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밭대학교

HIGHHANBAT

일반/홍보

게시물 검색
개교90주년 기념 사랑의 김장 나누기 행사 개최  이미지
개교90주년 기념 사랑의 김장 나누기 행사 개최
  • 작성자관리자
  • 조회수368
  • □ 우리 대학은 1일(금) 오전 10시부터 ‘개교90주년 기념 사랑의 김장 나누기’ 행사를 개최했다.○ 2012년부터 시작해 6회째 열리고 있는 ‘사랑의 김장 나누기’는 한밭대 학생, 교직원 등이 직접 김장김치를 담가서 독거노인과 지역아동센터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들에게 나눠드리는 행사로, 올해는 한밭대 개교90주년을 기념해 예년보다 풍성하게 마련됐다.□ 이날 김장 나누기 행사에서는 송하영 총장을 비롯해 보직교수와 직원, 학생, 외국인 유학생 등 16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미리 준비한 배추 1,400kg으로 김장김치를 담갔다.○ 특히 이 배추 중 일부는 지난 11월 28일(화) 우리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20여명이 충북 옥천의 농가에서 직접 채취해 온 것들이어서 의미를 더했다.□ 이날 담은 김치는 유성온천1동 사무소의 협조를 받아 관내 독거노인과 한부모가정, 장애인, 지역아동센터 등에 전달됐으며, 한밭대 봉사단이 봉사활동을 펼쳤던 산내종합사회복지관 등에도 김치를 전달하는 등 총 120여명에게 정성이 가득 담긴 ‘사랑의 김장김치’를 선사했다.□ 송하영 총장은 김장 담그기에 나선 학생들에게 “이웃을 위해 나누고 봉사하는 것이 최대의 행복이다. 오늘 사랑의 김장김치 나누기를 통해 이 행복을 느껴보길 바란다.”고 격려했다.○ 이어서 “작년에는 500kg 정도의 배추를 준비했었지만 올해는 개교90주년을 맞이해 더 많은 이웃들과 나눌 수 있도록 1,400kg의 배추를 준비했다. 한밭대는 지역의 중심 국립대학으로서 지역사회를 위한 봉사활동을 더욱 적극적으로 펼쳐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 참여한 유학생 리자 씨(필리핀 파티마대학 교환학생)는“김치 담그기를 해 보고 싶어서 행사에 참여했다. 이 김치가 도움이 필요한 곳에 전해진다고 하니 뿌듯하다.”며 “대학이 지역사회를 위해 봉사활동을 한다는 것은 정말 대단한 일이라고 생각한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 등록일2017-12-01 00:00:00
제9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개최 이미지
제9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개최
  • 작성자관리자
  • 조회수403
  • □ 공학교육혁신센터(센터장 최병욱 교수)는 28일 오후 5시 창의학습실에서 ‘제9회 창의적 개념설계 공모전 시상식’을 개최했다.○ 이 공모전은 공학설계의 개념을 처음 익히는 저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계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창의성 향상을 도모하고자 매년 개최하고 있으며, 지구온난화, 에너지절감, 적정기술 분야의 아이디어 개념설계 작품을 평가하고 있다.○ 올해로 9회째 열린 이번 대회에는 총 25개팀이 작품을 출품했으며, 지난 21일(화)에는 각 팀별 출품작에 대한 프레젠테이션 심사를 통해 창의성, 기술성 및 완성도, 생산가능성 등이 높은 작품들을 우수작으로 선정했다.□ 28일(화)에 열린 시상식에서는 대상 1팀, 금·은·동상 각 2팀 등 총 7팀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대상은 Hotilight를 출품한 ‘영준이의 공입설’팀(화학생명공학과 임영준 등 3명)이 수상했다. 이 팀은 전기레인지에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시온안료를 입혀 잔열에 의한 화상사고를 예방하는 작품을 출품해 높은 점수를 받았다.○ 또한 은상을 받은 ‘살수대첩’팀(전기공학과 김준석 등 5명, 정보통신공학과 김태완 등 3명)은 제습기에 모아진 물을 식수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제습기와 정수기를 결합한 작품인 ‘리사이클링 워터(Recycling Water)’로 눈길을 끌었다.□ 최병욱 센터장은 “저학년 학생들의 작품이지만 제품화·특허출원 가능성이 높은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돋보였다.”고 평가하며 “이번 대회가 공학설계의 개념을 익히고, 설계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요소들을 아우르는 융합적인 사고능력을 기르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한편, 공학교육혁신센터는 산학일체형 공학교육을 통해 창의·융합형 글로벌 인재 양성에 주력하고 있다.○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는 캡스톤디자인, 기업 연계형 교육, 창의·융합형 설계, 인문소양 융합형 교육프로그램, 해외 적정기술 교육프로그램 등의 교육프로그램이 있으며, 공학교육인증제 운영도 지원하고 있다.
