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밭대학교
검색
검색어
열림버튼
통합검색
찾으시는 단어나 검색어를 입력해 주세요!
검색
통합검색
닫기
로그인
언어선택
언어선택
열림버튼
ENG
CHN
전체메뉴
전체메뉴
HI HANBAT
HI HANBAT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대학소개
교육목표
연혁
UI소개
대학상징
개교기념행사
대학통계
대학요람
열린총장실
인사말
프로필
총장님, 할말있어요
역대총장
대학비전
비전 2030
특성화계획
윤리헌장
대학조직
조직도
직원검색
모범직원추천
HANBAT, 영광의순간
한벗소개
한벗은?
HANBAT 3D캠퍼스
학교오시는길
유성덕명캠퍼스
대덕산학융합캠퍼스
세종캠퍼스
시설이용안내
문화체육부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사전정보공표
정보목록
정책실명제
재정현황
업무추진비공개
상품권구매현황
수의계약공개
청렴센터
갑질신고센터
정보공시
자체평가
대학안전관리
개인정보의 목적 외 이용 또는 제3자 제공 및 위탁 사실 공지
발전기금/후원
입학안내
입학안내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입학안내
한밭대학교 입학홈페이지
바로가기
대학·대학원
대학·대학원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대학
대학
바로가기
대학원
대학원
바로가기
산학·연구
산학·연구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국립한밭대학교 LINC 3.0 사업단
산학협력단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연구비관리시스템
연구홍보포털
공동실험실습관
미래창의인재교육원
화학소재상용화지역혁신센터
학사 및 장학정보
학사 및 장학정보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학사공지
학사일정
학부
대학원
학사종합안내
교육과정
수업및수강
성적
학적
졸업
대학규정
규정 제‧개정 공지사항
학사서식
학사상담
학사일반
교직상담
장학금
교내장학제도
장학공지
장학상담
등록금
등록
분할납부
등록금반환
FAQ
인터넷증명발급
인터넷증명발급
증명서 우편발송 서비스(해외)
교직원 인터넷증명발급
대학생활
대학생활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학생활동
총학생회
동아리
학회연합회
통학정보
셔틀버스
임차버스
학생복지
학내편의시설
보건진료소
금주의식단
학생생활공간
학생상담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상담신청
공지사항
마음건강 정보
인권센터
센터소개
이용 안내
인권침해 상담
상담신청 방법
인권침해 사안 처리 절차
공지사항
인권센터 규정
장애학생지원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장애학생지원
공지사항
사회봉사지원센터
스마트 학사/ IT서비스 안내
한밭스마트서비스
모바일 출입관리 시스템(앱)
차량 및 개인형 이동장치
차량등록
개인형 이동장치
시설 원스톱서비스
신청하기
신청내역
학생증 발급
국제학생증발급
학생생활관
병무정보
학생병무안내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 홍보동영상
ROTC Q&A(질의응답)
육군학생군사학교 링크
국내외대학교정보
국내대학 리스트
세계대학랭킹TOP100
학생국제교류
진로·취업 원스톱 서비스
진로 · 취업 프로그램 신청
상담신청
채용정보
성공취업컨텐츠/AI자소서•면접클리닉
한밭LIVE
한밭LIVE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공지사항
행사안내
HANBAT 뉴스
일반/홍보
교육/연구
교류/산학
한밭People
HANBAT 미디어
홍보동영상
홍보브로슈어
한밭갤러리
한밭디자인
한밭영상
대학현황
HANBAT 사용설명서
HANBAT 대학원 사용설명서
뉴스레터
뉴스레터
뉴스레터 구독및취소
한밭SNS
공식 SNS Hub
기타 SNS
언론에서 본 HANBAT
ZOOM IN HANBAT
정보광장
주거정보
아르바이트
분실/습득물
온라인장터
카풀해요
자유게시판
글로컬대학 30
글로컬대학 30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바로가기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바로가기
글로컬대학 30
(Q&A)
글로컬대학 30 Q&A
바로가기
로그인
전체메뉴
열림버튼
언어
ENG
CHN
한밭대학교 블로그
한밭대학교 유투브
한밭대학교 인스타그램
한밭대학교 페이스북
한밭대학교 트위터
HI HANBAT
대학소개
교육목표
연혁
UI소개
대학상징
개교기념행사
대학통계
대학요람
열린총장실
인사말
프로필
총장님, 할말있어요
역대총장
대학비전
비전 2030
특성화계획
윤리헌장
대학조직
조직도
직원검색
모범직원추천
HANBAT, 영광의순간
한벗소개
한벗은?
