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밭대학교

HIGHHANBAT

일반/홍보

게시물 검색
교육성과센터, ‘2024학년도 H-UP e-포트폴리오 경진대회’ 성료 이미지
교육성과센터, ‘2024학년도 H-UP e-포트폴리오 경진대회’ 성료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12952
  • Completion of the 2024 H-UP e-Portfolio Competition hosted by the Educational Performance Center- 진로 목표 달성 위한 자기주도적 학생 경력관리 역량 향상 기여- Contributing to the enhancement of students' self-directed career management skills to achieve career goals□ 교육성과센터는 지난 22일 교내에사 2024학년도 H-UP e-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The Educational Performance Center of Hanbat National University (President Oh Yong-jun) announced that it held the 2024 H-UP e-Portfolio Competition on campus on the 22nd○ H-UP e-포트폴리오 경진대회는 학생들이 재학 중에 학업, 비교과 활동, 핵심역량진단 등을 통해 학생경력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학생종합경력관리시스템(H-UP)을 활용하여 자기주도적 경력관리 역량을 향상하고자 매년 열리고 있다.○ The H-UP e-Portfolio Competition is held every year to improve self-directed career management capabilities by utilizing the "Student Comprehensive Career Management System (H-UP)" that can comprehensively manage student careers through academic,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core competency diagnosis while students are enrolled.○ 이날 본선에서는 예선에서 서류평가를 거쳐 선정된 7명의 우수 학생이 취업을 희망하는 산업 분야와 기업, 직무에 대해 자신들의 진로 목표 달성과 연계하여 교내외 활동을 기반으로 쌓은 다양한 경험과 이력을 작성한 포트폴리오를 발표했다.○ On this day, seven outstanding students selected through the preliminary document screening presented portfolios showcasing their career goals, desired industries, companies, job roles, and the diverse experiences and achievements they accumulated through internal and external activities.○ 이번 대회의 대상은 건설환경공학과 황도현 학생이 수상했으며, 최우수상은 정보통신공학과 고은아, 산업경영공학과 김도형 학생이 각각 수상했다.○ The top prize of this competition was won by Hwang Do-hyun, a student from the Department of Construction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and Ko Eun-ah from the Depart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and Kim Do-hyung from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Management Engineering, respectively.□ 이성호 교육성과센터장은 이번 경진대회가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희망 진로에 대해 준비하며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고, 구체적인 진로 목표를 설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됐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Lee Seong-ho, head of the Hanbat National University's Education Performance Center, said, "I hope this competition helped students to prepare for their desired career, discover their strengths, and set specific career goals."[보도자료 영문번역: 학생홍보기자단 글로벌팀]
  • 등록일2024-11-25 09:46:55
LINC 3.0 사업단, 2024 청소년 미래직업 체험캠프 성료  이미지
LINC 3.0 사업단, 2024 청소년 미래직업 체험캠프 성료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4942
  • - 유성구 소재 6개 중‧고등학교 학생 대상 신산업 분야 진로 체험 제공□ 3단계산학연협력선도대학육성사업단(LINC 3.0)은 지난 4월부터 11월까지 지역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신산업 분야 진로를 체험해 보고 미래직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2024 청소년 미래직업 체험캠프를 운영했다고 밝혔다.○ 청소년 미래직업 체험캠프는 국립한밭대와 대전 유성구 교육과학과가 함께 2018년부터 운영하고 있는 관학협력 사업으로, 올해에는 유성구 소재 ▲덕명중 ▲장대중 ▲자운중 ▲동화중 ▲유성고 ▲성덕중 6개 중․고교 434명의 학생이 8회에 걸쳐 참여했다.○ 프로그램은 반도체 제작 공정, 3D 프린팅, 스마트모빌리티(드론), 스마트팩토리(AR/VR), 인공지능(AI), 아두이노 코딩 교육 등 4차 산업혁명 신산업 직업분야 체험 학습으로 구성하고, 국립한밭대 기업협업센터(ICC) 등과 연계하여 운영했다.○ 지난 21일 참여한 성덕중학교 학생들은 2024 국립한밭대학교 산학협력 fair 행사의 주요 프로그램인 ▲캡스톤디자인 ▲건설환경조형대전 ▲기업협업센터 등의 성과 전시장을 둘러보며 국립한밭대의 창의융합인재 양성 교육과 지역사회 지원 활동 등도 확인했다.□ LINC 3.0 사업단 이종원 사업부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할 지역 청소년들이 신산업 분야에 대한 체험을 통해 꿈을 키우고 앞으로의 진로를 설정하는데 도움이 되었길 바란다고 말했다.
