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밭대학교
검색
검색어
열림버튼
통합검색
찾으시는 단어나 검색어를 입력해 주세요!
검색
통합검색
닫기
로그인
언어선택
언어선택
열림버튼
ENG
CHN
전체메뉴
전체메뉴
HI HANBAT
HI HANBAT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대학소개
교육목표
연혁
UI소개
대학상징
개교기념행사
대학통계
대학요람
열린총장실
인사말
프로필
총장님, 할말있어요
역대총장
대학비전
비전 2030
특성화계획
윤리헌장
대학조직
조직도
직원검색
모범직원추천
HANBAT, 영광의순간
한벗소개
한벗은?
HANBAT 3D캠퍼스
학교오시는길
유성덕명캠퍼스
대덕산학융합캠퍼스
세종캠퍼스
시설이용안내
문화체육부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사전정보공표
정보목록
정책실명제
재정현황
업무추진비공개
상품권구매현황
수의계약공개
청렴센터
갑질신고센터
정보공시
자체평가
대학안전관리
개인정보의 목적 외 이용 또는 제3자 제공 및 위탁 사실 공지
발전기금/후원
입학안내
입학안내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입학안내
한밭대학교 입학홈페이지
바로가기
대학·대학원
대학·대학원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대학
대학
바로가기
대학원
대학원
바로가기
산학·연구
산학·연구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국립한밭대학교 LINC 3.0 사업단
산학협력단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연구비관리시스템
연구홍보포털(연구성과)
공동실험실습관
미래창의인재교육원
화학소재상용화지역혁신센터
학사 및 장학정보
학사 및 장학정보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학사공지
학사일정
학부
대학원
학사종합안내
교육과정
수업및수강
성적
학적
졸업
대학규정
규정 제‧개정 공지사항
학사서식
학사상담
학사일반
교직상담
장학금
교내장학제도
장학공지
장학상담
등록금
등록
분할납부
등록금반환
FAQ
제증명 발급
학생 증명발급
교직원 인터넷증명발급
대학생활
대학생활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학생활동
총학생회
동아리
학회연합회
통학정보
셔틀버스
임차버스
학생복지
학내편의시설
보건진료소
금주의식단
학생생활공간
학생상담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상담신청
공지사항
마음건강 정보
인권센터
센터소개
이용 안내
인권침해 상담
상담신청 방법
인권침해 사안 처리 절차
공지사항
인권센터 규정
장애학생지원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장애학생지원
공지사항
사회봉사지원센터
스마트 학사/ IT서비스 안내
한밭스마트서비스
모바일 출입관리 시스템(앱)
차량 및 개인형 이동장치
차량등록
개인형 이동장치
시설 원스톱서비스
신청하기
신청내역
학생증 발급
국제학생증발급
학생생활관
병무정보
학생병무안내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 홍보동영상
ROTC Q&A(질의응답)
육군학생군사학교 링크
국내외대학교정보
국내대학 리스트
세계대학랭킹TOP100
학생국제교류
진로·취업 원스톱 서비스
진로 · 취업 프로그램 신청
상담신청
채용정보
성공취업컨텐츠/AI자소서•면접클리닉
한밭LIVE
한밭LIVE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공지사항
행사안내
HANBAT 뉴스
일반/홍보
교육/연구
교류/산학
한밭People
HANBAT 미디어
홍보동영상
홍보브로슈어
한밭갤러리
한밭디자인
한밭영상
대학현황
HANBAT 사용설명서
HANBAT 대학원 사용설명서
뉴스레터
뉴스레터
뉴스레터 구독및취소
한밭SNS
공식 SNS Hub
기타 SNS
언론에서 본 HANBAT
ZOOM IN HANBAT
정보광장
주거정보
아르바이트
분실/습득물
온라인장터
카풀해요
자유게시판
글로컬대학 30
글로컬대학 30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글로컬 산학일체 혁신대학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바로가기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바로가기
글로컬대학 30
(Q&A)
글로컬대학 30 Q&A
바로가기
로그인
전체메뉴
열림버튼
언어
ENG
CHN
한밭대학교 블로그
한밭대학교 유투브
한밭대학교 인스타그램
한밭대학교 페이스북
한밭대학교 트위터
HI HANBAT
대학소개
교육목표
연혁
UI소개
대학상징
개교기념행사
대학통계
대학요람
열린총장실
인사말
프로필
총장님, 할말있어요
역대총장
대학비전
비전 2030
특성화계획
윤리헌장
대학조직
조직도
직원검색
모범직원추천
HANBAT, 영광의순간
한벗소개
한벗은?
