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밭대학교
검색
검색어
열림버튼
통합검색
찾으시는 단어나 검색어를 입력해 주세요!
검색
통합검색
닫기
로그인
언어선택
언어선택
열림버튼
ENG
CHN
전체메뉴
전체메뉴
HI HANBAT
HI HANBAT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대학소개
교육목표
연혁
UI소개
대학상징
개교기념행사
대학통계
대학요람
열린총장실
인사말
프로필
총장님, 할말있어요
역대총장
대학비전
비전 2030
특성화계획
윤리헌장
대학조직
조직도
직원검색
모범직원추천
HANBAT, 영광의순간
한벗소개
한벗은?
HANBAT 3D캠퍼스
학교오시는길
유성덕명캠퍼스
대덕산학융합캠퍼스
세종캠퍼스
시설이용안내
문화체육부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사전정보공표
정보목록
정책실명제
재정현황
업무추진비공개
상품권구매현황
수의계약공개
청렴센터
갑질신고센터
정보공시
자체평가
대학안전관리
개인정보의 목적 외 이용 또는 제3자 제공 및 위탁 사실 공지
발전기금/후원
입학안내
입학안내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입학안내
한밭대학교 입학홈페이지
바로가기
대학·대학원
대학·대학원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대학
대학
바로가기
대학원
대학원
바로가기
산학·연구
산학·연구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국립한밭대학교 LINC 3.0 사업단
산학협력단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연구비관리시스템
연구홍보포털(연구성과)
공동실험실습관
미래창의인재교육원
화학소재상용화지역혁신센터
학사 및 장학정보
학사 및 장학정보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학사공지
학사일정
학부
대학원
학사종합안내
교육과정
수업및수강
성적
학적
졸업
대학규정
규정 제‧개정 공지사항
학사서식
학사상담
학사일반
교직상담
장학금
교내장학제도
장학공지
장학상담
등록금
등록
분할납부
등록금반환
FAQ
제증명 발급
학생 증명발급
교직원 인터넷증명발급
대학생활
대학생활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학생활동
총학생회
동아리
학회연합회
통학정보
셔틀버스
임차버스
학생복지
학내편의시설
보건진료소
금주의식단
학생생활공간
학생상담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상담신청
공지사항
마음건강 정보
인권센터
센터소개
이용 안내
인권침해 상담
상담신청 방법
인권침해 사안 처리 절차
공지사항
인권센터 규정
장애학생지원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장애학생지원
공지사항
사회봉사지원센터
스마트 학사/ IT서비스 안내
한밭스마트서비스
모바일 출입관리 시스템(앱)
차량 및 개인형 이동장치
차량등록
개인형 이동장치
시설 원스톱서비스
신청하기
신청내역
학생증 발급
국제학생증발급
학생생활관
병무정보
학생병무안내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 홍보동영상
ROTC Q&A(질의응답)
육군학생군사학교 링크
국내외대학교정보
국내대학 리스트
세계대학랭킹TOP100
학생국제교류
진로·취업 원스톱 서비스
진로 · 취업 프로그램 신청
상담신청
채용정보
성공취업컨텐츠/AI자소서•면접클리닉
한밭LIVE
한밭LIVE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공지사항
행사안내
HANBAT 뉴스
일반/홍보
교육/연구
교류/산학
한밭People
HANBAT 미디어
홍보동영상
홍보브로슈어
한밭갤러리
한밭디자인
한밭영상
대학현황
HANBAT 사용설명서
HANBAT 대학원 사용설명서
뉴스레터
뉴스레터
뉴스레터 구독및취소
한밭SNS
공식 SNS Hub
기타 SNS
언론에서 본 HANBAT
ZOOM IN HANBAT
정보광장
주거정보
아르바이트
분실/습득물
온라인장터
카풀해요
자유게시판
글로컬대학 30
글로컬대학 30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바로가기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바로가기
글로컬대학 30
(Q&A)
글로컬대학 30 Q&A
바로가기
로그인
전체메뉴
열림버튼
언어
ENG
CHN
한밭대학교 블로그
한밭대학교 유투브
한밭대학교 인스타그램
한밭대학교 페이스북
한밭대학교 트위터
HI HANBAT
대학소개
교육목표
연혁
UI소개
대학상징
개교기념행사
대학통계
대학요람
열린총장실
인사말
프로필
총장님, 할말있어요
역대총장
대학비전
비전 2030
특성화계획
윤리헌장
대학조직
조직도
직원검색
모범직원추천
HANBAT, 영광의순간
한벗소개
한벗은?