  • 등록일2017-11-29 00:00:00
2017년 청년드림대학 선정 이미지
2017년 청년드림대학 선정
  • 작성자관리자
  • 조회수311
  • □ 우리 대학이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 동아일보가 함께 실시한 청년드림대학 평가에서 ‘2017년 청년드림대학’으로 선정됐다.○ ‘청년드림대학’은 매 2년마다 대학의 진로 및 취·창업 지원 역량을 수요자의 관점에서 조사해 우수 4년제 대학을 선정하는 프로젝트이다.□ 이번 청년드림대학 평가는 전국 4년제 대학 227개교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1차로 인적 지원, 물적 지원, 교육 지원, 취업·창업 성과 등 4개 영역에 대한 역량평가를 통해 상위 45개 대학을 선발했다.○ 이들 대학을 대상으로 다시 4개 영역(인프라, 교육과정, 서비스, 네트워크), 12개 지표로 나누어 취업·창업 지원 역량을 종합 평가하고,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심층 대면 조사를 거쳐 최종 선정 대학을 결정했다.□ 대학일자리본부 남윤의 본부장은 “우리 대학은 최근 직무역량을 중시하고 조직에 융화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인재를 원하는 취업트렌드에 맞추어 대학 내 모든 조직이 유기적으로 소통하며 적극적이고 다양한 지원에 나서고 있다.”고 이번 청년드림대학 선정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서 “앞으로도 취·창업 수요자인 지역 청년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취·창업 지원의 거점대학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한편, 우리 대학은 2017년 고용노동부 주관 대학일자리센터 사업에 선정돼 대학일자리본부를 신설하고 취업지원관 등 전문인력을 증원하는 등 취·창업 지원 인프라를 확장했다.○ 이를 통해 50여종의 다양한 진로, 취·창업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는 등 지역청년의 취·창업 역량강화를 지원하고 있다.○ 특히, 여대생을 위한 취업지원 특화프로그램인 CMB방송아카데미, 항공서비스 매니저 과정, 여대생 능력증진 리더십 캠프 등의 운영을 통해 여대생들로부터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
  • 등록일2017-11-29 00:00:00
ROTC 총동문회 발족 이미지
ROTC 총동문회 발족
  • 작성자관리자
  • 조회수431
  • □ 학생군사교육단(단장 김지덕 중령)은 24일(금) 저녁 6시 30분 그린에너지관 국제회의실에서 ‘한밭대학교 ROTC 총동문회 발족식’을 개최했다.○ 올해 개교 90주년과 학생군사교육단(이하 ‘학군단’) 창설 10주년을 맞이해 발족한 ‘ROTC 총동문회’는 학군단 출신 동문들의 구심점과 재학 중인 학군사관 후보생들의 멘토 역할을 담당하고자 결성됐다.□ 이날 발족식에는 송하영 총장과 김만구 총동문회장, 대한민국 ROTC중앙회 대전·충남·세종지부 임근원 수석부회장을 비롯해 김지덕 학군단장과 한재혁 학군단 총동문회장, 학군단 출신 동문과 학군사관 후보생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는 먼저 임근원 수석부회장이 한재혁 회장에게 ‘대한민국 ROTC중앙회 한밭대 총동문회기’를 전달했다.