HANBAT 3D캠퍼스
학교오시는길
유성덕명캠퍼스
대덕산학융합캠퍼스
세종캠퍼스
시설이용안내
문화체육부
정보공개
정보공개제도안내
사전정보공표
정보목록
정책실명제
재정현황
업무추진비공개
상품권구매현황
수의계약공개
청렴센터
갑질신고센터
정보공시
자체평가
대학안전관리
개인정보의 목적 외 이용 또는 제3자 제공 및 위탁 사실 공지
발전기금/후원
입학안내
대학·대학원
대학
대학원
산학·연구
국립한밭대학교 LINC 3.0 사업단
산학협력단
연구실안전관리시스템
연구비관리시스템
연구홍보포털(연구성과)
공동실험실습관
미래창의인재교육원
화학소재상용화지역혁신센터
학사 및 장학정보
학사공지
학사일정
학부
대학원
학사종합안내
교육과정
수업및수강
성적
학적
졸업
대학규정
규정 제‧개정 공지사항
학사서식
학사상담
학사일반
교직상담
장학금
교내장학제도
장학공지
장학상담
등록금
등록
분할납부
등록금반환
FAQ
제증명 발급
학생 증명발급
교직원 인터넷증명발급
대학생활
학생활동
총학생회
동아리
학회연합회
통학정보
셔틀버스
임차버스
학생복지
학내편의시설
보건진료소
금주의식단
학생생활공간
학생상담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상담신청
공지사항
마음건강 정보
인권센터
센터소개
이용 안내
인권침해 상담
상담신청 방법
인권침해 사안 처리 절차
공지사항
인권센터 규정
장애학생지원센터
센터소개
이용안내
장애학생지원
공지사항
사회봉사지원센터
스마트 학사/ IT서비스 안내
한밭스마트서비스
모바일 출입관리 시스템(앱)
차량 및 개인형 이동장치
차량등록
개인형 이동장치
시설 원스톱서비스
신청하기
신청내역
학생증 발급
국제학생증발급
학생생활관
병무정보
학생병무안내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소개(ROTC)
학군사관 홍보동영상
ROTC Q&A(질의응답)
육군학생군사학교 링크
국내외대학교정보
국내대학 리스트
세계대학랭킹TOP100
학생국제교류
진로·취업 원스톱 서비스
진로 · 취업 프로그램 신청
상담신청
채용정보
성공취업컨텐츠/AI자소서•면접클리닉
한밭LIVE
공지사항
행사안내
HANBAT 뉴스
일반/홍보
교육/연구
교류/산학
한밭People
HANBAT 미디어
홍보동영상
홍보브로슈어
한밭갤러리
한밭디자인
한밭영상
대학현황
HANBAT 사용설명서
HANBAT 대학원 사용설명서
뉴스레터
뉴스레터
뉴스레터 구독및취소
한밭SNS
공식 SNS Hub
기타 SNS
언론에서 본 HANBAT
ZOOM IN HANBAT
정보광장
주거정보
아르바이트
분실/습득물
온라인장터
카풀해요
자유게시판
글로컬대학 30
글로컬대학 30 (자료공유실)
글로컬대학 30 (자유의견실)
글로컬대학 30 (Q&A)
닫기
HIGH
HANBAT
HOME
한밭LIVE
HANBAT 뉴스
일반/홍보
공유
네이버 SNS
공유하기
트위터 SNS
공유하기
페이스북 SNS
공유하기
네이버 밴드
공유하기
URL
복사하기
닫기
프린트
일반/홍보
게시물 검색
총 게시물
1,163
,
페이지
7
/ 117
-전체-
제목
작성자
페이지당 게시물수
10
20
30
50
적용
2024학년도 학생상담센터 참여 공모전 시상식 개최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990
□ 우리 대학은 지난 6일 교내에서 2024학년도 학생상담센터 참여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학생상담센터 참여 공모전은 학생들에게 심리상담과 마음건강 지원의 중요성을 알리고, 학생상담센터의 역할과 기능에대한 인식 제고를 위해 마련됐다.○ 이번 공모전은 학생상담센터 참여경험(참여수기)과 인식개선(영상/카드뉴스/N행시) 총 2개 부문 4개 분야로 진행됐으며, 지난 10월 중순부터 11월 중순까지 총 72명의 재학생이 83개 작품을 출품했다.○ 공모전 결과, 대상은「친구같은 학생상담센터」영상 작품을 출품한 화학생명공학과 성민제이수안허주회박상학박인웅 팀이 수상했고, 이 외에도 최우수상과 우수상, 장려상에 대한 시상도 함께 진행했다.□ 대상 수상자 대표 성민제 학생은 이렇게 큰 상을 수상할 수 있게 되어 기쁘고, 학생상담센터가 친구처럼 따뜻하고, 친근한 존재가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영상을 제작했다고 소감을 전했다.□ 학생상담센터 관계자는 이번 공모전을 통해 학생들이 심리상담 및 마음건강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창의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공모전을 확대하여 교내 학생상담센터의 역할과 마음건강 지원에 대한 인식 개선을 통해 대학생활 중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한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국립한밭대학교 학생상담센터에서는 대인관계와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의 마음건강 지원을 위해 개인 및 집단상담, 다양한 주제의 마음건강 심리특강을 운영하고 있다.
