat.ac.kr) 공지사항을 통해 공고문을 확인할 수 있다.□ 동아리에 선정되면, 2021년 2월까지 동아리 활동에 필요한 기획비와 재료비, 외주용역비, 마케팅비 등 평균 200만원의 활동비와 창업교육, 멘토링 등 관련 인프라를 지원 받을 수 있다.□ 창업지원단 송우용 단장은 기업가정신은 국가경제와 사회발전의 원동력으로, 올해부터 초중고교생의 기업가정신 교육 의무화가 시행되었다며, 이러한 창업교육의 정책적 기조에 발맞춰 학생 창의력 강화와 기업가정신 교육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초-중-고교 및 대학이 연계된 지역사회의 교육기반 구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해 지역 SSR 네트워크 활성화, 기업가정신 체험형 교육프로그램 운영, 지역 초중고-대학 창업캠프 및 워크숍 실시로, 대전세종충남지역 중고교(24개교, 181명) 34개 동아리를 운영 지원한 바 있다.
등록일
2020-08-31 10:40:26
<<
첫번째페이지
<
이전페이지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다음페이지
>>
마지막페이지
만족도조사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제공되는 정보에 대한 평가 내용을 등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