  • 등록일2024-11-25 09:22:22
㈜우광이엔씨 김태현 대표, 국립한밭대에 발전기금 기부 이미지
㈜우광이엔씨 김태현 대표, 국립한밭대에 발전기금 기부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5323
  • CEO of Woogwang ENC Kim Tae-hyun Donates Fund to Hanbat National University- 젊은 후배들 위한 학과 장학금 1천만원 기부- Donation of 10 million won in department scholarships for young junior□ 우리 대학은 19일 ㈜우광이엔씨 김태현 대표가 대학본부를 방문해 대학발전기금 1,000만 원을 기부했다고 밝혔다.□ Hanbat National University (President Oh Yong-joon) announced on the 19th that Kim Tae-hyun, CEO of Wugwang ENC Co., Ltd., visited the university headquarters and donated 10 million won in the university development fund.○ 산업대학원 철도전기시스템공학과에 재학 중인 ㈜우광이엔씨 김태현 대표는 요즘 청년들이 취업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학생들에게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고 싶어서 기부를 결심하게 됐다고 말했다.○ Kim Tae-hyun, CEO of Woo Kwang ENC Co., Ltd., who is currently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Railway Electrical Systems Engineering at the Graduate School of Industry, Hanbat National University, stated, "Young people these days face challenges in finding employment, and I decided to donate to provide even a small amount of support to the students."□ 오용준 총장은, 후배들을 위한 선한 마음이 학생들에게 귀감이 되고, 지역사회의 인재로 성장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라며 감사인사를 전했다.□ Oh Yong-joon, president of the Hanbat National University, thanked, "A good heart for juniors will be an example for students and positively affect the growth of talented people in the community."□ 한편, ㈜우광이엔씨는 노후 LED 조명 교체 등 전기공사업을 주로 하고 있으며, 김태현 대표는 전력산업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24년 전기문화대상에서 국무총리표창을 수상하기도 했다.□ Meanwhile, Woo Kwang ENC Co., Ltd. is mainly engaged in electric engineering projects such as replacing old LED lights, and CEO Kim Tae-hyun won the Prime Minister's Award at the 2024 Electric Culture Awards for his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power industry.[보도자료 영문번역: 학생홍보기자단 글로벌팀]
  • 등록일2024-11-20 22:25:51
인문교양학부, 제15회 대학생 토론대회 성료 이미지
인문교양학부, 제15회 대학생 토론대회 성료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5164
  • - 총 342개 팀, 1,026명 참여, 기후 위기 속 선진국의 기후 난민 이주 수용 여부 토론□ 우리 대학은 지난 10월 1일부터 11월 16일까지 제15회 국립한밭대학교 대학생 토론대회를 진행했다.○ 이번 대회는 국립한밭대 노마드칼리지 인문교양학부가 주최하고 국립한밭대 노마드러닝센터 의사소통클리닉․한국언어문학연구소에서 주관했으며, 대전광역시선거방송토론위원회가 후원했다.○ 2012년부터 계속 이어온 국립한밭대 대학생 토론대회는 대전․충남지역 대학생 토론대회로서는 가장 오랜 역사와 지속성을 자랑하고 있으며, 올해는 대전광역시선거방송토론위원회의 참여로 대회의 의미를 더욱 뜻깊게 했다.□ 이번 제15회 대회는 탄소 배출 등으로 인한 기후 환경의 위기 속에서 인류 공동체의 더불어 사는 삶에 대해 토론하기 위해 G20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기후 난민의 이주를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를 논제로 진행됐다.○ 지난해 316개 팀보다 많아진 총 342개 팀, 1,026명의 학생들이 예선에 참가하여 학생들의 토론에 대한 관심과 열정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난 16일 진행된 결선에는 국립한밭대 오용준 총장과 대학 교수진, 설태선 대전광역시선거방송토론위원회 홍보과장을 비롯하여 토론과 이번 주제에 관심 있는 120여 명이 참여했다.○ 대회 결과, 설비공학과 양수연․전자공학과 전윤재․한예지 학생 팀이 영예의 대상인 국립한밭대학교총장상을 수상했으며, 산업디자인학과 이선영․화학생명공학과 방이슬․일본어과 이지인 학생 팀이 금상인 대전광역시선거방송토론위원회위원장상을 받았다.○ 대상을 수상한 전자공학과 전윤재 학생은 이번 토론대회가 합리적 의사소통에 대해 경험할 수 있는 기회였으며, 또한 기후 난민 문제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볼 수 있게 된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번 대회를 진행한 한국언어문학연구소 윤인선 소장은 이번 대회를 통해 우리 대학 의사소통 교육의 우수성과 적극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의사소통 교육 관련 교과와 비교과 운영을 통해 교육의 내실화를 다져가겠다고 소회를 밝혔다.