HANBAT 3D캠퍼스
학교오시는길
유성덕명캠퍼스
대덕산학융합캠퍼스
세종캠퍼스
시설이용안내
문화체육부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사전정보공표
정보목록
정책실명제
재정현황
업무추진비공개
상품권구매현황
수의계약공개
청렴센터
갑질신고센터
정보공시
자체평가
대학안전관리
개인정보의 목적 외 이용 또는 제3자 제공 및 위탁 사실 공지
발전기금/후원
입학안내
대학·대학원
대학
대학원
산학·연구
국립한밭대학교 LINC 3.0 사업단
산학협력단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연구비관리시스템
연구홍보포털(연구성과)
공동실험실습관
미래창의인재교육원
화학소재상용화지역혁신센터
학사 및 장학정보
학사공지
학사일정
학부
대학원
학사종합안내
교육과정
수업및수강
성적
학적
졸업
대학규정
규정 제‧개정 공지사항
학사서식
학사상담
학사일반
교직상담
장학금
교내장학제도
장학공지
장학상담
등록금
등록
분할납부
등록금반환
FAQ
제증명 발급
학생 증명발급
교직원 인터넷증명발급
대학생활
학생활동
총학생회
동아리
학회연합회
통학정보
셔틀버스
임차버스
학생복지
학내편의시설
보건진료소
금주의식단
학생생활공간
학생상담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상담신청
공지사항
마음건강 정보
인권센터
센터소개
이용 안내
인권침해 상담
상담신청 방법
인권침해 사안 처리 절차
공지사항
인권센터 규정
장애학생지원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장애학생지원
공지사항
사회봉사지원센터
스마트 학사/ IT서비스 안내
한밭스마트서비스
모바일 출입관리 시스템(앱)
차량 및 개인형 이동장치
차량등록
개인형 이동장치
시설 원스톱서비스
신청하기
신청내역
학생증 발급
국제학생증발급
학생생활관
병무정보
학생병무안내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 홍보동영상
ROTC Q&A(질의응답)
육군학생군사학교 링크
국내외대학교정보
국내대학 리스트
세계대학랭킹TOP100
학생국제교류
진로·취업 원스톱 서비스
진로 · 취업 프로그램 신청
상담신청
채용정보
성공취업컨텐츠/AI자소서•면접클리닉
한밭LIVE
공지사항
행사안내
HANBAT 뉴스
일반/홍보
교육/연구
교류/산학
한밭People
HANBAT 미디어
홍보동영상
홍보브로슈어
한밭갤러리
한밭디자인
한밭영상
대학현황
HANBAT 사용설명서
HANBAT 대학원 사용설명서
뉴스레터
뉴스레터
뉴스레터 구독및취소
한밭SNS
공식 SNS Hub
기타 SNS
언론에서 본 HANBAT
ZOOM IN HANBAT
정보광장
주거정보
아르바이트
분실/습득물
온라인장터
카풀해요
자유게시판
글로컬대학 30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글로컬대학 30 (Q&A)
닫기
HIGH
HANBAT
HOME
한밭LIVE
HANBAT 뉴스
일반/홍보
공유
네이버 SNS
공유하기
트위터 SNS
공유하기
페이스북 SNS
공유하기
네이버 밴드
공유하기
URL
복사하기
닫기
프린트
일반/홍보
게시물 검색
총 게시물
1,163
,
페이지
3
/ 117
-전체-
제목
작성자
페이지당 게시물수
10
20
30
50
적용
학생상담센터 12기 또래상담자 본격 활동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475
- 또래로서 다가가 대학생활 어려움 겪는 학우에게 정서적 지지와 상담 제공□ 우리 대학 학생상담센터는 지난 5일 2025학년도 학생상담센터 제12기 또래상담자 임명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올해 또래상담자로는 지난 3월 31일부터 4월 4일까지 총 10시간에 걸쳐 또래상담자 양성교육을 이수한 25개 학과, 47명의 재학생이 참여했으며, 이들은 제12기 또래상담자로서 대학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학우들의 적응을 지원하는 활동을 하게 된다.○ 제12기 또래상담자로 임명된 영어영문학과 고윤아 학생은 주변 친구들의 어려움에 관심을 갖고, 힘이 될 수 있도록 앞으로 열심히 활동하겠다고 포부를 전했다.□ 또래상담 프로그램은 2017년부터 운영된 학생상담센터의 대표 사업으로, 비슷한 나이의 대학생 또래상담자를 양성하여 다양한 이유로 어려움을 겪는 재학생들에게 정서적 지지와 상담을 제공함으로써 원활한 대학생활 적응을 돕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등록일