등록일
2024-12-10 13:57:55
문화체육부, ‘2024 크리스마스 나눔 음악회’ 성료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102
Culture and Sports Center Concluded '2024 Christmas Sharing Concert'- 14회째를 맞는 국립한밭대 수통골 문화가 있는 날 음악회로 지역주민과 나눔 실천- The 14th Sutonggol Cultural Day Concert promoted sharing with residents.□ 우리 대학은 지난 5일 교내 아트홀에서 연말을 맞아 2024 크리스마스 나눔 음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Hanbat National University (President Oh Yong-Jun) announced that it held the '2024 Christmas Sharing Concert' on the 5th at the university's Art Hall to celebrate the end of the year.○ 국립한밭대 문화체육부 부장인 길민호 교수가 총괄기획 및 진행을 맡은 이번 음악회에는 지역주민과 기업인, 후원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테너 김신영, 보컬리스트 백자현, 엘렉톤 최유미, 가온병찬단, 브라스밥이 약 1시간에 걸쳐 공연하며 잠시나마 따뜻한 시간을 보냈다.○ Tenor Kim Shin-young, vocalist Baek Ja-hyun, Elekton Choi Yoo-mi, Gaon Byeongchan, and brassbab performed for about an hour at the concert and provided a warm moment for all attendees, which was organized and hosted by Professor Gil Min-ho, head of the Culture and Sports Department at Hanbat National University.□ 또, 이번 나눔 음악회의 뜻에 동참해 국립한밭대 총동문회와 최고경영자과정총동창회, 함께하는교회, 서울플란트치과의원, 대전부르스주조, 대전중앙신협, LIG넥스원 대전하우스, 산업은행 충청지역본부, 하나은행 등이 후원물품을 보내왔다.□ In addition, the Hanbat National University Association, the CEO Course Association, Hamkkehaneun Church, Seoul Implant Dental Clinic, Daejeon Blues Brewery, Daejeon Central Sharon Credit Union, LIG Nexone Daejeon House,Chungcheong headquarters of Korea Development Bank, and Hana Bank sent sponsored items.○ 모아진 후원물품은 이날 음악회와 함께 지역의 사회복지시설인 천양원, 한밭종합사회복지관, 희망플러스발달장애인 주간활동지원센터에 전달했다.○ Along with the concert, the sponsorship items collected were delivered to local social welfare facilities such as Cheonyangwon, Hanbat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 and Hope Plus Daytime Activity Support Center for the Developed Disabled.□ 한편, 국립한밭대는 해마다 수통골 문화축제와 한밭스포츠클럽, 도서관 문화행사 등 지역주민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지속가능한 지역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Meanwhile, the Hanbat National University is contributing to sustainable regional development by running various programs that allow residents to participate, such as the Sutonggol Cultural Festival, Hanbat Sports Club, and library cultural events every year.[보도자료 영문번역: 학생홍보기자단 글로벌팀]
