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밭대학교
검색
검색어
열림버튼
통합검색
찾으시는 단어나 검색어를 입력해 주세요!
검색
통합검색
닫기
로그인
언어선택
언어선택
열림버튼
ENG
CHN
전체메뉴
전체메뉴
HI HANBAT
HI HANBAT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대학소개
교육목표
연혁
UI소개
대학상징
개교기념행사
대학통계
대학요람
열린총장실
인사말
프로필
총장님, 할말있어요
역대총장
대학비전
비전 2030
특성화계획
윤리헌장
대학조직
조직도
직원검색
모범직원추천
HANBAT, 영광의순간
한벗소개
한벗은?
HANBAT 3D캠퍼스
학교오시는길
유성덕명캠퍼스
대덕산학융합캠퍼스
세종캠퍼스
시설이용안내
문화체육부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사전정보공표
정보목록
정책실명제
재정현황
업무추진비공개
상품권구매현황
수의계약공개
청렴센터
갑질신고센터
정보공시
자체평가
대학안전관리
개인정보의 목적 외 이용 또는 제3자 제공 및 위탁 사실 공지
발전기금/후원
입학안내
입학안내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입학안내
한밭대학교 입학홈페이지
바로가기
대학·대학원
대학·대학원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대학
대학
바로가기
대학원
대학원
바로가기
산학·연구
산학·연구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국립한밭대학교 LINC 3.0 사업단
산학협력단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연구비관리시스템
연구홍보포털
공동실험실습관
미래창의인재교육원
화학소재상용화지역혁신센터
학사 및 장학정보
학사 및 장학정보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학사공지
학사일정
학부
대학원
학사종합안내
교육과정
수업및수강
성적
학적
졸업
대학규정
규정 제‧개정 공지사항
학사서식
학사상담
학사일반
교직상담
장학금
교내장학제도
장학공지
장학상담
등록금
등록
분할납부
등록금반환
FAQ
인터넷증명발급
인터넷증명발급
증명서 우편발송 서비스(해외)
교직원 인터넷증명발급
대학생활
대학생활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학생활동
총학생회
동아리
학회연합회
통학정보
셔틀버스
임차버스
학생복지
학내편의시설
보건진료소
금주의식단
학생생활공간
학생상담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상담신청
공지사항
마음건강 정보
인권센터
센터소개
이용 안내
인권침해 상담
상담신청 방법
인권침해 사안 처리 절차
공지사항
인권센터 규정
장애학생지원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장애학생지원
공지사항
사회봉사지원센터
스마트 학사/ IT서비스 안내
한밭스마트서비스
모바일 출입관리 시스템(앱)
차량 및 개인형 이동장치
차량등록
개인형 이동장치
시설 원스톱서비스
신청하기
신청내역
학생증 발급
국제학생증발급
학생생활관
병무정보
학생병무안내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 홍보동영상
ROTC Q&A(질의응답)
육군학생군사학교 링크
국내외대학교정보
국내대학 리스트
세계대학랭킹TOP100
학생국제교류
진로·취업 원스톱 서비스
진로 · 취업 프로그램 신청
상담신청
채용정보
성공취업컨텐츠/AI자소서•면접클리닉
한밭LIVE
한밭LIVE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공지사항
행사안내
HANBAT 뉴스
일반/홍보
교육/연구
교류/산학
한밭People
HANBAT 미디어
홍보동영상
홍보브로슈어
한밭갤러리
한밭디자인
한밭영상
대학현황
HANBAT 사용설명서
HANBAT 대학원 사용설명서
뉴스레터
뉴스레터
뉴스레터 구독및취소
한밭SNS
공식 SNS Hub
기타 SNS
언론에서 본 HANBAT
ZOOM IN HANBAT
정보광장
주거정보
아르바이트
분실/습득물
온라인장터
카풀해요
자유게시판
글로컬대학 30
글로컬대학 30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바로가기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바로가기
글로컬대학 30
(Q&A)
글로컬대학 30 Q&A
바로가기
로그인
전체메뉴
열림버튼
언어
ENG
CHN
한밭대학교 블로그
한밭대학교 유투브
한밭대학교 인스타그램
한밭대학교 페이스북
한밭대학교 트위터
HI HANBAT
대학소개
교육목표
연혁
UI소개
대학상징
개교기념행사
대학통계
대학요람
열린총장실
인사말
프로필
총장님, 할말있어요
역대총장
대학비전
비전 2030
특성화계획
윤리헌장
대학조직
조직도
직원검색
모범직원추천
HANBAT, 영광의순간
한벗소개
한벗은?