  • 등록일2024-11-19 22:17:24
창업경영대학원 창업학과 설립 20주년 기념행사 개최 이미지
창업경영대학원 창업학과 설립 20주년 기념행사 개최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43
  • - 함께 만들어 온 20년 함께 만들 미래를 슬로건으로 동문 200여 명 참여- 지역 창업 생태계 조성과 글로벌 창업 인재 양성 기여□ 우리 대학은 지난 15일 대덕산학융합캠퍼스에서 창업경영대학원 창업학과 설립 20주년 기념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창업경영대학원 창업학과는 2005년 기술기업 창업가와 창업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설립되어 올해 20주년을 맞이했으며, 함께 만들어 온 20년 함께 만들 미래를 슬로건으로 정하고 창업학과 발전을 위해 동문 화합과 창업 문화 활성화에 힘쓰고 있다.○ 이번 행사에는 국립한밭대 오용준 총장과 대전광역시교육청 설동호 교육감, 대전광역시 김경훈 정무수석을 비롯한 내․외빈과 200여 동문들이 참석한 가운데 각 분야에서 창업학과의 명예를 드높이고 발전에 기여한 창업학과 1기 안윤홍 동문 등 14명에게 감사패를 수여하고 친교의 시간 등을 진행했다.○ 특히 대전광역시의 창업 문화 확산과 지역사회 동반 성장에 기여한 대전광역시 이장우 시장에게 총장 명의의 감사패를 수여하고, 졸업생 일동도 헌신과 열정으로 학과 발전에 기여하신 교수진에게 감사패를 전달했다.○ 대전시교육청 설동호 교육감은 축사에서 창업학과의 교육적 성과를 높이 평가하며,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인재 양성을 위해 관련 교육을 지원하겠다고 했으며, 대전시 김경훈 정무수석도 창업 인재 육성을 위해 대전시도 지속적으로 협력하겠다고 했다.○ 오용준 총장은 창업학과는 지난 20년간 지역 창업 교육의 선두 주자로 자리 잡았으며, 앞으로도 지역 창업 생태계의 중심이 되어 창업 문화 확산과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창업 인재를 양성하는데 더욱 힘쓰겠다고 말했다.