등록일
2024-12-09 13:51:21
CTL학습서포터즈, 재학생 응원 이벤트 개최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926
- 기말고사 대비 학생들이 직접 학우들을 위해 준비한 학습독려 이벤트□ 우리 대학은 5일 교내 혜윰광장에서 교수학습센터 주관으로 기말고사를 앞둔 학생들에게 한 해 동안 열심히 학습해 온 자신을 돌아보며 올해 마지막 시험의 학습 의욕을 높이기 위한 특별 이벤트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CTL학습서포터즈 9기 학생들이 기획한 행사로 교내 200여 명의 학생에게 간식을 나눠주고 다가오는 시험 대비 응원 메시지를 전해주며 재학생의 학업을 독려했다.○ 조하민(중국어과 4학년) CTL학습서포터즈 학생은 시험을 앞두고 공부에 지쳐있을 학우들에게 어떤 이벤트를 진행하면 좋을까 많이 고민했으며 이번 간식 이벤트가 학생들에게 힘이 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또, CTL학습서포터즈는 앞으로 학우들이 올 한 해 동안 교수학습센터의 학습법 프로그램에 도움 받았던 사례 및 교수학습센터에 바라는 점과 개설을 희망하는 프로그램을 SNS를 통해 접수하는 이벤트 진행과 내년 학습계획에 유용한 팁도 함께 공유할 예정이다.○ 김지현 교수학습센터장도 학우들 입장에서 이번 행사를 준비한 서포터즈 학생들을 칭찬하며 학생들 모두 한해 마무리 잘하고 좋은 결과가 있길 바란다라고 함께 응원했다.○ 한편, CTL학습서포터즈는 지난 11월에도 학우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1차 전달력 넘치는 파워 프레젠테이션, 2차 어디서든 활용 가능한 나만의 자기소개 특강 프로그램을 1:1 실습과 병행 진행하여 학생들이 실질적인 역량을 기르고 자신감을 얻을 수 있도록 했다.
등록일
2024-12-06 13:45:19
학생상담센터, 2024학년도 2학기 집단상담 프로그램 성료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964
- 재학생 대상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을 주제로 다양한 활동 프로그램 진행□ 우리 대학 학생상담센터가 지난 11월 약 한 달간 학생들이 대학생활에서 겪는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해소하기 위한 2024학년도 2학기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운영했다고 6일 밝혔다.○ 본 프로그램은 총 4회로 구성했으며, 김성아 외부전문 상담위원이 변증법적 행동치료(DBT) 기법을 활용하여 재학생들이 일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이고 체계적인 스트레스 관리 기술을 체득할 수 있는 활동을 중심으로 진행했다.○ DBT는 감정조절, 스트레스 대처, 대인관계 기술 향상 등을 목표로 한 치료 기법으로 일상에서도 활용 가능한 실용적인 기술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집단상담 프로그램 참여자 학생들이 스트레스에 보다 유연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심리적 안정과 자기 성장의 기회를 제공했다.○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한 회계학과 안소연 학생은 내가 받는 스트레스와 그 원인을 집단상담에서 찾아보며 이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을 연습해 볼 수 있었고, 특히 나만의 마음 구급상자를 만들면서 스트레스 완화 말랑이와 같은 도구를 활용하며 스트레스 상황에서 마음을 진정시키는 구체적인 방법을 배울 수 있어 실질적인 도움이 됐다고 소감을 전했다.○ 학생상담센터 담당자는 이번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일상적인 스트레스 상황에서 활용 가능한 실질적인 기술을 익히고 심리적으로 안정된 대학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돕고자 마련했고, 앞으로도 재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심리지원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기획하겠다고 말했다.