2025-06-09 17:21:56
인문사회융합인재양성사업(HUSS)연구소, 대학 캐릭터 활용해 학생설계형 비교과 프로그램 투표 이벤트 개최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405
- 학생들이 원하는 HUSS 프로그램 투표로 선정하여 학생 의견 적극 반영□ 우리 대학 인문사회융합인재양성사업(HUSS)연구소는 지난 4일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위험사회 속 다양한 문제들을 인식하고 확산하기 위한 이색 단기 이벤트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HUSS 제2기 서포터즈 8명의 학생들이 직접 기획하고 운영한 학생 참여형 프로그램으로, 대학의 고유 캐릭터인 하니, 바티, 나니, 유티를 각각 선거 후보자로 하고 학생들이 원하는 HUSS 프로그램을 각각의 공약으로 내세워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1시간 동안 투표를 실시했다.○ 행사 결과, 약 130명의 재학생이 참여했으며, 투표 결과 바티 후보자가 공약한 학교 밖 연수 프로그램 활성화가 가장 많은 표를 받아 이를 실제로 2025학년도 HUSS 프로그램에 반영할 예정이다.□ 권기석 인문사회융합인재양성사업연구소 소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학생들이 실제로 원하는 프로그램이 무엇인지 직관적으로 알게 됐으며, 앞으로 학생설계형 비교과 프로그램들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운영할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등록일
2025-06-04 14:58:01
국립한밭대 오용준 총장, ‘인구문제 인식개선 릴레이 캠페인’ 동참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378
- 아이는 행복하고, 청년은 희망을 키우며, 노인은 보람 있는 대한민국- 다음 캠페인 참여자로 우송대학교 오덕성 총장 지목□ 국립한밭대학교 오용준 총장이 2일 저출산고령화 등 우리나라 인구문제 인식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유도하기 위한 인구문제 인식개선 릴레이 캠페인에 동참했다.○ 이번 캠페인은 지난해 10월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복지인재원의 공동 기획으로 시작됐으며, 아이는 행복하고, 청년은 희망을 키우며, 노인은 보람 있는 대한민국이 되도록 함께 노력하자라는 표어로 공공기관장 및 사회단체장 등이 참여를 이어가며 사회 관계망 서비스(SNS), 보도자료를 통해 널리 알리고 있다.○ 국립한밭대 오용준 총장은, 우리나라 출생률 하락은 학령인구 감소로 이어져 교육 분야 전반에 걸친 구조적 변화와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을 요구하고 있고 인구감소 지역과 대도시 간 교육 격차도 심화되는 등 여러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며,○ 우리 대학도 교육계, 지역사회와 함께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에 적극 협력하고 대한민국이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27 충청 유니버시아드대회 조직위원회 이창섭 부위원장으로부터 지목을 받아 참여한 국립한밭대 오용준 총장은 다음 참여자로 우송대학교 오덕성 총장을 지목했다.