HANBAT 3D캠퍼스
학교오시는길
유성덕명캠퍼스
대덕산학융합캠퍼스
세종캠퍼스
시설이용안내
문화체육부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사전정보공표
정보목록
정책실명제
재정현황
업무추진비공개
상품권구매현황
수의계약공개
청렴센터
갑질신고센터
정보공시
자체평가
대학안전관리
개인정보의 목적 외 이용 또는 제3자 제공 및 위탁 사실 공지
발전기금/후원
입학안내
대학·대학원
대학
대학원
산학·연구
국립한밭대학교 LINC 3.0 사업단
산학협력단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연구비관리시스템
연구홍보포털
공동실험실습관
미래창의인재교육원
화학소재상용화지역혁신센터
학사 및 장학정보
학사공지
학사일정
학부
대학원
학사종합안내
교육과정
수업및수강
성적
학적
졸업
대학규정
규정 제‧개정 공지사항
학사서식
학사상담
학사일반
교직상담
장학금
교내장학제도
장학공지
장학상담
등록금
등록
분할납부
등록금반환
FAQ
인터넷증명발급
인터넷증명발급
증명서 우편발송 서비스(해외)
교직원 인터넷증명발급
대학생활
학생활동
총학생회
동아리
학회연합회
통학정보
셔틀버스
임차버스
학생복지
학내편의시설
보건진료소
금주의식단
학생생활공간
학생상담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상담신청
공지사항
마음건강 정보
인권센터
센터소개
이용 안내
인권침해 상담
상담신청 방법
인권침해 사안 처리 절차
공지사항
인권센터 규정
장애학생지원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장애학생지원
공지사항
사회봉사지원센터
스마트 학사/ IT서비스 안내
한밭스마트서비스
모바일 출입관리 시스템(앱)
차량 및 개인형 이동장치
차량등록
개인형 이동장치
시설 원스톱서비스
신청하기
신청내역
학생증 발급
국제학생증발급
학생생활관
병무정보
학생병무안내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 홍보동영상
ROTC Q&A(질의응답)
육군학생군사학교 링크
국내외대학교정보
국내대학 리스트
세계대학랭킹TOP100
학생국제교류
진로·취업 원스톱 서비스
진로 · 취업 프로그램 신청
상담신청
채용정보
성공취업컨텐츠/AI자소서•면접클리닉
한밭LIVE
공지사항
행사안내
HANBAT 뉴스
일반/홍보
교육/연구
교류/산학
한밭People
HANBAT 미디어
홍보동영상
홍보브로슈어
한밭갤러리
한밭디자인
한밭영상
대학현황
HANBAT 사용설명서
HANBAT 대학원 사용설명서
뉴스레터
뉴스레터
뉴스레터 구독및취소
한밭SNS
공식 SNS Hub
기타 SNS
언론에서 본 HANBAT
ZOOM IN HANBAT
정보광장
주거정보
아르바이트
분실/습득물
온라인장터
카풀해요
자유게시판
글로컬대학 30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글로컬대학 30 (Q&A)
닫기
HIGH
HANBAT
HOME
한밭LIVE
HANBAT 뉴스
일반/홍보
공유
네이버 SNS
공유하기
트위터 SNS
공유하기
페이스북 SNS
공유하기
네이버 밴드
공유하기
URL
복사하기
닫기
프린트
일반/홍보
게시물 검색
총 게시물
1,128
,
페이지
37
/ 113
-전체-
제목
작성자
페이지당 게시물수
10
20
30
50
적용
한밭대 도서관, ‘제24회 도서관 문화행사’ 개최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267
□ 국립 한밭대학교는 11월 1일부터 12일까지 2주간 스며들다, 책 그리고 도서관을 주제로 제24회 도서관 문화행사를 개최한다.○ 도서관이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대학과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다양한 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학업과 독서, 휴식이 어우러진 복합 문화의 장으로 만들어갈 예정이다.○ 한밭 도서나눔전, 도서관 속 영화관, 제12회 독서마일리지제 및 모범이용자 시상과 함께, 베스트셀러 작가인 김수현 씨와 나로 산다는 것에 대하여로 저자와의 랜선 만남도 진행한다.□ 또한, 본 행사에 앞서 오는 28일까지는 중간고사로 지친 학생들을 격려하고 도서관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SNS 홍보 이벤트, 언택트 햄버거데이, 오징어 스탬프 게임 등의 사전행사를 가진다.□ 김응규 도서관장은 성큼 다가온 가을, 독서와 힐링, 즐거움이 함께하는 문화행사를 통해 코로나19로 지친 재학생과 지역주민들에게 행복한 시간이 되길 기대하며, 행사기간 동안 철저한 방역으로 참여자들의 안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등록일