HANBAT 3D캠퍼스
학교오시는길
유성덕명캠퍼스
대덕산학융합캠퍼스
세종캠퍼스
시설이용안내
문화체육부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사전정보공표
정보목록
정책실명제
재정현황
업무추진비공개
상품권구매현황
수의계약공개
청렴센터
갑질신고센터
정보공시
자체평가
대학안전관리
개인정보의 목적 외 이용 또는 제3자 제공 및 위탁 사실 공지
발전기금/후원
입학안내
대학·대학원
대학
대학원
산학·연구
국립한밭대학교 LINC 3.0 사업단
산학협력단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연구비관리시스템
연구홍보포털
공동실험실습관
미래창의인재교육원
화학소재상용화지역혁신센터
학사 및 장학정보
학사공지
학사일정
학부
대학원
학사종합안내
교육과정
수업및수강
성적
학적
졸업
대학규정
규정 제‧개정 공지사항
학사서식
학사상담
학사일반
교직상담
장학금
교내장학제도
장학공지
장학상담
등록금
등록
분할납부
등록금반환
FAQ
인터넷증명발급
인터넷증명발급
증명서 우편발송 서비스(해외)
교직원 인터넷증명발급
대학생활
학생활동
총학생회
동아리
학회연합회
통학정보
셔틀버스
임차버스
학생복지
학내편의시설
보건진료소
금주의식단
학생생활공간
학생상담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상담신청
공지사항
마음건강 정보
인권센터
센터소개
이용 안내
인권침해 상담
상담신청 방법
인권침해 사안 처리 절차
공지사항
인권센터 규정
장애학생지원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장애학생지원
공지사항
사회봉사지원센터
스마트 학사/ IT서비스 안내
한밭스마트서비스
모바일 출입관리 시스템(앱)
차량 및 개인형 이동장치
차량등록
개인형 이동장치
시설 원스톱서비스
신청하기
신청내역
학생증 발급
국제학생증발급
학생생활관
병무정보
학생병무안내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 홍보동영상
ROTC Q&A(질의응답)
육군학생군사학교 링크
국내외대학교정보
국내대학 리스트
세계대학랭킹TOP100
학생국제교류
진로·취업 원스톱 서비스
진로 · 취업 프로그램 신청
상담신청
채용정보
성공취업컨텐츠/AI자소서•면접클리닉
한밭LIVE
공지사항
행사안내
HANBAT 뉴스
일반/홍보
교육/연구
교류/산학
한밭People
HANBAT 미디어
홍보동영상
홍보브로슈어
한밭갤러리
한밭디자인
한밭영상
대학현황
HANBAT 사용설명서
HANBAT 대학원 사용설명서
뉴스레터
뉴스레터
뉴스레터 구독및취소
한밭SNS
공식 SNS Hub
기타 SNS
언론에서 본 HANBAT
ZOOM IN HANBAT
정보광장
주거정보
아르바이트
분실/습득물
온라인장터
카풀해요
자유게시판
글로컬대학 30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글로컬대학 30 (Q&A)
닫기
HIGH
HANBAT
HOME
한밭LIVE
HANBAT 뉴스
일반/홍보
공유
네이버 SNS
공유하기
트위터 SNS
공유하기
페이스북 SNS
공유하기
네이버 밴드
공유하기
URL
복사하기
닫기
프린트
일반/홍보
게시물 검색
총 게시물
1,128
,
페이지
24
/ 113
-전체-
제목
작성자
페이지당 게시물수
10
20
30
50
적용
2022년 학생상담센터 콘텐츠 공모전 시상식 개최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34
□ 우리 대학은 29일 교내에서 2022년 학생상담센터 콘텐츠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학생상담센터 콘텐츠 공모전은 학생들의 심리상담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상담인식 개선 사례를 발굴하여 널리 알리고자 미디어와 문학 2가지 부문으로 나눠, 영상웹툰카드뉴스에세이시N행시 6가지 분야로 참여할 수 있게 기획했다.○ 이번 공모전은 지난 10월 말부터 11월 초까지 총 81명이 참여했고, 최우수상을 비롯해 총 13개의 수상작을 선정했으며, 최우수상에는 중국어과 이연서 학생의 새가 알에서 나오는 과정(에세이)과 설비공학과 김하늘 학생의 학생상담센터 개인상담 참여 수기(영상)가 선정됐다.○ 최우수상을 수상한 김하늘 학생은 큰 상을 주셔서 감사하고, 앞으로도 주변 사람들에게 학생상담센터와 심리상담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뀔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행사를 기획한 학생상담센터 관계자는 공모전을 통해 학생상담센터를 이용한 학생들의 긍정적인 심리적 성장을 확인하고, 교내 구성원들에게 우수사례를 소개하여 학생상담센터를 알리는데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한편, 우리 대학 학생상담센터에서는 취업준비와 불투명한 미래에 대한 불안함으로 심리적 위기를 겪고 있는 대학생들을 위해 다양한 상담 프로그램과 공모전 등을 운영하며 학생들의 마음건강 지원에 앞장서고 있다.