  • 등록일2024-11-18 22:13:37
제6회 국립한밭대 수통골 문화축제 성료 이미지
제6회 국립한밭대 수통골 문화축제 성료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51
  • - 수통골 숲속 콘서트, 국립공원 자연경관 사진 전시회 및 체험 프로그램 등 운영□ 3단계산학연협력선도대학육성사업단(LINC 3.0)은 10월 19일부터 11월 9일까지 4주간 계룡산 국립공원 수통골 일원에서 제6회 국립한밭대 수통골 문화축제: 하나된 한밭(大田), 별밭(星田)의 우리(이하 한수제)를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한수제는 국립한밭대가 지역문화행사를 통해 지역사회 및 지역민과 소통하고 지역의 명소를 알려 지속가능한 지역 발전에 기여하고자 매년 운영하고 있는 프로그램으로 국립대학육성사업의 지원으로 진행됐다.○ 먼저 지난달 19일에는 ▲국립한밭대 임윤택 교학부총장, 김정환 LINC 3.0 사업단 부단장 ▲계룡산국립공원 임상우 수통골 분소장 ▲대전시 김낙철 교육정책전략국장 등 이번 행사를 함께한 기관들의 주요 관계자 20여 명과 지역주민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개막행사를 가졌다.□ 이번 한수제는 LINC 3.0 사업단 이종원 사업부장이 행사총괄을 맡아 지역주민과 학생, 수통골 탐방객 등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로 기획했다.○ 축제 기간 매주 토요일마다 지역 예술인들이 참여한 ▲수통골 숲속 콘서트를 열어 탐방객들에게 다양한 공연을 선사했으며,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암벽 체험, 다육이 화분 만들기 등의 ▲국립공원 체험 프로그램도 운영했다.○ 또, ▲국립공원 자연경관 사진 전시회, 대전시민들이 참여하여 수통골․한밭대․현충원 등의 풍경을 담아낸 ▲2024 포토에세이 공모전, 지역 초등학생 대상 천문학 강의와 별자리로 자신의 꿈을 표현한 별자리에세이 공모전인 ▲2024 별밭축제도 진행했다.□ 우승한 LINC 3.0 사업단장은 올해 한수제는 지난해보다 더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상하여 대전시민을 대상으로 한 포토에세이, 학하지구 초등학생이 참여한 별밭축제, 계룡산 국립공원의 전시회와 체험 프로그램 등을 운영했다며,○ 슬로건인 하나된 한밭(大田), 별밭(星田)의 우리처럼 국립한밭대만의 행사가 아닌, 행사를 운영하는 모든 기관이 함께 하나가 되어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행사가 된 것 같아 기쁘고, 대전시의 대표 행사가 될 수 있게 계속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 등록일2024-11-14 22:04:33
학생상담센터, 국제학생 대상 심리지원 프로그램 성료 이미지
학생상담센터, 국제학생 대상 심리지원 프로그램 성료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4803
  • Student Counseling Centers international student psychological support program has been successfully Completed- 싱잉볼, 아로마테라피 등 스트레스 관리와 마음챙김 프로그램 운영- Operation of stress management and mindfulness programs such as Singing Ball and Aromatherapy□ 학생상담센터는 지난 15일부터 24일까지 외국인 학생들의 유학생활에서 오는 심리적 어려움을 치유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했다고 밝혔다.□ The Student Counseling Center at Hanbat National University (President Oh Yong-joon) announced that it conducted a program from the 15th to the 24th to support international students in coping with the psychological challenges of studying abroad.○ 이번 프로그램에는 러시아, 몽골, 베트남, 중국 등 다양한 국적의 학부생 및 대학원생, 언어연수생으로 이루어진 10개 집단, 총 74명이 참여했으며, 언어별 통역사를 지원하여 심리상담 전문가와 유학생들의 원활한 소통을 도왔다.○ A total of 74 people from 10 groups of undergraduate, graduate, and language trainees from various nationalities, including Russia, Mongolia, Vietnam, and China,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supported language interpreters to help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psychological counseling experts and international students.○ 외국인 학생들은 각 집단별 심리상담 전문가와 유학 생활의 고립감 및 심리적 어려움을 나누고, 스트레스에 대한 이해, 마음챙김 호흡 연습, 아로마와 싱잉볼을 활용한 이완 연습 등의 프로그램에도 참여했다.○ Foreign students shared their feelings of isolation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in studying abroad with psychological counseling experts from each group and participated in programs such as understanding stress, mindful breathing practice, and relaxation practice using aroma and singing balls.○ 싱잉볼, 아로마테라피, 명상 등의 프로그램은 감각적 매체를 활용한 비언어적 집단상담으로, 학생들이 큰 언어 장벽 없이 편안한 분위기 속에서 자기표현을 통해 스트레스 관리와 마음챙김을 할 수 있었다.○ Programs such as Singing Ball, Aromatherapy, and Meditation are non-verbal group counseling using sensory media, allowing students to manage stress and take care of their minds through self-xss-expression in a comfortable atmosphere without major language barriers.□ 한편, 학생상담센터는 개인 및 집단상담, 심리검사 및 해석상담, 다양한 주제의 심리특강 및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재학생들이 입학부터 졸업까지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고, 심리적으로 건강한 학교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Meanwhile, the Hanbat National University Student Counseling Center strives to help students adapt well to university life from admission to graduation and xss-create a psychologically healthy school culture through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 psychological test and interpretation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special lectures and programs on various topics.[보도자료 영문번역: 학생홍보기자단 글로벌팀]