2021-10-18 15:03:46
대전중장년기술창업센터 ‘실전창업과정(2차)’ 성료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32
□ 국립 한밭대학교는 지난 달 17일부터 3주간 대덕산학융합캠퍼스에서 중장년기술창업센터 실전창업과정(2차)를 운영했다고 8일 밝혔다.○ 해당 과정은 중장년기술창업센터 입주․졸업기업 및 K-Startup 신규 회원을 대상으로 창업 아이템 검증 및 개선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1차 온라인 교육, 2차 실전교육, 3차 사업화 경진대회 및 후속 연계 지원이 이루어진다.□ 먼저 1차 온라인 교육은 중소벤처기업부의 온라인 창업교육 플랫폼 창업에듀를 통해 창업 기초교육 온라인 패키지 강좌(15시간)를 운영했다.□ 2차 실전교육은 교육생 6명을 대상으로 비즈니스 모델 개념과 실제, 성공적인 사업계획서 작성 전략 등의 오프라인 강의를 진행했다.○ 또한, 교육생과 멘토를 1:1로 매칭하여 6개 팀을 구성해 기업진단, 아이템 실현 가능성 및 사업화 검증, 비즈니스 모델 검증, 사업계획서 작성, 문제해결 방법 도출, 피칭기법 등을 지도하는 멘토링을 병행했다.□ 8일에는 수료생을 대상으로 중장년기술창업센터 사업화 경진대회를 개최하여 우수자 2명을 선정해 중장년기술창업센터 선택형 프로그램 지원 혜택을 제공한다.□ 교육생 이각로 대표는 전문가 1:1 멘토링을 통해 사업계획서를 구체화하는데 큰 도움을 받았고, 창업 아이템의 실제 사업화에 대한 자신감을 얻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변영조 중장년기술창업센터장은 중장년 창업자의 창업 실무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후속 지원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수료생에게는 중장년기술창업센터 입주심사 시 가점이 부여되며, 입주 시 센터가 추진하는 교육 및 전문가 멘토링, 네트워킹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등록일
2021-10-18 14:54:37
산업디자인학과, 공공디자인 프로젝트 전시회 개최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295
□ 국립 한밭대학교는 오는 2일부터 열리는 제12회 유성 국화전시회에 참여하여 유림공원에서 공공디자인 프로젝트 작품들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는 산업디자인학과 2학년 학생들 27명이 SPACE_마음을 채우다라는 주제로 터널 끝의 빛, 36.5, 마음 맞추기, 해류뭄해리, 세련의 총 5개 작품을 만들어 국화와 함께 관람할 수 있도록 설치했다.○ 김지현 지도교수는 올해는 코로나19로 지쳐있는 지역민들에게 마음의 위로를 건넬 수 있는 작품들을 선보이고자 했다며, 문화행사가 많지 않은 요즘 학생들이 직접 지역주민들에게 예술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게 되어 매우 뜻깊다라고 전했다.□ 공공디자인 프로젝트는 국립대학육성사업의 지원으로 학생들이 아트체험 부스를 직접 디자인하고 설치하여 시민들에게 예술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며, 올해로 3회째 이어지고 있다.○ 프로젝트를 지원한 김용철 지역사회상생센터장은 지역사회와 지속적인 협력을 통하여 지역상생을 이루어 낸 학생들의 열정과 노고에 고마움을 전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공공디자인 프로젝트 작품은 국화축제 전시장 중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유림공원에서 오는 24일까지 전시될 예정이다.