등록일
2022-11-29 16:08:35
언택트 현직자 직무특강 ‘한·배 프로젝트’ 성료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9
□ 우리 대학 대학일자리본부는 대전세종충청권 청년층의 진로 방향 설정과 하반기 채용을 지원하고자 지난 10월 4일부터 11월 25일까지 현직자 24명이 참여하는 언택트 직무특강 한배 프로젝트를 운영했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올해 상반기에 실시한 로켓 직무배송(재학생 대상)의 확장판으로 청년 구직자면 누구나 쉽게 취업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에서 지역의 한밭대와 배재대가 협업하여 마련했으며, 한 배를 탄 직무원정대라는 슬로건으로 진행됐다.○ 한배 프로젝트를 통해 총 376명의 청년이 비대면 취업 지원을 받았으며,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언택트 강의가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다, 대략적으로 알던 직무내용을 세분화하여 설명해준 점이 좋았고, 현직자만 알 수 있는 업계 대외비 사항을 알 수 있어 매우 유익했다 등 긍정적 후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 대학 대학일자리본부 안정현 취업지원관은 학기마다 청년층 직무역량 강화를 위해 현직자를 초빙하여 현장감 있는 직무 사례와 직무 요구역량을 알려주는 직무특강을 운영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취업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지속해서 만들겠다고 전했다.
등록일
2022-11-28 16:05:13
제13회 대학생 토론대회 성료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23
□ 우리 대학은 지난 26일 결선 심사를 끝으로 제13회 한밭대학교 대학생 토론대회를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우리 대학 토론대회는 한밭대학교 인문교양학부가 주최하고, 한국언어문학연구소, 노마드러닝센터 의사소통클리닉이 주관했으며, 지난 10월 30일까지 참여 학생들의 원서를 접수하고, 11월 2일 예선과 11월 12일 본선을 거쳐 선발된 최종 4개 팀이 11월 26일 결선을 치렀다.○ 이번 대회는 대중교통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출퇴근길 장애인 시위를 금지해야 한다를 주제로 더불어 살아가는 우리 사회에 필요한 지혜를 모색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으며, 토론 주제에 대한 학생들의 높은 관심으로 총 247개 팀, 741명이 참여했다.□ 결선 결과, 이번 대회의 대상은 한밭대 양시훈(융합경영학과)강현솔(영어영문학과)김지성(도시공학과) 학생 팀이 차지했으며, 논리적 입론과 교차질의, 반론 등에서 전체적으로 호평을 받았다.□ 성희제 인문교양학부 교수는 올해로 제13회째를 맞이한 한밭대학교 대학생 토론대회가 대전세종충청 지역을 대표하는 토론대회로 계속해서 성장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한편, 매년 11월에 개최되는 우리 대학 토론대회는 대학생이라면 소속 대학에 상관없이 누구나 지원할 수 있으며, 입상 팀에게는 상장과 상품이 수여된다.