○ 이어 송하영 총장은 축사를 통해 “한밭대 학군단의 역사를 만들어 온 ROTC 동문들이 매우 자랑스럽다.”며 총동문회 발족에 대한 축하를 전하고, “한밭대 학군단은 10년이라는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며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ROTC 총동문회 발족이 재학생 후배들의 자긍심을 높이고 지속적인 성원과 격려를 해 주는 계기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고 격려했다.○ 한재혁 초대 회장은 “10년 전 학군단이 처음 창설됐을 때는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선배가 없어서 어려움이 컸었다.”며, “ROTC 총동문회 발족을 계기로 후배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멘토 역할을 해 나갈 것이다.”는 각오를 밝혔다.□ 한편, 학군단은 2007년 창설된 이래 올해까지 330여명의 정예초급장교를 배출했으며, 그동안 전국 최우수 학군단 선정, 운영실태 평가 전국 1위, 미국 ROTC리더십 연수생 배출 등 우수한 성과를 창출하며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 등록일2017-11-28 00:00:00
2017년 재경 총동문회 정기총회 개최 이미지
2017년 재경 총동문회 정기총회 개최
  • 작성자관리자
  • 조회수336
  • □ ‘2017년 재경 총동문회 정기총회’가 22일(수) 저녁 6시 30분 서울 용산구 육군회관에서 열렸다.○ 재경 총동문회(회장 김수영)가 주최한 이번 정기총회에서는 서울지역의 동문 100여명이 참석했다.○ 또한, 송하영 총장을 비롯해 김만구 총동문회장, 대학 보직교수, 동문회 임원, 학생대표 등 20여명도 참여해 재경지역 동문들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여줬다.□ 이날 행사에서는 우리 대학의 2017년 한 해 성과를 설명하는 시간이 마련돼 동문들의 큰 관심과 호응을 얻었다.○ 이 자리에는 송하영 총장이 직접 동문들을 대상으로 설명에 나섰으며, 개교90주년을 기념한 각종 행사와 홍성공립공업전수학교 옛터 기념비 설립을 비롯해 대전지역 최대 규모의 LINC+ 사업 선정, 대학일자리센터지원사업 선정, 산업계관점 최우수대학 선정(기계공학 부문) 등의 성과를 소개했다.○ 이어서 송하영 총장은 “한밭대 90주년의 역사와 명성은 동문들의 땀과 노력이 스민 소중한 유산”이라며 감사의 뜻을 표하고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고, 지역을 넘어 세계 일류대학으로 발돋움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성원과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우리 대학은 동문들의 각별한 후배사랑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올해 개교90주년을 맞이해 실시한 학과별 홈커밍데이 행사에서는 지난 4월부터 현재까지 약 1억 5천여만원의 후배사랑 장학금이 모아졌으며,○ 설비공학과와 컴퓨터공학과에서는 기술사, 프로그래머 등 전문가로 활동 중인 동문들이 재학생을 대상으로 취업과 진로에 관한 특강과 멘토링을 실시하는 등 각별한 후배사랑을 보여주고 있다.
  • 등록일2017-11-23 00:00:00
블로그기자단 출범 “홍보는 우리에게 맡겨주세요!” 이미지
블로그기자단 출범 “홍보는 우리에게 맡겨주세요!”