등록일
2024-12-06 13:39:31
일본어과 김시현 동문, 모교에 장학금 기부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750
Kim Si-hyun, Alumni of the Department of Japanese, Donated Scholarship Fund to Alma Mater- 학과 장학금 2천만원 기부, 후배들 취업의 길도 열어줘- She donated 20 million KRW to the department's scholarship fund, opening pathways for junior students careers.□ 우리 대학은 4일 일본어과 김시현 동문이 대학과 학과 발전을 기원하며 장학금 2,000만 원을 기부했다고 밝혔다.□ Hanbat National University (President Oh Yong-joon) announced on the 4th that Kim Si-hyun, an alumnus of the Japanese language department, donated 20 million won in scholarships to pray for the development of universities and departments.○ 이날 행사에는 국립한밭대 오용준 총장과 일본어과 김의영 학과장, 박혜성 교수, 김시현 동문이 참석했다.○ The event was attended by Oh Yong-joon, president of the Hanbat National University, Kim Eui-young, president of the Japanese language department, Professor Park Hye-sung, and alumni Kim Si-hyun.○ 일본어과 93학번인 김시현 동문은 무역 화물운송 사업을 하는 ㈜KH로지스 기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대학 졸업 후 계속되는 도전과 노력으로 현재에 이를 수 있었다.○ Kim Si-hyun, an alumnus of the Department of Japanese Language, runs a KH Logistics company that operates a trade cargo transportation business and has been able to achieve it now with continuous challenges and efforts after graduating from university even in a difficult environment.○ 특히 재학 당시 지도교수였던 일본어과 박혜성 교수와의 인연을 깊게 이어오면서 졸업하는 모교 후배들을 직접 고용하는 등 학생들의 취업에도 도움을 줬다.○ In particular, he helped students find employment by directly hiring juniors from his alma mater who graduated by deeply connecting with Professor Park Hye-sung of the Japanese language department, who was an academic advisor when he was in school.□ 김시현 동문은 국립한밭대학교와 일본어과의 위상이 계속해서 올라가는 것을 느끼면서 졸업생으로 자랑스러웠고, 그러한 모교를 위해 할 수 있는 작은 보답이라고 생각한다고 기부동기를 전했다.□ "I was proud to be a graduate as I felt the status of the Hanbat National University and the Japanese language department continued to rise, and I think it's a small reward I can do for my alma mater," said Kim Si-hyun, an alumnus of the university.□ 국립한밭대 오용준 총장은, 후배들을 위해 장학금도 기부해 주시고 또 취업까지 도움을 주고 계시니 대학에 큰 힘이 된다며, 학생들이 더 좋은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The president of Hanbat National University, Oh Yong-jun, said, "He donates scholarships for the juniors and helps them with employment, which is a great support to the university," and added, "We will continue to focus on education to help students grow into better talents."[보도자료 영문번역: 학생홍보기자단 글로벌팀]
등록일
2024-12-05 13:35:06
‘2024 한밭콘텐츠랩’ 성료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67
- 대전을 대표할 수 있는 새로운 아이콘을 발굴하는 스토리텔링의 향연□ 지난 10월 1일부터 11월 29일까지 두 달 동안 노마드칼리지 인문교양학부 주최, 노마드러닝센터 의사소통클리닉과 한국언어문학연구소 주관으로 2024 한밭콘텐츠랩 경진대회가 진행되었다.○ 한밭콘텐츠랩은 대전․충남지역의 다양한 스토리텔링 원형을 발굴하고 이것을 문화콘텐츠로 기획해 보는 경진대회로, 올해는 대전의 NEW 아이콘을 찾아서라는 주제로 열렸다.○ 이러한 주제를 통해 한밭콘텐츠랩은 스토리텔링을 매개로 지역 정체성의 구축과 참여자들의 지역에 대한 관심 고취 및 지역 문화콘텐츠의 활성화를 위한 국립한밭대학교의 역할과 비전을 보여주는 경진대회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단순한 창작과 평가를 중심으로 하는 스토리텔링 경진대회와는 다르게 예선 통과 작품에 대해 스토리텔링과 문화콘텐츠 전문가들의 1:1 자문과 밀착 지도를 실시해 완성도를 높이는 과정을 진행했으며, 본선 수상작들은 유관 기관과 연계하여 실제 문화콘텐츠로 제작하여 학생들의 스토리텔링에 기반한 문화콘텐츠 기획 및 제작 역량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 이번 2024 한밭콘텐츠랩에는 총 52개 팀, 250여 명의 학생들이 참여했으며, 지난 29일 교내 인문사회관에서 본선 프리젠테이션을 통해 대상 1팀과 금상 3팀, 은상 4팀을 선정했다.○ 이번 대회에서는 대전의 NEW 아이콘을 찾아서라는 주제에 걸맞게 대전의 과학과 빵에 관한 스토리텔링뿐만 아니라, 보문산과 유성 온천 설화를 각색한 아이콘, 테미오래와 같은 대전의 역사적 장소, 자전거와 트램과 같은 교통수단 등을 활용한 다양하고 창의적인 대전의 아이콘에 관한 스토리텔링이 발굴됐고, 이것을 구체적인 문화콘텐츠로 확장하는 방안들이 논의됐다.□ 대회를 진행한 한국언어문학연구소 윤인선 소장은 이번 대회에는 다양하고 참신한 스토리텔링 아이디어와 함께 철저한 준비를 통해 구체적인 문화콘텐츠로의 확장 가능성 역시 제안되어, 학생들의 높은 관심과 실무 역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소회를 밝혔다.○ 또, 국립한밭대 인문교양학부와 한국언어문학연구소는 이러한 다양한 활동을 통해 지역과 대학 그리고 학생 역량이 서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앞으로도 꾸준히 모색하고, 내년에는 지역문화-인공지능-스토리텔링을 연결할 수 있는 새로운 활동을 구상 중이다라고 비전을 밝혔다.