등록일
2021-10-07 09:28:47
2021년도 대학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최우수’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56
□ 한밭대(총장 최병욱)가 15일 교육부가 지원하는 대학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A등급을 받았다.○ 대학혁신지원사업은 국가 혁신성장을 주도할 미래형 창의인재 양성체제를 구축하고자 대학별 중장기 발전계획에 따라 자율혁신 하도록 하는 사업으로 총 143개교가 지원받고 있다.○ 이번 평가는 대학의 혁신전략에 따른 프로그램 운영 실적의 우수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등급별 인센티브를 지급함으로써 대학의 혁신성장 견인 및 지역강소대학 육성을 강화하고자 진행됐다.○ 한밭대는 이번 결과에서, 사업관리조직 및 추진체계, 주요 의사결정과정에 교직원, 학생, 외부전문가 등 다양한 구성원 참여, 학생역량과 교육과정 혁신 등으로의 지표관리 구분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교육영역에 집중적으로 투여된 혁신 노력, 하이브리드 교육방법과 성과 공유 및 확산 기여 부분에서 그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이로써 한밭대는 추가적인 대학혁신지원사업비를 지원받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구체적인 예산은 10월 초에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오용준 대학혁신단장은 한밭대학교가 오랜 기간 동안 쌓아온 교육 기반 위에 총체적인 대학의 변화와 혁신을 이끈 결과이며, 이는 교직원과 학생 모두의 헌신과 노력이 있어 가능했다라고 평했다.○ 또한, 앞으로 대학 교육의 변화와 혁신에 더욱 박차를 가하여, 안으로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의 목표를 달성하고 밖으로는 지역사회 및 국가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대학이 앞장서겠다고 덧붙였다.
등록일
2021-09-24 16:53:33
2022학년도 신입생 수시모집 원서접수 마감 결과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69
□ 국립 한밭대학교(총장 최병욱)는 14일 오후 6시 「2022학년도 신입생 수시모집」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전체 1,700명 모집에 10,107명이지원해 최종 경쟁률 5.95대 1(정원내 6.30대 1)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2021학년도 수시모집 1,657명 모집에 8,024명 지원(경쟁률 4.84대 1, 정원내 5.34대 1)□ 이는 전년도 대비 약 2천여 명의 지원자가 증가한 수치로 전형별 최종 경쟁률은 다음과 같다.【2022학년도 한밭대 수시모집 전형별 최종 경쟁률】구분분류전형명모집인원(명)지원인원(명)경쟁률정원내교과학생부교과전형7595,7827.62:1지역인재전형(교과)8197512.04:1실기실기(일반)전형563556.34:1실기우수자전형1224520.42:1종합학생부종합전형(학석사)1204193.49:1학생부종합전형(일반)2139164.30:1지역인재전형(종합)1235394.38:1국가보훈대상자전형7162.29:1평생학습자전형(주간)35391.11:1평생학습자전형(야간)57911.60:1산업체경력전형(야간)31331.06:1소 계1,4949,4106.30:1정원외교과농어촌학생전형582724.69:1특성화고교졸업자전형1418513.21:1사회적배려자전형241315.46:1종합특수교육대상자전형10161.60:1특성화고 