등록일
2025-06-02 11:34:32
인문사회융합인재양성사업(HUSS)연구소, 제2기 HUSS 동아리 및 서포터즈 출범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580
The 2nd HUSS(Humanities Utmost Sharing System) club and supporters was launched- HUSS 동아리 선발, 우수 아이디어 보유한 학생 팀 취창업 역량강화 지원- The HUSS club selected student teams with excellent ideas to provide support aimed at enhancing their entrepreneurial and career competencies.- HUSS 서포터즈, 인문사회 융합 교육의 가치 전파하고 위험사회 문제 연구- The HUSS Supporters promote the value of educatio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hile conducting research on issues related to the risk society.□ 우리 대학 인문사회융합인재양성사업(HUSS)연구소는 지난 28일 우수한 취창업 아이디어를 가진 학생 팀을 선발하여 목표한 취업 또는 창업을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2025학년도 HUSS 동아리 발대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The Humanities Utmost Sharing System(HUSS) Institute at Hanbat National University announced that it held the 2025 HUSS Club Launch Ceremony on the 28th, selecting student teams with excellent ideas for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to support them in achieving their intended career or startup goals.○ 국립한밭대 HUSS 동아리는 올해로 제2기째를 맞았으며, 학생들은 취창업 역량 강화를 위해 해당 분야 전문가 컨설팅, 시제품 제작지원, 회의비 등을 지원받게 된다.○ The HUSS Club at Hanbat National University marks its second cohort this year, and students will receive support such as expert consulting in the relevant fields, assistance with prototype production, and meeting expenses to strengthen their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competencies.□ 총 6개로 출범한 제2기 HUSS 동아리는 ▲강아지 기관지 영양제 개발 ▲실시간 생체 신호 측정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스마트 수면 안대 시제품 개발 ▲툴 활용 포트폴리오 제작을 통한 취업역량 강화 프로젝트 ▲천연 식물성 원료를 활용한 반려동물 전용 탈취제 제작 ▲디자인 안전제품 아름덮개의 금형 제작 및 실물 기반 시장성 검증 ▲소비자 니즈에 맞는 패키징 디자인 개발 등 다양한 주제를 중심으로 실질적인 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The second cohort of the HUSS club, composed of six teams, plans to carry out practical projects on a variety of themes, including▲ Development of a bronchial nutritional supplement for dogs ▲ Prototype development of a smart sleep mask customized through real-time biometric signal monitoring ▲ Job competency enhancement through portfolio creation using digital tools ▲ Production of a pet deodorant using natural plant-based ingredients ▲ Mold production and market testing of the design safety product Areum Cover ▲ Development of packaging designs tailored to consumer needs□ 또, 지난 22일에는 제2기 HUSS 서포터즈 발대식을 가졌다.□ In addition, on the 22nd, the '2nd HUSS Supporters Launch Ceremony' was held.○ 앞서 서포터즈 모집에는 총 30명의 학생이 지원했으며, 1차 서류선발과 2차 온라인 면접을 통해 최종 8명의 우수한 학생들을 HUSS 서포터즈 2기로 선발했다.○ A total of 30 students applied for the HUSS Supporters program. Through a first-round document screening and a second-round online interview, eight outstanding students were ultimately selected as the second cohort of HUSS Supporters.○ HUSS 서포터즈는 융합경영학과와 공공행정학과 학생들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융합 교육의 중요성을 알리고 위험사회에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연구와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활동을 하게 된다.