등록일
2024-12-03 13:04:14
지역협력센터, 2024 지역사회 및 지역산업 문제해결형 협의체 위원회 개최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44
- 지속가능한 지역 발전 위해 지역사회 및 지역기업과 협력하여 지역문제 해결□ 우리 대학 지역협력센터는 지난 27일 교내에서 지역협력 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2024 지역사회 및 지역산업 문제해결형 협의체 위원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위원회는 지역사회 문제해결형과 지역산업 문제해결형으로 나누어 개최했으며, 국립한밭대 서준석 지역협력센터장과 협의체 위원 등 15명이 참석하여 지역 및 기업의 현안을 발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를 가졌다.○ 먼저 지역사회 문제해결형 협의체에서는 전문가를 섭외한 시니어 평생교육 프로그램 추진과 원거리 확대 운영, 대전지역 사회봉사 참여 확대, 외국인지원센터와 협업을 통한 글로벌 프로그램 기획, 다양한 대상의 생활체육 참여 기회 확대, 로컬브랜드와의 협업 프로그램 운영 등 지역주민 및 기관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생활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의견이 제시됐다.○ 또, 지역산업 문제해결형에서는 벤처협회와의 업무협약을 통한 수혜기업 범위 확대, 기업과 참여 학생의 공동 수혜 프로그램 운영, 저개발 국가 외국인 유학생 대상 프로그램 확대, 인재의 지역 정주 지원 방안 마련 등 지역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산업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지역협력센터 서준석 센터장은 지역사회 및 지역기업과의 긴밀한 협력체계를 더욱 공고히 하여 당면한 문제를 개선해 가고 이를 통해 우리 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등록일
2024-12-03 13:02:25
교육성과센터, ‘2024학년도 학생설계전공개발 공모전’ 성료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61
□ 우리 대학 교육성과센터는 지난 29일 교내에서 2024학년도 학생설계전공개발 공모전 시상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모전은 학생들이 진로 목표 및 로드맵에 맞춰 자기 주도적으로 독창적인 전공을 설계하고 다양한 학문을 통해 융합적 사고 역량 습득 기회를 넓히기 위해 마련됐다.○ 재학생 1~3학년을 대상으로 주 전공과 다른 학과의 전공 교과목을 융합하여 새로운 전공을 설계하는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대상은 건설환경공학과 최승우, 최우수상은 창의융합학과 이아영, 화학생명공학과 박경민 학생이 각각 수상했다.□ 이성호 교육성과센터장은 이번 공모전은 단순히 학문적 호기심을 충족시키는 것을 넘어 급변하는 사회에서 요구하는 융합형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첫 단계로,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인 전공 설계를 통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또, 교육성과센터에서는 앞으로도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학생설계전공 활성화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겠다고 덧붙였다.