등을 졸업한 재직자전형(주간)96790.82:1특성화고 등을 졸업한 재직자전형(야간)4143.50:1소 계2066973.37:1총 계1,70010,1075.95:1□ 최고의 경쟁률을 보인 학과는 시각영상디자인학과(실기우수자전형)로 22.17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고, 그 뒤를 이어 융합경영학과[지역인재전형(교과)]가 21.00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특히 학과 명칭을 시각․영상디자인학과로 변경하고 학과의 특성화에 맞춰 입시전략을 조정한 것이 높은 경쟁률의 주요 요인이라고 학교 관계자는 풀이했다.○ 아울러, 두 번째로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지역인재교과전형의 융합경영학과도 눈여겨 볼만하다.○ 융합경영학과는 국내 최고 수준의 융합형 창의전문 리더 양성을 목표로 4차 산업혁명의 지식과 기술을 창조적으로 융합하여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재를 배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글로벌 및 지역 환경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진취적 경영역량을 갖춘 리더를 양성하고 있다.□ 한편, 실기위주전형의 실기고사는 10월 29일(금)과 30일(토) 양일간에 걸쳐 실시되고 전형별 면접고사는 12월 2일(목)부터 12월 4일(토)까지 3일 동안 진행된다.□ 최종 합격자 및 1단계 합격자(면접대상자) 발표, 면접장소 안내, 실기위주전형 지원자의 고사실 배정표는 한밭대학교 입학안내 홈페이지를 통해서만 공지하니 관련내용을 꼭 확인하여야 한다.【한밭대 2022학년도 신입생 수시모집 향후 일정】일 정주요 내용21. 9. 10.(금)9. 23.(목)지원자격 증명서류 보완 등기타 관련 서류 제출21. 10. 29.(금)실기우수자전형 실기고사21. 10. 30.(토)실기(일반)전형 실기고사21. 11. 19.(금)면접대상자 1단계 합격자 발표21. 12. 2.(목)12. 4.(토)전형별 면접고사21. 12. 16.(목)최종 합격자 발표※ 문의처 : 한밭대학교 입학본부 대표전화 042-821-1020
등록일
2021-09-24 15:55:06
지역사회상생센터, 지역민과 함께 하는 공모전 개최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45
□ 국립 한밭대학교는 지역의 문화관광 자원을 알리고 새로운 매력을 발굴하고자 시민 참여형 문화행사인 한밭대 포토에세이 공모전과 아동청소년 한밭사랑 동영상 콘텐츠 공모전을 10월 15일까지 개최한다고 밝혔다.○ 앞서 한밭대는 지난 1월에도 지역사회상생센터(센터장 김용철)를 중심으로 한밭대 인근 수통골과 예술문화가 어우러진 영상 페스티벌 Nature Therapy Festival 한수제, 수통골 포토에세이 공모전 등의 프로그램을 추진해 지역민들과 소통을 이어오고 있다.○ 먼저 한밭대 포토에세이는 일반부와 학생부로 나누어 수통골, 현충원, 복용승마장, 화산천 등 한밭대 인근의 자연과 사람 그리고 이야기를 주제로 사진과 글이 함께 담긴 작품을 접수한다.○ 또한, 아동청소년 한밭사랑 동영상 콘텐츠 공모전은 대전지역에 거주하는 초중고 학생을 대상으로 한밭대 주변 문화관광힐링 자원을 소개하는 3분 이내의 브이로그 등 영상 콘텐츠 작품을 발굴한다.○ 공모전 별로 심사를 거쳐 대상 1명(50만원), 우수상 3명(30만원), 장려상 5명(10만원)을 각각 시상할 예정이다.○ 대전 시민 누구나 참여가능하고, 한밭대학교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공모전 모집요강과 참가신청서를 내려 받을 수 있으며, 신청서와 출품작을 이메일(photohanbat2021@naver.com)로 온라인 제출하면 된다.