○ The HUSS Supporters, composed mainly of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Convergence Management and the Department of Public Policy, are engaged in activities that promote the importanc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convergence education while researching and exploring solutions to various issues that may arise in a risk society.□ 국립한밭대 권기석 인문사회융합인재양성사업연구소 소장은 지난 2024년에 처음으로 취창업 동아리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했는데 이를 통해 실제로 매출까지 이룬 롤모델이 만들어졌고, 또 1기 HUSS 서포터즈 학생들의 활동으로 사업 프로그램들이 대내외적으로 많이 알려졌다며, 이러한 노하우와 자신감, 학생들의 열정이 더해져 올해에도 좋은 성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Kwon Ki-seok, Director of the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Convergence Talent Development at Hanbat National University, stated, In 2024, we launched the entrepreneurship and career development club support program for the first time, and it led to the creation of a role model team that actually achieved real sales. Furthermore, thanks to the efforts of the first cohort of HUSS Supporters, the program gained significant recognition both inside and outside the university. I hope that this accumulated know-how, growing confidence, and the passion of our students will once again lead to great outcomes this year.[보도자료 영문번역: 학생홍보기자단 글로벌팀]
등록일
2025-05-30 15:46:59
한국언어문학연구소,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문화 이해 단행본 제작 배포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365
- 외국인 유학생들이 경험한 한국문화에 대한 느낌을 각자의 시선으로 전달□ 우리 대학 한국언어문학연구소가 관내 외국인 유학생들과 함께 한국문화를 심층적으로 체험하고 이해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그 내용을 담아 단행본으로 출간했다.○ 이번에 출간한 단행본은 인문도시지원사업 별빛물듦의 도시, 유성의 일환으로 2024년 후반기에 진행한 프로그램을 통해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 전통문화와 일상 문화, 현대 예술 등을 직접 체험하고 느낀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의 시선에서 이야기를 풀어내는 방식으로 구성했다.○ 또한, 한국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핵심 키워드를 선택하고, 그것에 따라 한국문화와 자국문화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한 내용도 담았다.○ 이를 통해 문화의 다양성과 상호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스토리텔링을 핵심 기제로 삼아 각국의 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이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고, 한국문화를 새롭게 해석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이러한 결과물로 출간된 단행본은 총 2권으로, 「스토리텔링, 다중문화의 경험과 물들다」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직접 쓴 에세이와 이야기들을 중심으로 구성됐으며, 「키워드로 잇는 문화의 지도」는 영웅, 여성, 계몽, 가족, 시인, 환상이라는 여섯 개의 키워드를 통해 한국과 세계 문화를 비교하고 문화적으로 해석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번 단행본 출간에 참여한 키르기스스탄 출신 유학생 아이잣은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의 다양한 문화를 흥미롭게 이해하며 문화 속으로 들어간 느낌을 받았다며, 책을 통해 나의 경험이 누군가에게 전달된다고 생각하니 자랑스럽고 감사하다고 소감을 전했다.□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한 국립한밭대 윤인선 교수(한국언어문학연구소장)는 인문도시지원사업은 지역사회와 대학이 함께 문화를 매개로 소통하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시민의식을 함양하는 좋은 모델이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특히 외국인 유학생들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 문화가 어떻게 세계와 연결되고 있는지를 재확인할 수 있었고, 앞으로도 한국문화를 세계 속에 공유하고 확장할 수 있는 지속적인 프로그램을 기획할 예정이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에 출간한 단행본은 지역 도서관과 대학에 배포될 예정으로 이를 통해 더 많은 시민들과 공유할 계획이다.