  • 작성자관리자
  • 조회수407
  • □ 우리 대학 블로그기자단이20일(월) 오후 5시 임명장을 수여받고 본격적인 SNS 홍보활동에 돌입했다.○ 블로그 기자단은 학생의 눈높이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만들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활용해 홍보하기 위해 조직됐다.○ 기자단의 명칭은 ‘로그인더한밭’으로 ‘한밭대에 접속하는 창구’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지난 9월 5개팀 7명의 학생을 선발해 10월 중순부터 약 한 달간 수습기간을 거쳤다.□ 앞으로 블로그기자단은 블로그 등의 SNS 홍보활동을 강화하면서 대학 내부 메신저, 외부와의 연결 창구의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학생기자의 시각에서 학과, 학생 단위의 다양한 학내 소식을 발굴해 블로그에 게재함으로써 학내 소통에 기여하고, 외부에서는 모바일과 인터넷을 통해 우리 대학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게 된다.○ 또한 학생들이 관심을 갖는 선배·동문 취재를 통해 취업, 진로문제 해결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우리 대학에 장학금을 기부하고 있는 ‘후원의 집’과 도서관의 신간 소개 등도 적극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임명장 전수식에서 송하영 총장은 “재미있고, 다양한 학내소식들을 전달해 달라”고 당부하고, “국립 한밭대학교는 훌륭한 인재를 길러낸다는 자부심이 있다. 블로그 기자단 활동이 우리 대학을 알리는 데 크게 기여함은 물론이고, 넓은 시야를 가진 훌륭한 리더로 성장하길 바란다.”고 격려했다.□ 이진화 기획과장은 “불과 1달간 수습기자로 활동했을 뿐인데 우리 대학 블로그의 조회수가 4배 이상 급증했다.”며 “블로그기자단이 우리 지역 중심국립대학으로서의 역할을 잘 소개해 한밭대 학생들의 자부심을 더욱 높이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 등록일2017-11-22 00:00:00
CBS사업단, 중국 심천 하이테크페어에서 인턴십 실시 이미지
CBS사업단, 중국 심천 하이테크페어에서 인턴십 실시
  • 작성자관리자
  • 조회수459
  • □ 중국비즈니스전문인력양성사업단(단장 박준병 교수, 이하 ‘CBS사업단’)에서는 11월 16일부터 11월 21일까지 6일간 중국 심천 하이테크페어에서 인턴십을 실시했다.○ CBS사업단은 경영회계학과와 중국어과 연계전공 과정을 통해 중국비즈니스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으며, 심천 하이테크페어는 중국 4대 박람회 중 하나로 2016년 기준 총 40여개 국가에서 3,500여개 기업이 참가하고 50여만명의 방문객이 참관해 중국을 포함한 세계시장 진출의 중요한 교두보가 되고 있다.□ 심천 하이테크페어 기간 동안 경영회계학과 10명, 중국어과 10명 등 총 20명의 학생이 (주)셀포원 등 대전테크노파크에서 선정한 대전 소재의 12개 기업, 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에서 선정한 4개 기업 등 총 16개 기업에서 인턴십을 실시했다.○ 이들 기업에서 우리 대학 학생들은 경영실무 체험과 함께 중국어 능력을 활용해 전시부스에서 기업의 홍보와 통번역 업무를 통해 중국 현지 바이어와의 상담 등을 지원하는 등의 활약을 보였다.□ 한편, 이번 인턴십은 지난 9월 6일 체결된 우리 대학과 대전테크노파크, 12개 대전지역 중소벤처기업 간 산학협력 협약을 통해 이뤄졌다.○ 이 협약에서는 대전테크노파크가 2017년 중국 심천 하이테크페어에 중소·벤처기업의 참여를 지원하는 가운데, 각 참여기업에서 우리 대학 학생들이 중국 현지 인턴십을 실시하기로 했다.□ 박준병 사업단장은 “이번 심천 하이테크페어 인턴십은 우리 학생들의 창·취업 역량을 제고하고, 기업에는 학생들의 우수한 역량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기회”라고 강조하고, “인턴십 기간 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학생별 포트폴리오를 작성해 전시회를 개최할 예정이며, 관련 정보를 기업과도 공유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중국어과 김기복 학생은 “이번 인턴십 활동을 통해 중국의 경제발전 가능성과 잠재력을 다시 한 번 느꼈으며, 짧은 기간이지만 소중한 현장 체험이 됐다.”고 소감을 밝혔다.