등록일
2021-09-14 14:28:25
지역사회상생센터, 한밭컬쳐스페이스 오픈 특별전시회 개최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229
□ 국립 한밭대학교는 한밭컬쳐스페이스 오픈 첫 번째 문화행사로 한밭컬쳐벨트_한밭대학교 주변을 특별하게 이어줄 열두 가지 아이디어 전시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Hanbat National University announced that they will hold an exhibition called "Hanbat Culture Belt_12 Ideas which specializes around Hanbat University" as the first cultural event to start Hanbat Culture Space.○ 한밭컬쳐스페이스는 국립대학육성사업의 지원으로 한밭대와 유성구가 협력하여 관내 공간의 문제점을 개선, 지역주민과 학생들에게 안전한 생활환경과 쾌적한 문화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조성된 문화 공간이다. Hanbat Culture Space is a cultural space xss-created by Hanbat University and Yu-seong district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space in the district with the support of the National University Development Project, providing a safe living environment and comfortable cultural space for local residents and students.○ 한밭대 지역사회상생센터(센터장 김용철)가 주관한 이번 전시회의 오프닝 행사는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7일 오후 1시 한밭대학교 유튜브 채널로 진행했다. Launched by Hanbat University Regional Collaboration Center (Head Director Kim Yong-chul), the opening event of the exhibition was on Hanbat University's YouTube channel at 1 p.m. on the 7th depending on the COVID-19 situation.○ 책임교수인 한밭대 김지현 교수(산업디자인학과)의 개회로 최병욱 총장의 환영사, 대전시 허태정 시장, 유성구 정용래 구청장의 축사가 영상으로 이어졌으며, 온라인을 통한 야외전시 관람이 이루어졌다. With the opening ceremony of Hanbat Universitys Head Professor Kim Ji-hyun (Industrial Design Department), President Choi Byeong-wook's welcome speech, Daejeon Mayor Huh Tae-jeong, and Yu-seong district Mayor Jung Yong-rae's congratulatory speech by videos and visitors were also able to watch online outdoor exhibitions.□ 대전시 대학협력사업의 일환으로 개최한 한밭컬쳐벨트 전시는 한밭컬쳐스페이스를 시작으로 주변 지역 12곳의 유휴공간을 새롭게 디자인하고 이를 연결하는 문화벨트 조성을 제안했다. The Hanbat Culture Belt Exhibition, which was established as a part of the University Cooperation Project of Daejeon City, proposed the creation of a cultural belt that designs and connects 12 under-used spaces in the surrounding area, starting with the Hanbat Culture Space.○ 한밭대 산업디자인학과 3학년 35명의 학생이 참여하여 지역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문제를 도출하였고 총 4가지 테마를 중심으로 12개의 공공디자인 작품을 제시하였다. 35 third-year students from Hanbat University's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joined together to solve problems based on the regional demand survey and gave presentations of 12 public design works focusing on 4 themes in total.□ 김지현 교수는 한밭컬쳐스페이스 준공 이후 이곳이 보행 및 휴식 뿐 아니라 지역민의 문화공간으로서 활용 가능함을 보여주고자 했으며, 전시내용 또한 대학과 지역문화의 공존과 지역상생을 도모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자 하였다고 기획의도를 밝혔다 "After the achievement of Hanbat Culture Space, we wanted to show that this place can be used as a cultural space for local residents as well as walking and relaxation, and the contents of the exhibition were also aimed to promote universities coexistence and local culture." Professor Kim Ji-hyun stated.○ 또한 작년 졸업생들의 아이디어로 구축된 한밭컬쳐스페이스를 3학년 후배들이 그 내용을 채웠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앞으로도 학생들이 지역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지역을 변화시킬 수 있는 기회가 지속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In addition, the fact that third- year juniors completed Hanbat Culture Space based on the idea of last year's graduates make it meaningful, hopefully in the future students will still have an opportunity to care about local issues and change the region." he added.○ 김용철 센터장은 대학문화와 지역문화의 공존을 위한 문화벨트 조성을 희망하고, 어려운 시기에 한밭컬쳐벨트 전시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여 기쁘다며, 한밭컬쳐스페이스를 통해 향후 한밭대학교와 지역사회가 가꾸어갈 공간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We hope to xss-create a cultural belt for the coexistence of university culture and local culture, and we are happy to arrange successfully the Hanbat Culture Belt Exhibition in difficult times. . "We look forward to the space for Hanbat University and local communities in the future." Kim Yong-chul, head of the center said.○ 한밭대 최병욱 총장은 영상으로 우리 대학도 지역의 구성원으로서 함께 살아갈 지혜를 모아야 하며, 이러한 상황에서 이번 한밭컬쳐벨트 작품전이 지역과 함께 소통하면서 우리 대학의 발전하는 모습을 만드는데 크게 기여하게 되어 감사하다고 전했다. Hanbat Universitys President - Choi Byeong wook, said in a video, "To live together as a member of the region, our university should also gather wisdom and in this situation, we are grateful that this Hanbat Culture Belt exhibition has contributed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our university by communicating with the region."