등록일
2022-11-28 16:03:38
제9회 건설환경조형대전 개최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212
□ 우리 대학은 건설환경조형대학 주관으로 오는 25일까지 교내 체육관(S7동)에서 2022학년도 제9회 건설환경조형대전 전시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Hanbat National University has announced that the "2022 9th Construction Environment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Architectural Engineering, Architecture, Urban Engineering, Industrial Design, and Visual Communication Designsubmitted a total of 207 pieces for this exhibition.○ 특히 출품작 중에는 고령화 시대에 대응한 시니어 헬스케어 및 방문간호서비스 똑똑케어, 교통약자를 위한 장애인이동서비스 개선방안' 등 사회문제에 대해 전공지식에 기초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해결방안을 제시한 작품들도 다수 있어 눈길을 끌었다.○ Among the exhibited works, the attention was drawn specifically those that offered imaginative solutions to social issues based on their extensive knowledge, such as "Senior Healthcare and Visiting Nursing Service Smart Care" in response to the aging population and "Transportation Services for the Disabled Improvement Plan"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학생들의 학업 동기부여와 사기진작을 위해 심사를 거쳐 대상 6개 팀, 우수상 24개 팀 등 총 30개 팀을 선정해 시상하며, 우수작에 대한 시상식은 25일 대학 내 산학연협동관(S5동)에서 진행할 예정이다.○ After screening, 30 teams are chosen and awarded in order to stimulate students and promote morale, including 6 Grand Prize teams and 24 Excellence Prize teams. The university's Industry University Research Center (S5 Building) will host the ceremony to present prizes for the outstanding works on 25th.□ 산업디자인학과 엄윤정 학생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다른 학과에 작품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가 되어 뿌듯하고, 또 다른 학과에서 배우는 전공을 관람할 수 있어서 좋았다고 참여소감을 전했다.□ An industrial design student named Eom Yoon-jeong said, "I am delighted to have had the opportunity to demonstrate my work to other departments via this display, and it was incredible to see the majors I am studying in different departments."□ 우리 대학 오용준 총장은 학업과 취업 준비로 바쁜 가운데에도 정성껏 작품을 준비한 우리 학생들에게 격려의 박수를 보낸다며, 이번 건설환경조형대전이 학생들이 산업계와 사회가 요구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인재가 되고, 나아가 새로운 미래 기술을 통해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고민하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President of Hanbat National University Oh Yong-jun, said, "I commend our students who have prepared their works with sincerity while being busy with their studies and carrer preparation. I hope that the Construction Environment 제작전시해 보는 경험을 통해 창의력을 배양하고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실무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매년 개최해오고 있다.□ In the meantime, the annual Construction Environment & Design Competition, which marked its 9th year this year, aims to develop practical skills needed in industrial settings while nurturing creativity via the experience of organizing, putting together, and displaying ideas and works.
등록일
2022-11-24 15:45:49
지진대피 현장훈련 통해 재난 대응역량 고도화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6
□ 우리 대학은 지난 21일부터 오는 25일까지 5일간 2022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을 추진하는 가운데 23일 대학본부에서 지진대피 훈련을 실시했다.○ 이날 훈련에서는 리히터 규모 6.5 지진발생을 가정하여 건물 밖으로 대피하고 △건물 출입금지 조치 △가스․전기 차단 △구조물 긴급안전점검을 실시하는 등 실제 대응상황에 준하는 훈련을 진행했다.○ 대학본부의 전 직원이 대피한 가운데 지진 발생 시 행동요령 교육과 재난 대비태세 점검 등 매뉴얼에 기반한 훈련을 진행하여 재난에 대한 대응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주력했다.○ 특히 우리 대학은 지난 2019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평가결과 우수기관으로 선정된 바 있으며, 금년에는 대학 구성원의 안전문화의식을 고취하고자 4회 토론훈련, 2회 현장훈련, 24개 분야 재난에 대한 영상교육을 추진 중이다.□ 훈련을 주재한 오용준 총장은 이번 훈련을 통해 불시에 발생할 수 있는 재난에 대하여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대학 구성원들의 소중한 생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재난대응 역량을 고도화하는데 더욱 힘쓰겠다고 말했다.