  • 등록일2024-10-31 11:03:55
교수학습센터, 2024학년도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성료 이미지
교수학습센터, 2024학년도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 성료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267
  • 2024 CTL presentation competition has been successfully completed- 학습경험과 지식 공유로 서로의 배움에 긍정 영향- Positive influence on each others learning by sharing learning experiences and knowledge- 학습나눔 통해 지역사회 문제 인식 높이고 함께 성장하는 가치 추구- Raise awareness of community issues through learning-sharing and pursue the values of growing together□ 교수학습센터는 지난 25일 교내 도서관에서 2024학년도 프레젠테이션 경진대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Hanbat National University (President Oh Yong-joon) Center for Teaching Learning announced on the 25th that it successfully hosted the 2024 Presentation Competition at the library.○ 이번 경진대회는 재학생들에게 자신의 생각과 지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능력과 발표력 및 의사소통 역량을 키우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This competition aims to give students an opportunity to develop their ability to effectively convey their ideas and knowledge, enhance their present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share these with others.○ 본선 발표 5개 팀과 학생심사위원 일반 참여자 45명 등 약 5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발표가 진행됐으며, 심사 결과 경제학과 최해찬 학생이 진로를 구체화시키는 나의 시스템이라는 주제로 대상을 차지했다.○ The final presentation was attended by around 50 participants, including five finalist teams, 45 student judges, and general participants. Following the evaluation, Choi Hae-chan from the Department of Economics was awarded the grand prize for his presentation, 'My System for Specifying Career Paths'○ 또, 최우수상은 △화학생명공학과 전지현 징검다리 건너 도착한 도전역이, 우수상은 △공공행정학과 김연서 당신의 오늘, 어제의 흔적과 내일의 꿈으로 이루어진다 △일본어과 황보영회계학과 방민지 성공적인 미래로 가는 여정 △정보통신공학과 이시연 나의 대학생활 극복이야기가 각각 수상했다.○ Additionally, the top prize was awarded to △ Jeon Ji-hyun from the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for her presentation, 'The Station of Challenges Across the Stepping Stones.' The excellence prizes were awarded to △ Kim Yeon-seo from the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for 'Your Today, Built from Traces of Yesterday and Dreams of Tomorrow,' △ Hwang Bo-young from the Department of Japanese Language, and Bang Min-ji from the Department of Accounting for 'A Journey Towards a Successful Future,' and △ Lee Si-yeon from the Depart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for 'My Story of Overcoming College Life.'○ 이날 학생심사위원으로 참여했던 일본어과 이주우 학생은 학교생활을 이렇게 열정적으로 하는 학우들이 있다는 사실에 놀랐으며 교내외 다양한 활동을 통해 본인의 적성을 찾고 꿈을 향해 도전하는 모습을 보고 많은 점을 배울 수 있었다고 전했다.○ On the day of the competition, Lee Joo-woo, a student judge from the Department of Japanese Language, remarked, "I was deeply impressed by my fellow students' passion for their school life. Observing how they discover their aptitudes and challenge themselves to achieve their dreams through diverse on-campus and off-campus activities was inspiring and educational."□ 국립한밭대 김지현 교수학습센터장은 이번 경진대회를 통해 학생들이 또래와 선후배들의 성공적인 대학생활과 학습열정에 대해 직접 보고 느끼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를 통해 도전적이며 자기주도적인 학습태도를 가진 학습자로 거듭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고 밝혔다.□ Kim Ji-hyun, director of the Hanbat National University's Center for Teaching Learning, commented, "This competition gave students a chance to witness and be inspired by the successful college experiences and learning passion of their peers and seniors. We hope that this will help them become learners with challeng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보도자료 영문번역: 학생홍보기자단 글로벌팀]