  • 등록일2017-11-20 00:00:00
한밭대 봉사단, 휴일도 잊은 채 지역사회 봉사에 ‘구슬땀’ 이미지
한밭대 봉사단, 휴일도 잊은 채 지역사회 봉사에 ‘구슬땀’
  • 작성자관리자
  • 조회수443
  • □ 지난 18일(토) 오전, 산내주공아파트에서는 노란색의 ‘한밭대 학생봉사단’ 조끼를 입은 학생들이 창문에 단열필름, 일명 뽁뽁이를 시공하느라 여념이 없었다.○ 이들이 작업은 하고 있는 곳은 할머니 혼자 살고 있는 독거노인 세대다. 이곳에서 한밭대 봉사단은 창에 붙어있던 낡은 필름을 새 필름으로 교체하고 말끔히 정리까지 해 드렸다.○ 이날 뽁뽁이 붙이기에 열중하던 김유신 학생(전기공학과 3학년)에게 봉사활동의 소감을 묻자 대뜸 “행복하다.”고 답했다. 김 군은 “하루 하루가 소중한데, 이렇게 봉사활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정말 행복하다.”고 이야기 했다.○ 이날 봉사활동에 참여한 한밭대 봉사단원은 학생봉사단원 9명과 직원 2명 등 11명이다. 이들은 산내종합사회복지관의 협조를 받아 독거노인, 조손가정 등 도움이 필요한 세대를 방문해 봉사활동을 펼치고, 쌀 60kg와 라면 6박스, 귤과 화장지 등을 전달했다.□ 우리 대학 학생과 교직원으로 구성된 ‘한밭대 봉사단’이 휴일도 잊은 채 봉사활동에 나서며 쌀쌀한 날씨 속에서도 지역사회에 따뜻함을 전해주고 있다.○ 한밭대 봉사단은 지난 18일(토) 산내주공아파트 봉사활동에 이어 19일(일)에는 송정2통 경로당을 방문해 퇴색한 벽면 페인트칠에 나섰다. 국립 대전현충원에서는 묘비를 닦고 주변 청소를 하는 등 묘역 돌봄 활동도 실시했다.○ 우리 대학에서 진행하고 있는 이러한 일련의 활동들은 모두 지역사회 공헌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송하영 총장은 “우리 대학은 지역사회와의 동행을 중요한 가치로 여기고 있다. 우리 지역의 중심 국립대학으로서 지역사회를 위해 공헌하는 것은 대학의 중요한 사명이다.”라고 강조했다.○ 산내종합사회복지관 윤수민 사회복지사는 “한밭대 봉사단의 수고 덕분에 우리 지역 어르신들이 따뜻한 겨울을 보내실 수 있게 됐다. 이번 활동을 계기로 한밭대가 우리 지역에 더 많은 일을 해 준다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연말이 다가오며 봉사단의 손길은 더욱 분주해질 전망이다.○ 지난 7월 실시했던 ‘어르신 장수사진 촬영 봉사활동’이 지역사회에서 큰 호응을 얻으며 이번에는 진잠타운노인정과 한아름아파트노인정의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실시할 예정이고, 12월 초에는 ‘사랑의 김장나눔’ 활동이 예정돼 있다.○ 학생과 김진성 주무관은 “휴일에는 쉬고 싶지만 봉사단에 참여하는 학생과 교직원들의 진심어린 마음을 생각하면 가만히 있을 수 없다.”며 “거창하지 않고 소소한 활동이지만 우리 지역사회를 위해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봉사아이템을 발굴해 봉사활동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 등록일2017-11-20 00:00:00
Hanbat National University breaks down walls 이미지
Hanbat National University breaks down walls
  • 작성자관리자
  • 조회수1532
  • * 아래의 글은 홍콩에서 발행되는 South China Morning Post에 실린 우리 대학 특집기사 내용입니다.(발행일자 : 2017년 10월 25일 수요일)Hanbat National University breaks down walls between students and real world○ With partner universities, Hanbat is looking to strengthen its research capabilities in resolving societal concerns such as environmental protection, water management and securing an affordable fuel supply○ Hanbat National University is perhaps the most collaborative school in Asia. South Korea’s premiere institute for undergraduate, master’s and doctorate education has 101 partner universities in 29 countries and half as many undertakings with industries and communities worldwide. This collaborative spirit has produced highly employable graduates with relevant skill sets and vast experience working in the real world.○ “We expect Asian students interested in our academic approach to come to Hanbat,” says Dr Song Ha-young, president. “We have combined our traditional strength in engineering with the other disciplines such as human science, commerce and design.”○ Hanbat boasts of a rich history in engineering education that started in 1927. Today, the university has 31 departments under its graduate school programme spanning environmental and urban engineering to economics, accounting and venture entrepreneurship.○ Strategically located at the heart of South Korea’s scientific community in Daejeon, Hanbat offers a true learning environment by providing the students with a wide range of programmes. The university’s strong hands-on approach allows students to acquire, assimilate, transform and exploit knowledge.