등록일
2021-09-08 10:38:31
한밭대, 3주기 대학 기본역량 진단 ‘일반재정지원대학’ 선정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257
□ 국립 한밭대가 3일 교육부가 발표한 3주기 대학 기본역량 진단 최종 결과에서 우수한 성적으로 일반재정지원대학에 선정됐다. Hanbat National University was selected as a 'General Financial Support University' with excellent consequence in the notification of the result of the '3rd cycle university basic competency diagnosis'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n the 3rd.○ 이번 발표는 지난 4월부터 전국 대학(일반대 161개교, 전문대 124개교)을 대상으로 대학 규모의 적정화 및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 실시한 3주기 대학 기본역량 진단에 대한 최종 결과이다. This announcement is the final result of the 3rd cycle university basic competency diagnosis conducted since last April to optimize the size of universiti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these across the country (161 universities, 124 colleges).○ 한밭대는 이번 평가에서 대학의 발전계획 성과, 교육비 환원율, 수업 관리 및 학생 평가 지표 등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In this evaluation, Hanbat University is known to have received excellent evaluations in terms of the university's development plan performance, percent reduction in tuition, class management, and student evaluation indicator, etc.○ 이로써 한밭대는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간 대학혁신지원사업비(18~21년 사업비 약 120억원)를 지원받아 학생들에게 양질의 교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With this, Hanbat University will be able to provide high-quality educational services to students by receiving support for the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ject fees (about 12 billion won from 2018 to 2021) for three years from 2022 to 2024.□ 최병욱 총장은 우리 대학은 이번 3주기 진단평가까지 계속해서 대학의 우수한 교육역량을 인정받았다며, 평가준비로 오랜 기간동안 고생한 교수님들과 직원 선생님들께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President Choi Byeong-wook said: Our school has been recognized for its excellent educational capabilities until the 3rd cycle diagnostic evaluation. I am deeply grateful to the professors and staff who have worked hard for a long time to prepare for the evaluation.○ 또한, 개교 100여 년의 전통에 차별화된 한밭대만의 강점을 강화하고, 지역사회와 함께 개방-공유-협력을 통해 혁신을 선도하는 대학으로 발전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In addition, he went on to say: We want to enhance the strengths of Hanbat Taiwan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the 100-year tradition, and develop into a university that leads innovation through opening-sharing-cooper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이번 결과로 한밭대는 그동안 적극 추진해 온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을 완성하는 데에 새로운 성장 동력을 얻은 것으로 보인다. As a result of this, Hanbat University seems to have gained a new growth engine in the completion of the innovative glocal-industry-integrated university that xss-creates future value, which has been actively promoted.□ 한편, 한밭대는 오는 10일부터 14일까지 학생부교과전형 759명, 지역인재교과전형 81명, 학석사 통합과정 학생부종합전형 120명 등 총 1,700명의 신입생을 선발하는 2022학년도 수시모집을 진행한다. Meanwhile, from the 10th to the 14th, Hanbat University will carry out an early recruitment for the 2022 academic year, which will select a total of 1,700 new students, including 759 students from the student sub-curriculum screening, 81 students from the regional special talent screening, and 120 students record curriculum screening from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course.