  • 등록일2024-10-28 10:44:00
산업디자인학과, 2024 유성국화축제에서 ‘우리동네 빈집 프로젝트’ 작품 전시 이미지
산업디자인학과, 2024 유성국화축제에서 ‘우리동네 빈집 프로젝트’ 작품 전시
  • 작성자기획과
  • 조회수4629
  •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Exhibited 'Our Neighborhood Empty house project at the 2024 Yuseong Chrysanthemum Festival□ 산업디자인학과가 10월 18일부터 11월 3일까지 팝업 갤러리 프로젝트 2024(POP UP GALLERY PROJECT 2024)로 대전 유성구 유림공원에서 열리는 제15회 유성국화축제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Hanbat National University (President Oh Yong-Jun) Industrial Design Department announced its participation in the 15th Yuseong Chrysanthemum Festival, held at Yurim Park in Yuseong-gu, Daejeon, from October 18 to November 3, through the "Pop-Up Gallery Project 2024."○ 팝업 갤러리 프로젝트는 국립한밭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가 지난해부터 유성국화축제에서 새롭게 선보인 갤러리형 공공예술 작품으로, 매년 다른 주제를 선정해 전시한다.○ The pop-up gallery project is a "gallery-type public art" work newly introduced by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at the Hanbat National University at the Yuseong Chrysanthemum Festival since last year, and selects and displays different themes every year.□ 이번 전시 주제는 우리동네 빈집 프로젝트로 대전시와 협력하여 실제 현안 대상을 주제로 정하였고,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빈집 문제에 대한 실제적인 고민을 담았다.□ The theme of this exhibition is "Community Vacant Homes Project," which has been set as the subject of actual pending issues in cooperation with Daejeon and contains practical concerns about the ever-increasing problem of vacant homes.○ 산업디자인학과 3학년 학생들은 지난 1학기 동안 공공환경디자인 수업을 통해 실제 빈집을 대상으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며 지역 사회의 환경 개선과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디자인 솔루션을 모색했다.○ In the first semester, third-year students from Hanbat National University's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proposed creative solutions for vacant homes through public environment design classes and sought practical design solutions to improve and revitalize the environment in the local community.○ 학생들은 동구 5곳, 중구 3곳, 대덕구 1곳, 유성구 1곳을 대상지로 선정했으며, △U.Hue △세월과 사람, 땅을 잇는 고리 △Wave to mood △쉬엄마당 △판암이, 여유 △일상을 찢다 △Whistel △샘밑 △너나들이 △매듭이라는 주제로 10개의 공공디자인 작품을 완성하여 해당 작품들을 국화와 함께 전시했다.○ The students selected five xss-location. in Dong-gu, three in Jung-gu, one in Daedeok-gu, and one in Yuseong-gu as their target areas. They completed ten public design works under themes such as △U.Hue △The Link Between Time, People, and Land △Wave to Mood △Place of Relaxation △Panami, Leisure △Tearing Everyday Life △Whistle △Saemmit △Neonadeuli △Knot. These works were exhibited alongside chrysanthemums.□ 작품을 지도한 산업디자인학과 김지현 교수는 학생들이 지역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빈집 문제를 해결하고자 많은 고민을 했으며,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노력했다며, 제안된 아이디어가 지역 공동체 활성화와 지속 가능한 도시 재생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Kim Ji-hyun, a professor of industrial design who led the work, said, "As a member of the local community, students thought a lot about solving the problem of vacant houses, and tried to propose designs that could lead to practical changes," adding, "We look forward to the proposed idea contributing to revitalizing the local community and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이번 전시에 참여한 서대진 학생은 빈집이 공공디자인을 통해 주민들을 위한 공간으로 변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깨달았고, 이번 국화축제를 통해 우리가 고민한 내용을 시민들과 함께 공유할 수 있어 매우 기쁘고 뿌듯하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Seo Dae-jin, a student who participated in the exhibition, said, "We discovered the potential of empty houses could be transformed into spaces for residents through public design, and we are very happy and proud to share our concerns with citizens through this chrysanthemum festival."[보도자료 영문번역: 학생홍보기자단 글로벌팀]
  • 등록일2024-10-19 09:4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