등록일
2022-11-23 15:44:30
노마드칼리지, 다중전공 전시회 개최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2
□ 우리 대학 노마드칼리지는 오는 25일까지 교내 갤러리 목련에서 다중전공 전시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진행하는 이번 다중전공 전시회에 스마트 휴먼라이프 디자인 융합전공(책임교수 산업디자인학과 안세윤)과 스마트 라이팅&퍼니처 디자인 산학연계전공(책임교수 산업디자인학과 박진호) 학생들이 참여했다.○ 다중전공 학생들은 4차 산업시대에 요구되는 학문과 기술의 융합현상에 맞는 디자인을 제안하고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기초이론 학습 및 디자인 프로세스 전 과정을 통해 길러왔으며, 총 49개의 작품을 전시하며 그간 다중전공에서 배운 기량을 마음껏 뽐냈다.□ 한편, 우리 대학 스마트 휴먼라이프 디자인(구 스페이스 미디어 콘텐츠) 융합전공은 정보통신공학과, 도시공학과, 산업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학과 전공융합으로 2014년도부터 개설하여 현재까지 71명의 학생이 이수했으며,○ 2019년도부터 개설된 스마트 라이팅&퍼니처 디자인 산학연계과정과 더불어 학생들의 국내 및 국제 공모전, 캡스톤디자인 참여 등 다양한 경험과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등록일
2022-11-23 15:43:08
제3회 한밭 IT체험 프로그램 참여 학생 모집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4
□ 우리 대학은 모바일융합공학과 주관으로 12월 17일과 18일 제3회 한밭 IT체험 프로그램' 온라인 교육행사를 진행하며 12월 1일까지 지역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참여 학생을 모집한다.○ 이번 교육은 실시간 온라인 강의를 통해 SW교육 플랫폼인 엔트리와 마이크로보드인 아두이노에 대한 기초지식 전수 후 블록코딩 실습(초급반)과 아두이노를 활용한 작품 제작(중급반) 체험활동을 진행할 계획이다.○ 총 4회로 운영하고, 각 회 차별 초급반 10명과 중급반 10명으로 나눠 20명씩 총 80명을 선착순 신청 받으며, 참여 학생에게는 교육 전 실습재료를 자택으로 배송한다.○ 교육 신청은 우리 대학 홈페이지(https://www.hanbat.ac.kr) 공지사항에서 제3회 한밭 IT체험 프로그램 게시물의 내용 확인 후 안내에 따라 11월 30일(수) 오전 10시에서 12월 1일(목) 오후 5시까지 온라인으로 하면 된다.○ 모바일융합공학과 이동호 학과장은 2020년 COVID-19의 영향으로 행사 개최가 쉽지 않은 상황에서 비대면 온라인 행사로 시작했던 한밭 IT체험 프로그램이 올해 3회 차를 맞이했다며, 지난해보다 더욱 내실 있게 프로그램을 준비했으니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국립대학육성사업의 지원으로 이뤄지는 이번 프로그램은 한밭대 청소년 IT캠프의 인기에 힘입어 체험형 창의학습 기반 지역 청소년의 IT 교육 강화 및 확산을 위해 마련했다.
등록일
2022-11-23 15:36:13
제9대 오용준 총장 취임식 개최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28
□ 우리 대학 오용준 총장의 취임식이 22일 오후 2시 한밭대 아트홀에서 열렸다.○ 이날 취임을 축하하기 위해 이장우 대전광역시장, 설동호 대전광역시교육감, 국가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 회장인 안동대 권순태 총장, 충남대 이진숙 총장, 공주교대 이범웅 총장직무대리, 우송대 오덕성 총장, 건양대 김용하 총장, 중부대 이정열 총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김명준 원장이 참석했다.○ 또한, 강용식 초대총장, 염홍철 제3대 총장, 송하영 제7대 총장, 최병욱 전임총장, 송명기 총동문회장, 박용우 최고경영자과정총동창회장 등 내외 귀빈과 교직원, 학생, 동문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특히, 이 자리에는 오용준 총장의 가족과 은사인 한국과학기술원 남수우 명예교수가 참석해 취임을 함께 축하했다.□ 오용준 총장은 취임사를 통해, 한밭대학교의 미래는 남보다 우수한 인재가 아닌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남다른 인재 양성에 달려 있으며, 이 남다름의 비전을 인재양성, 대학의 전문성, 산학협력에 담아내도록 대학 구성원들과 합심하여 새로운 변화와 혁신을 이루어 나가고자 한다고 각오를 밝혔다.○ 이를 위해 사람과 사람, 서로 다른 분야 사이를 잘 잇는 연결성(Networking)이 훌륭한 인재, 사회와 변화무쌍한 기업환경에 잘 적응하는 적응성(Adaptability)이 높은 인재, 내가 주인이 되어 나의 영역을 개척하는 개척자 정신(Pioneer sprit)이 충만한 인재, 3가지 특성을 갖춘 구체적인 인재양성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남다른 대학을 만들기 위한 실천방안으로 반도체, 빅데이터 등 디지털 혁명과 글로벌 시대를 선도하는 학과들을 신설변경해 가고, 여기에 창의혁신관, 메이커스페이스, 스마트팩토리 등을 활용한 Learning by Doing, 즉 경험하는 대학을 효과적으로 연결하며, 소프트웨어중심대학사업을 통해 인공지능 교육을 전교적으로 확산해 나가겠다고 했다.□ 마지막으로 우리 대학 고유의 산학일체 혁신대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되 학생들의 미래에 더 가까이 다가가는 산학협력을 위해 창업 기능을 강화하고, 덕명-관평-세종캠퍼스를 연결하는 광역형 산학협력 체제를 구축하겠다며, 연구를 전략적으로 지원하고, 산학협력과 창업을 위한 연료가 될 실사구시형 연구성과를 비축해 가겠다고 덧붙였다.□ 오용준 총장은 연세대 금속공학과를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 재료공학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2년 우리 대학 신소재공학과 교수로 임용됐으며, 국제교류원장, 기획처장, 대학혁신단장, 지역혁신플랫폼(RIS) 사업본부장 등의 보직을 역임했다.