등록일
2025-05-30 14:41:12
인문사회융합인재양성사업(HUSS)연구소, 대학생 금융 리스크 관리 역량강화 특강 개최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317
- 사회진출을 앞둔 대학생들의 위험사회 대비 금융 리스크 관리 역량 강화□ 우리 대학 인문사회융합인재양성사업연구소는 지난 26일 교내에서 재학생 대상 위험사회에 대비한 글로벌 금융시장 리스크 관리 역량강화 특강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특강에는 융합자율전공 학생들이 참여한 가운데, 급변하는 세계 경제 환경에서 합리적인 판단으로 건전한 금융생활을 할 수 있도록 외부 전문가를 통해 관련 지식과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학생들의 금융 관련 리스크 관리 역량을 강화하고자 마련됐다.○ 학생들은 이번 강의를 통해 위험의 정치화, 경제화, 사회화, 글로벌화를 주제로 실제로 갖추어야 할 역량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게 됐다며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국립한밭대 권기석 인문사회융합인재양성사업연구소 소장은 대학생 등 청년세대들의 금융 투자가 늘고 있고 그 시기도 점차 빨라지고 있는데 이번 특강이 우리 학생들이 실제 사회에 나가기 전 금융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방법에 대해 알고 현명한 금융생활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됐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국립한밭대 인문사회융합인재양성사업(HUSS)연구소는 본 사업을 통해 대학 교양 교육과정의 혁신 및 융합연구 확대, SW/AI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을 지원하며 초연결 사회 문제 해결 융합 전문가 양성에 기여하고 있다.
등록일
2025-05-29 13:08:31
한국언어문학연구소·인권센터, ‘배리어프리 문화 확산을 위한 인문체험’ 성료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332
□ 우리 대학 한국언어문학연구소와 인권센터는 지난 9일부터 23일까지 3주간 배리어프리 문화 확산을 위한 인문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했다고 밝혔다.○ 이번 배리어프리 문화 확산을 위한 인문체험 프로그램은 한국연구재단과 유성구, 국립한밭대 한국언어문학연구소가 함께 운영하는 인문도시지원사업 별빛물듦의 도시, 유성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배리어프리 문화란 말 그대로 장벽(Barrier)이 없는 상태를 뜻하며, 물리적․제도적․심리적 장벽을 제거하여 누구나 자유롭고 평등하게 사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자는 의미로, 주로 장애인․노약자․임산부 등 사회적 약자나 소수자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보장하는 맥락에서 사용된다.□ 이번 프로그램은 문화, 예술 분야를 중심으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경계를 낮추고 함께 즐기는 문화를 확산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됐다.○ 첫째 주에는 배리어프리 문화 확산을 위해 관련 사업을 개척해 가고 있는 사회적 기업 오롯플래닛 최인혜 대표의 배리어프리 문화 강연과 더불어, 배리어프리 상영을 위해 기획된 김남석 감독의 단편영화상영회와 감독과의 대화를 진행했다.○ 둘째 주에는 배리어프리 문화 체험을 목적으로 참여자들과 일반 단편 영화의 배리어프리 자막을 만들어 보는 활동을 통해 배리어프리 문화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배리어프리 문화 연출에 대한토론의 장을 마련했다.○ 마지막 셋째 주에는 참여자들이 직접 제작한 배리어프리 영화를 함께 관람하고, 이주형 청각 장애인 작가와 배리어프리 문화에 대한 토크 콘서트도 함께 진행했다.□ 이번 프로그램에 모두 참여한 시민, 학생들에게는 수료증이 발급됐고, 모두 수료한 인원 중에는 유성구에 거주하는 시민과 국립한밭대 재학생뿐만 아니라, 여수 등 원거리 참여자도 있을 정도로 높은 관심과 호응도를 보였으며, 98%의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한 국립한밭대 한국언어문학연구소 윤인선 소장은 배리어프리 문화는 누구나 함께 하는 문화를 구축하는 중요한 키워드이며, 이번 프로그램은 인권센터와의 협업을 통해 인문학적 관점에서 서로 함께 공존하고 이해하는 문화를 확산하는 기회가 됐다며, 국립한밭대학교는 앞으로도 인문학을 매개로 지역 및 대학의 여러 부서․학과들과 협업하여 지역 공동체가 발전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등록일
2025-05-27 15:16:53
학생상담센터, 2025학년도 1학기 ‘톡톡 마음약국 캠페인’ 성료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432