등록일
2024-12-02 13:00:24
인문사회융합인재양성사업연구소, 지역사회 문제인식 확산·사업 홍보 이벤트 개최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3073
- 향후 지역사회 문제 해결 방안 경진대회와 연계 예정□ 인문사회융합인재양성사업(HUSS)연구소는 지난 27일 지역사회 문제인식 확산과 HUSS 프로그램 홍보를 위한 이색 이벤트를 진행했다고 전했다.○ 이번 행사는 국립한밭대 10명의 HUSS 서포터즈 학생들이 직접 기획하고 운영한 학생 참여형 프로그램이다.□ 서포터즈 학생들은 국립한밭대 HUSS SNS채널 홍보 및 대전 지역(5개 구)의 위험사회 문제 투표, 룰렛 이벤트, 붕어빵 나눔 등을 진행했으며, 눈이 오는 궂은 날씨에도 불구하고 총 26개 학과 180여 명의 학생들이 참여하며 높은 관심을 보였다.○ 특히 서포터즈 학생들이 도출해 낸 대전시 5개 구의 지역문제에 대해 가장 해결이 시급한 문제는 무엇인지에 대한 투표를 해 봄으로써 학생들이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을 갖는 계기를 마련했다.□ HUSS 서포터즈 융합경영학과 정유림 학생은 이번 행사를 기획하면서 학우들이 어떻게 하면 관심을 갖고 참여할까에 대해 많은 고민을 했으며, 기획 역량을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됐다고 전했다.□ 권기석 인문사회융합인재양성사업연구소 소장은 2차년도에 학생들을 위한 교과/비교과 프로그램을 많이 준비하고 추진했는데,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과의 학생뿐만 아니라 비참여 학과 학생들에게 HUSS 프로그램과 더불어 온라인 채널까지 홍보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고 말했다.□ 인문사회융합인재양성사업연구소는 향후 이번 학생들의 지역사회 문제 인식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문제 해결 방안에 대한 경진대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등록일
2024-12-02 11:01:09
지능형나노반도체학과, ‘반도체 Meet-up! Day’ 성료
작성자
기획과
조회수
13066
Completion of 'Semiconductor Meet-up! Day' in the Department of Intelligent Nano Semiconductor□ 우리 대학은 지난 21일 지능형나노반도체학과 주관으로 중소․중견 기업 맞춤형 반도체 고급인재 양성을 위한 반도체 Meet-up! Day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Hanbat National University (President Oh Yong-joon) announced on the 21st that it held "Semiconductor Meet-up! Day" to foster high-quality semiconductor talents tailored to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Department of Intelligent Nano Semiconductors.○ 반도체 Meet-up! Day는 학생들에게 반도체 산업의 역사와 현황, 미래 기술 분야를 소개함으로써 반도체 산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마련됐다.○ Semiconductor Meet-up! Day is design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semiconductor industry by introducing students to the history and current status of the semiconductor industry and future technology fields.○ 이날 행사에는 반도체와 대학원 지능형나노반도체학과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이 참여했으며, 1부에서는 산업인류학연구소 박준영 소장을 강사로 초청해 반도체 트렌드와 대학원 전공의 필요성을 주제로 반도체 산업의 중요성과 반도체 미래의 가치, 반도체 기술 분야 등 학생들의 흥미를 끌 수 있는 내용의 특강을 진행했다.○ Students interested in semiconductor and graduate intelligent nano semiconductor departments participated in the event, and in the first part, Park Joon-young, director of the Institute of Industrial Anthropology, was invited as a lecturer to give special lectures on the importance of the semiconductor industry, the value of the semiconductor future, and the semiconductor technology field.○ 2부에서는 국립한밭대 지능형나노반도체학과의 입시설명회를 통해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선도대학(원) 육성사업과 지능형나노반도체학과의 특성, 석사․박사과정 등을 소개하고, 창의융합교육센터의 시설 및 장비 등도 설명했다.○ The second part introduced the early employment contract department development proj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lligent nano semiconductor department, and the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as well as the facilities and equipment of the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Center.□ 지능형나노반도체학과는 입학과 동시에 반도체 관련 기업에 취업이 확정되는 조기취업형 계약학과로, 1․2학기는 전일제 대학원 학습 과정을 진행하고 3학기부터는 직장인으로 일과 학습을 병행하며, 3학기 만에 학위취득 및 조기 취업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The Hanbat National University's Intelligent Nano Semiconductor Department is an early employment contract department that confirms employment in semiconductor-related companies upon admission, and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can conduct full-time graduate study courses, work and study as office workers from the third semester, and achieve degree acquisition and early employment at the same time in three semesters.○ 입학생은 1․2학기 등록금과 생활비, 산학R&D프로젝트 수행을 통한 연구지원금 최대 5,000만 원 등의 다양한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2025학년도에는 오는 1월 10일까지 신입생 원서접수 및 이후 구술고사와 면접을 거쳐 석사과정 20명, 박사과정 5명을 선발할 예정이다.○ Admitted students will receive various support benefits, including tuition, living expenses for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and up to 50 million won in research support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industry-academic R&D projects. In 2025, 20 master's programs and five doctoral programs will be selected after accepting applications for new students by January 10 and interviewing oral examinations.[보도자료 영문번역: 학생홍보기자단 글로벌팀]
등록일
2024-11-28 10:01:08
<<
첫번째페이지
<
이전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
다음페이지
>>
마지막페이지
만족도조사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시나요?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제공되는 정보에 대한 평가 내용을 등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