등록일
2022-11-22 15:29:30
반도체 분야 인재양성 교육과정 운영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8
□ 우리 대학 대학일자리본부는 11월 19일부터 12월 30일까지 반도체 분야 인재양성을 위해 대전세종충청권 지역 청년을 대상으로 10개의 다양한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하여 직무역량 제고 및 취업역량 강화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최근 한국반도체산업협회의 발표에 따르면, 디지털 시대 전략기반 기술인 반도체 산업 규모 확장세에 따라 수요 인력도 현재 약 17.7만 명에서 10년 후 약 30.4만 명까지 늘어나, 지금보다 약 12.7만 명의 인력이 더 필요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우리 대학은 산업 수요와 학생 요구에 기반하여 기초 6개 과정부터 실무 4개 과정에 이르기까지 수준별 맞춤형 직무경험 교육과정으로 기획했으며, 참여자의 편의를 고려해 반도체 현직자 직무부트캠프를 온라인으로 5주간 5개의 주제로 운영한다.○ 특히 반도체 분야 인재양성 교육과정은 직무 이해에 그치는 기존의 이론 교육의 한계를 탈피하고자 이론 교육 후 반도체 클린룸에서 직접 실습하며 현장감을 느끼고 몰입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이를 위해 대학일자리본부, 대학혁신단, 신소재공학과 등 관련 부서와 학과가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실습실 확보와 예산 증액을 통해 내실 있는 교육과정을 준비하고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자 했다.□ 대학일자리본부 가부현 취업지원센터장은 국내외 반도체 산업 수요에 대응해 대학의 전폭적인 지원과 협력으로 반도체 분야 인재양성 교육과정을 개설해 의미가 크고, 선도적 전문 인재 양성을 통해 반도체 기업의 인력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등록일
2022-11-18 11:25:05
산업디자인학과, ‘PS_추신’ 졸업전시회 개최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24
□ 우리 대학 산업디자인학과 4학년 학생들이 오는 20일까지 교내 갤러리 목련에서 제37회 졸업전시회를 통해 다양한 작품들을 선보인다고 16일 밝혔다.○ PS_추신이라는 주제로 준비한 이번 전시회는 4년의 기간 동안 보여주지 못했던 실력을 졸업전시를 통해 보여줌으로써 이는 끝이 아닌 무한한 가능성을 띠고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P는Product Design, S는 Space Design을 뜻한다.○ 특히 이번 졸업작품전은 산업디자인학과에 심화전공 교육과정을 도입․운영하고 선보이는 첫 번째 전시로 그 의미가 깊다.□ 인더스트리얼디자인 심화전공, 공간디자인 심화전공에서 제품․서비스․공공환경․실내디자인 교과목의 총 61개 작품이 전시됐으며, 전공분야별 심화된 전문성을 기반으로 창의적인 디자인을 선보였다.○ 또한, 공간디자인 전공에서는 학생들이 디자인한 공간을 VR로 구현하여 VR 체험존을 처음으로 마련하기도 했다.□ 산업디자인학과 김지현 학과장은 전문성과 혁신성이 돋보이는 작품들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어 갈 디자이너로서의 역량을 엿볼 수 있었다며, 이번 전시는 산업디자인학과가 그동안 축적해온 교육의 기본기를 바탕으로 미래지향적 인재 양성을 위해 새롭게 운영한 교육과정의 결실을 보여주는 기회가 되어 더욱 뜻깊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전시회는 메타버스 전시공간도 별도로 구축해 1년간 관람이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다.
등록일
2022-11-16 11:20:58
<<
첫번째페이지
<
이전페이지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다음페이지
>>
마지막페이지
만족도조사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제공되는 정보에 대한 평가 내용을 등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