□ 우리 대학 학생상담센터에서는 지난 21일부터 23일까지 재학생들의 마음건강 증진 및 자살 인식 개선을 위한 2025학년도 1학기 톡톡 마음약국 캠페인을 운영했다고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대학 축제 기간을 맞이해 지역 유관기관인 대전광역자살예방센터, 대전청년마인드링크과 연계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했으며, 총 591명이 참여했다.□ 먼저 1일차에는 학생상담센터 소속 또래상담자와 함께하는 스트레스 검사 및 간이상담을, 2일차에는 대전광역자살예방센터와 함께하는 자살에 대한 오해와 진실 퀴즈를 진행했으며, 마지막 3일차에는대전청년마인드링크와 함께하는 마음건강 자가검진 활동을 펼쳤다.○ 스트레스 검사 및 간이상담을 진행한 또래상담자 컴퓨터공학과 우은식 학생은 캠페인에 참여한 재학생들이 취업 및 진로, 대인관계 등으로 많은 어려움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주변 친구들의 어려움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또, 학생상담센터 관계자는 이번 캠페인을 통해 재학생들이 자신의 마음 건강 상태를 점검하고, 정신건강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했으며, 필요한 경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관과 방법도 함께 안내했다고 전했다.□ 한편, 국립한밭대학교 학생상담센터에서는 심리적으로 건강한 학교 문화 조성을 위해 개인 및 집단상담, 다양한 주제의 마음건강 심리특강을 운영하고 있다.
등록일
2025-05-26 09:07:09
국립한밭대, 미래발전 심포지엄 이장우 대전시장 초청 강연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269
- 이장우 시장, 일류경제도시 대전의 미래전략과 시정방향에 대해 강의- 학생 및 교직원 등 100여 명 참석, 지역 성장과 대학의 역할 고민□ 우리 대학은 22일 교내 창의혁신관에서 대전광역시 이장우 시장을 초청해 대전시의 미래발전 전략에 대해 듣고, 지역 성장과 대학의 역할에 대해 함께 고민해 보는 개교98주년 기념 미래발전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대전시의 미래발전 전략을 대학 구성원과 공유하여 지역의 핵심 교육기관인 대학과 지역의 동반 성장을 위해 국립한밭대학교가 수행할 수 있는 역할과 방안에 대해 조명해 보고 국립한밭대와 대전시의 협력기반을 확대하고자 마련됐다.□ 학생과 교직원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이장우 시장은 강연에서 객관적인 통계 지표를 근거로 대전시가 살기 좋은 도시로 성장했음을 보여줬고, 대전시가 추진하고 있는 대전충남 행정통합, 대전시 6대 전략산업 육성, 첨단 전략산업 육성 특화산업단지 구축, 대기업과 강소기업 투자 유치 등 대전의 미래에 대해 설명했다.○ 또, 이 시장은 학생들에게 인생의 선배로서, 먼저 삶의 계획을 잘 세우고, 항상 준비된 자세로 이를 실제 행동에 옮겨라라고 했으며, 남이 하지 않는 것을 하고, 사람을 중시하라고 강조했다.○ 오용준 총장은 초청에 응해준 이장우 시장에게 감사인사를 전하며, 이번 심포지엄이 국립한밭대학교가 지산학연일체 혁신 플랫폼 대학이라는 비전을 실현하고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지속가능한 대학으로 나아가는 방향성을 한 번 더 살펴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 국립한밭대학교는 대전시와의 협력을 기반으로 지난 4월 스페인 말라가대학 및 대만 국립가오슝대학과 반도체 분야 산업 발전과 글로벌 인재 양성을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한 바 있으며, 반도체를 비롯한 국방, 우주․항공 분야 등에 대학의 특성화 역량을 결집해 대전시 전략산업 분야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등록일
2025-05-22 17:35:08
국립한밭대, 2025 대동제 ‘한밭한밤’ 축제 개최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677
2025 Daedongje; Hanbat Hanbamwas held- 슬로건 한밭한밤: 한밭인들의 하나가 되는 밤- Slogan Hanbat Hanbam: A night for Hanbat members to come together as one- 21일부터 23일까지 학과동아리 부스 운영, 연예인 초청 공연, 가요제 등 진행- From the 21st to the 23rd, departmental and club booths were operated, along with celebrity performances, a singing contest, and more.□ 우리 대학은 21일부터 23일까지 3일간 교내 국제교류관 옆 특설행사장과 종합운동장 일원에서 2025년 대동제; 한밭한밤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Hanbat National University announced that it had held the 2025 Daedongje: Hanbat Hanbamfrom the 21st to the 23rd for three days at the special event venue next to the Office of International Affairs and around the main sports field on campus.○ 국립한밭대 제41대 LINK 총학생회(회장 윤호)가 주관하는 이번 행사는 한밭한밤(한밭인들의 하나가 되는 밤)이란 주제로 다양한 문화행사를 통해 학생들 간 교류를 확대하고, 또 지역주민들에게도 문화공연 등을 함께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This event, organized by the 41st General Student Council (LINK) of Hanbat National University (President Yoon Ho), was held under the theme Hanbat Hanbam (A night for Hanbat members to come together as one).. It aims to promote interaction among students through various cultural events, while also providing residents with opportunities to enjoy cultural performances together.