등록일
2021-09-08 10:30:14
중장년기술창업센터, ‘제2차 과학·기술인 특화 생애경력 설계과정’ 교육 성료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34
□ 국립 한밭대학교 중장년기술창업센터는 지난 1일과 2일 이틀간 노사발전재단 충청중장년일자리희망센터 공동주관으로 과학기술인 특화 생애경력 설계과정'을 비대면 온라인으로 운영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만40세 이상 과학기술인 및 기술창업 희망자를 대상으로 기술과 노하우를 중심으로 한 경력 기반의 재취업 방향을 제시하고 창업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교육생 13명이 실시간 온라인으로 참여했으며, 1일차는 나의 생애 조망하기'와 직업역량 도출하기' 프로그램을 통해 과학기술인들의 신중년 인생 후반부를 주도적으로 준비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했다.○ 2일차는 창업과 기술 사업화 사례를 다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김용삼 책임연구원의 강의와 기술명세서 점검, 아이디어 설명 워크시트 및 가치제안서 작성 등 실습 위주의 전문가 매칭 1:1 밀착형 멘토링을 진행했다.□ 한편, 한밭대는 2020년 제1차 과학기술인 특화 생애경력 설계과정을 통해 14명의 수료생을 배출했고 창업 1건과 취업 1건, 자문위원 2명을 배출하는 성과를 거뒀다.□ 또한, 수료생에게는 센터 우선 입주 혜택과 후속지원을 연계할 계획이며, 수료생은 중장년기술창업센터 입주졸업기업의 과학기술 분야 애로기술지원을 위한 창업지원 활동자로 나서게 된다.□ 변영조 중장년기술창업센터장은 이번 특화과정은 1차 교육성과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과학기술인의 경력설계모델을 추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이고 실효성 있는 교육과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과학기술인의 성공적인 기술창업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등록일
2021-09-08 09:53:57
㈜더편한, 국립한밭대에 마스크 8만장 기부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219
□ 국립 한밭대학교는 2일 대학본부에서 위생용품 제조업체인 ㈜더편한(대표이사 권영원)으로부터 학생들의 코로나19 감염예방을 위한 마스크 8만장을 기부 받았다고 밝혔다.○ ㈜더편한은 한밭대와의 LINC+ 연계 산학협력을 통해 상생의 노력을 이어가고 있으며, 작년에도 마스크 2만장을 기부하여 코로나19로 지친 학생들을 응원했다.○ 권영원 대표를 대신해 참석한 정국채 부사장은 코로나19 영향으로 학생들이 작년에 이어 올해도 비대면 수업 위주로 대학생활을 하고 있는데 우리 기업의 역량이 대학에 작은 도움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철준 산학협력중점교수는 기업과 대학의 산학협력이 기술개발, 연구, 인적교류 등을 넘어 상호발전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하나의 사례를 보여준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병욱 총장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이렇게 학생들의 안전을 생각해줘서 정말 감사하고, 우리 대학도 기업에 도움이 될 만한 일들을 찾아 지원하겠다고 고마움을 표했다.□ 한편 전달식에는 한밭대 최병욱 총장과 ㈜더편한 정국채 부사장, 최종인 산학협력부총장, 박정호 학생처장, 류방현 운영지원실장, 이철준 산학협력중점교수가 참석했으며,○ 한밭대는 이번에 받은 마스크 8만장을 각 학과와 도서관, 학생생활관, 체육관 등에 배부하여 학생들에게 쓰일 수 있도록 했다.
등록일
2021-09-08 09:28:47
<<
첫번째페이지
<
이전페이지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다음페이지
>>
마지막페이지
만족도조사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제공되는 정보에 대한 평가 내용을 등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