○ Hanbat’s Capstone Design Programme, for instance, requires students to come up with a marketable product and execute the entire business process comprising prototype design, planning, manufacturing and product exhibition. Initially developed for engineering students, Hanbat has extended the programme to also include other departments.○ “Innovation for Hanbat is training students to come up with the appropriate solutions and attitude to effectively support our rapidly changing society,” Song says. “Challenge is the foundation of innovation, and innovation is the key strength of Hanbat.”○ The government has nominated the institute as the most innovative national university five years in a row. For 2017, Hanbat’s innovation concept is to remove all walls. These include tearing down the barriers between the university and the community or industry in order to give students more opportunities.○ Such initiatives gave rise to programmes that are distinctively Hanbat. For instance, the university was the first in the country to implement a field training programme. Through strong collaborations between professors and industry experts, the initiative gives students the opportunity to improve practical skills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By receiving education while working with the industries, the students increase their chances of employment. The success of Hanbat’s field training programme has encouraged the university to expand the initiative overseas to countries such as Singapore, Dubai and the United States.○ Guided by the same passion for collaboration, Hanbat is also tearing down the walls between professors from different departments to offer a far more integrated education. This strategy has given rise to innovative course offerings such as Hanbat’s pioneering five-year combined bachelor and master’s programme. Launched by the university four years ago, the new offering allows students to save one whole year of studies.○ Hanbat is offering these new courses to its growing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from countries such as China, Vietnam and Indonesia.○ Last month, the university opened its in-campus international exchange centre. Besides a generous scholarship programme, Hanbat also gives priority to foreign students wanting to reside in the school’s affordable dormitories.○ With more partner universities, Hanbat is looking to strengthen its research capabilities needed in resolving pressing societal concerns such as environmental protection, water management and securing an affordable fuel supply.○ This endeavour will also broaden international opportunities for students as Hanbat xss-creates more student exchange opportunities with Eastern European universities while creating support community programmes with universities in countries such as the Philippines.○ “Hanbat proactively addresses global issues with a strong challenge-oriented mentality,” Song says. “With our highly industry-integrated education, we see ourselves celebrating our 100th anniversary in 2027 as a truly first-class, global university.”FROM South China Morning PostPUBLISHED : Wednesday, 25 October, 2017, 10:36amUPDATED : Wednesday, 25 October, 2017, 10:36amhttp://www.scmp.com/country-reports/business/topics/south-korea-business-report/article/2116013/hanbat-national
  • 등록일2017-11-16 00:00:00