○ 행사기간 낮에는 교내 국제교류관 옆 특설행사장에서 학생들 간 유대감을 형성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 부스와 푸드트럭, 플리마켓 등이 열리며, 오후 6시부터는 교내 종합운동장에서 학생 동아리 공연 및 가요제, 연예인 초청 공연 등이 펼쳐진다.○ During the daytime of the festival period, various event booths, food trucks, and flea markets were set up at the special event venue next to the International Exchange Affairs on campus, offering students opportunities to build connections and relieve stress. Starting at 6 p.m., student club performances, a singing contest, and celebrity guest performances took place at the universitys main sports field.□ 또, 문화행사 외에도 취업과 심리상담 등의 청년지원사업 프로그램운영 부스도 마련된다.□ In addition to cultural events, booths offering youth support programs such as employment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were also available.○ 국립한밭대 대학일자리본부는 재학생 및 지역청년의 취업 지원을 위한 청년고용정책 홍보와 상담 등을 운영하고, 인권센터와 학생상담센터에서는 학생들의 마음건강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The Hanbat National University Career Development Center provides information and counseling related to youth employment policies for both students and local young adults. The Human Rights Center and Student Counseling Center operate mental health support programs for students.○ 대전청년내일재단에서는 대전시에서 지원하는 청년지원사업과 인재육성사업 등을 홍보하며 청년 세대의 참여를 확대하는 활동을 한다.○ The Daejeon Youth Future Foundation promotes youth support and talent development programs supported by Daejeon, aiming to encourage greater participation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한편, 개회식은 21일 오후 5시 30분 종합운동장에서 국립한밭대 오용준 총장과 남윤의 학생처장 등 학무위원을 비롯해 이택구 대전광역시 정무경제과학부시장, 송명기 총동문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다.□ Meanwhile, the opening ceremony was held at 5:30 p.m. on the 21st at the main sports field, with attendees includ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President Oh Yong-jun, Student Affairs Dean Nam Yoon-ui, academic council members, Daejeon Deputy Mayor for Political, Economic, and Scientific Affairs Lee Taek-gu, and Alumni Association President Song Myung-ki.□ 국립한밭대 윤호 제41대 총학생회장은 이번 대동제가 학우들 간 더욱 깊은 유대감을 쌓고 즐거운 대학생활을 만들어 갈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라며, 또 지역과 함께 하는 축제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Yoon Ho, President of the 41st General Student Council of Hanbat National University, stated, I hope this years Daedongje becomes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build deeper bonds and enjoy a fulfilling campus life, and that it also serves as a celebration shared with the local community.[보도자료 영문번역: 학생홍보기자단 글로벌팀]
등록일
2025-05-21 18:14:06
<<
첫번째페이지
<
이전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
다음페이지
>>
마지막페이지
만족도조사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제공되는 정보에 대한 평가 내용을 등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